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寡見* 第七
*寡見:咸曰 “聖人之道, 嘉善而矜不能, 故明哲極矣. 宜矜乎未至者, 所以寡見之誨, 次之問明.”
假言 周于天地하고 注+假言 周于天地:遐, 遠. 周, 徧. ○光曰 “李宋吳本, 假作遐, 今從漢書. 光謂假當作徧.” 贊于神明하니 注+贊于神明:咸曰 “五經之旨.” 幽弘橫度하여 絶于邇言이라 注+幽弘橫度 絶于邇言:咸曰 “言幽深弘大之間, 縱橫量度之制, 皆絶去近言, 始得諸正.” ○祕曰 “贊于神明, 以通其幽, 周于天地, 以範其弘, 縱橫制度, 絶去邇言.” ○光曰 “橫者, 言其廣. 度, 猶度. 絶, 言其高, 絶于近言, 言去之遼邈也.” 譔寡見이로라 注+譔寡見:祕曰 “述聖人遐遠之言, 以悟淺近之惑.” ○光曰 “疾世人蔽於近小, 而遺其遠大.”


과견寡見제칠第七
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성인聖人는 잘하는 것은 칭찬하여 아름답게 여기고, 잘못하는 것은 딱하게 여기기 때문에 명철明哲함이 지극하다. 의당 지극하지 못한 것을 딱하게 여겨야 하니, 이 때문에 견문이 부족한 자를 딱하게 여겨 인도해주는 것에 대한 가르침을 〈문명問明〉 다음에 놓은 것이다.”
성인聖人의 심오하고 원대한 말은 천지天地에 두루 미쳐注+는 먼 것이다. 는 두루 미치는 것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이궤본李軌本송함본宋咸本오비본吳祕本에는 ‘’가 ‘’로 되어 있으나, 지금 《한서漢書》를 따랐다. 내가 생각건대 ‘(크다)’는 마땅히 ‘(두루 미치다)’이나 ‘(고원하다)’가 되어야 한다.” 신명神明한 경지에 도달하니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오경五經의 뜻이다.”, 심오하고 원대하여 종횡으로 헤아려서 비근한 말과 거리가 매우 멀다.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유심幽深하고 홍대弘大한 사이와 종횡으로 양도量度하는 제도는 모두 비근한 말을 끓어 없애야 비로소 바른 를 얻을 수 있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신명神明을 도와 깊은 경지에 통달하고 천지에 두루 미쳐 큰 것을 모범으로 삼아 종횡으로 마름질하고 헤아려서 비근한 말을 끊어 없애야 한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은 넓음을 말한다. (탁, 헤아리다)과 같다. 은 높음(뛰어남)을 말하니, 비근한 말보다 뛰어나다는 것은 거리가 아주 먼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사람들로 하여금 넓고 크며 정밀하고 심오한 말을 이해하게 하기 위하여〉 〈과견〉을 지었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성인聖人의 심원한 말을 기술하여 천근淺近한 말에 미혹됨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세상 사람들이 근소近小한 데에 가려져서 원대遠大한 것을 빠뜨림을 미워한 것이다.”


역주
역주1 : 遐의 古字이니, 高遠하다는 뜻이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