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 天之道 不在仲尼乎 注+天之道 不在仲尼乎:不在, 在也, ○祕曰 “天生五行, 其性仁義禮智信.” 仲尼駕說者也 不在玆儒乎 注+仲尼駕說者也 不在玆儒乎:駕, 傳也. ○祕曰 “仲尼, 乘行而贊述之, 駕說者也. 其道, 豈不在玆大儒也.”
如將復駕其所說이면 則莫若使諸儒 注+金口而木舌:金寶其口, 木質其舌. 傳言如此, 則是仲尼常在矣. ○宗元曰 “金口木舌, 鐸也. 使諸儒, 駕孔子之說, 如木鐸也.” ○祕曰 “. 後世, 如將復駕仲尼之說, 則莫如使諸儒比木鐸而宣揚之也. .’ 孔安國曰 ‘木鐸, 金鈴木舌, 所以振文敎.’” ○光曰 “復, 扶又切.”이니라


하늘의 가 이 중니仲尼에게 있지 않은가.注+‘있지 않느냐[부재不在]’는 것은 있는 것이니, 중니仲尼에게 있음을 말한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하늘이 오행五行을 내었으니, 오행五行이다.” 중니는 가르침을 전하신 분이니, 그 가 이 대유大儒(중니仲尼)에게 있지 않겠는가.注+는 전하는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중니仲尼는 수레를 타고 다니면서 찬술贊述하여 가르침을 전하신 분이니, 그 가 어찌 이 대유大儒(중니仲尼)에게 있지 않겠는가.”
만약 중니의 가르침을 다시 전하고자 한다면 여러 유자儒者금구목설金口木舌(목탁木鐸)이 되게 하는 것만 한 것이 없다.注+〈목탁이〉 주둥이는 금보金寶로 되어 있고 추[]는 나무로 되어 있다. 중니仲尼의 말을 전하기를 이 목탁처럼 한다면 중니仲尼가 항상 살아 있는 것이다. ○유종원柳宗元이 말하였다. “동제銅製 방울에 나무 추를 단 것은 이다. 여러 유자儒者로 하여금 공자孔子의 말씀을 전하게 하기를 목탁木鐸을 사용하여 정교政敎를 반포한 것처럼 하는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동제銅製 방울에 나무 추를 단 것은 이다. 후세에 만약 다시 중니仲尼의 말씀을 전하려 한다면 여러 유자儒者에게 목탁木鐸을 본떠 〈공자의 말씀을〉 선양하게 하는 것만 한 것이 없다. 《논어論語》에 ‘하늘이 장차 부자夫子를 목탁으로 삼으실 것이다.’라고 하였고, 《서경書經》에 ‘매년 맹춘孟春주인遒人목탁木鐸을 가지고 도로를 순행한다.’라고 하였는데, 공안국孔安國이 ‘목탁木鐸으로 된 방울에 추는 나무로 만드니 〈목탁木鐸을 흔들어〉 문교文敎진작振作시키기 위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반절反切이다.”
목탁木鐸(《오경도휘五經圖彙》)목탁木鐸(《오경도휘五經圖彙》)


역주
역주1 金口而木舌 : 銅製 방울에 나무로 된 추를 단 것으로 木鐸을 가리킨다. 옛날에 정치와 교화를 베풀 때에 이것을 흔들어서 백성들을 경각시켰다.
역주2 [言在仲尼也] : 저본에는 없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3 金口木舌 鐸也 : 禮에 金鐸과 木鐸이 있으니, 鐸은 방울이다. 방울의 몸통은 모두 금속으로 만들지만 추를 만드는 재료에는 쇠와 나무의 차이가 있어서, 방울의 추를 쇠로 만든 것은 金鐸이라 하고, 방울의 추를 나무로 만든 것은 木鐸이라 한다.
역주4 語曰 天將以夫子爲木鐸 : 《論語》 〈八佾〉에 보인다. 孔子가 衛나라에 있을 적에 儀 땅의 封人이 공자를 뵙기를 청하여 뵙고 나와서는 공자를 侍從한 제자들에게 “그대들은 공자가 지위를 잃은 것을 어찌 걱정하는가. 천하가 무도해진 지 오래이니, 하늘이 장차 夫子를 목탁으로 삼을 것이다.[二三子何患於喪乎 天下之無道也久矣 天將以夫子爲木鐸]”라고 하였다. 옛날에 政敎를 펼 때에 木鐸을 흔들었으므로, 목탁으로 삼는다는 말은 세상 사람을 가르쳐 인도하는 사람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논어》의 이 말은 곧 하늘이 장차 공자에게 명하여 법도를 제정하여 마치 목탁이 文敎(禮樂‧法度)를 떨쳐 일으키듯이 천하를 호령하게 할 것이라는 말이다.
역주5 書曰……徇于路 : 遒人은 임금의 명령을 백성들에게 선포하는 사람을 이른다. 《書經》 〈夏書 胤征〉에 “매년 초봄에 遒人이 木鐸을 가지고 도로를 순행하며 ‘관원들은 서로 바로잡아주고 백공들은 기예의 일을 잡아서 간하라. 혹시라도 이렇게 공손히 하지 않으면 나라의 떳떳한 법으로 다스릴 것이다.’라고 했다.” 하였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