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 或問道한대 曰 道也者 通也 無不通也 注+道也者……無不通也:萬物由之以通. ○咸曰 “無不通者, 言道之施也, 無所不通. 注謂‘萬物由之以通.’ 與正文相反矣.” ○祕曰 “道貫三才, 合仁與義而言之, 無不通也.”니라
或曰 可以適他歟 注+可以適他歟:言道旣可以通中國而適夷狄, 學亦可以統正典而兼諸子也. ○咸曰 “他, 猶邪也曲也. 言旣云聖人之道無不通, 亦可以通邪曲之方乎.” ○祕曰 “他, 異端也.” 曰 適堯舜文王者 爲正道 非堯舜文王者 爲他道 君子 正而不他니라


혹자가 에 대해서 물으니,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라는 것은 그리로 통하는 것이니, 어디든 통하지 않는 곳이 없다.”注+만물萬物이 그로 말미암아 통하는 것이다. ○송함宋咸이 말하였다. “통하지 않음이 없다는 것은 가 베풀어짐을 말한 것이니, 통하지 않는 곳이 없다는 뜻이다. 이궤李軌에 ‘도는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통하는 것이다.’라고 한 것은 정문正文상반相反된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삼재三才()를 관통하므로 를 합하여 말하면 통하지 않는 곳이 없다.”
혹자가 물었다. “〈그렇다면〉 다른 곳(사곡邪曲한 곳)으로도 갑니까?”注+가 이미 중국中國에 두루 통하고 나서 이적夷狄에까지 이르며, 학문 역시 정전正典에 정통하고 나서 제자諸子까지 겸할 수 있다는 말이다. ○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와 같고 과 같다. 이미 성인聖人가 통하지 않는 곳이 없다고 말했으니, 그렇다면 또한 사곡邪曲한 곳에도 통하느냐는 말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이단異端이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문왕文王로 가는 것은 정도正道이고, 문왕文王로 가지 않는 것은 타도他道(사도邪道)이니, 군자는 정도正道를 지키고 타도他道로 가지 않는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