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 修身以爲弓하고 矯思以爲矢 注+修身以爲弓 矯思以爲矢:祕曰 “矯思, 猶正思也. 說文云 ‘矯, 揉箭箝也.’” ○光曰 “思, 斯恣切, 箝, 巨淹切.”하고 立義以爲的하여 奠而後發하면 發必中矣 注+立義以爲的……發必中矣:無敵於天下也. ○祕曰 “事得其宜之謂義, 言修身正思, 定而後發, 俱中道之宜. 奠, 定也.” ○光曰 “中, 丁仲切.”리라


몸을 닦는 것을 활로 삼고, 생각을 바로잡는 것을 화살로 삼고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교사矯思’는 ‘정사正思’와 같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는 화살을 교정矯正하는 도지개이다.’라고 하였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반절反切이고, 반절反切이다.”, 의리를 세우는 것을 과녁으로 삼아서, 안정한 뒤에 활을 쏜다면 쏠 때마다 반드시 적중할 것이다.注+천하에 대적할 자가 없다는 말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일이 마땅함을 얻는 것을 라고 하니, 몸을 닦고 생각을 바르게 하여 안정한 뒤에 활을 쏘면 도의 마땅함에 모두 맞는 것을 말한다. 은 안정함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반절反切이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