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
번역서
동양고전
강의
동양고전
번역용례
동양고전
해제집
검색
상세검색
특수문자입력기
특화서비스
지식관계망
개념용어
주소 비교
Open API
?
공지사항
자료실
詩經集傳(上)
시경집전(상)
현토
원문
번역
원주
번역(본문)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글자확대
글자크기 초기화
글자축소
설정저장
출력
공유하기
URL
클립보드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Ctrl+C를 눌러 클립보드로 복사하시고 Ctrl+v로 붙여넣기 하세요.
오류신고
시경집전(상)
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여닫기
시경집전(상)
序
여닫기
卷一 國風 周南 一之一
關雎
葛覃
卷耳
樛木
螽斯
桃夭
兎罝
芣苢
漢廣
汝墳
麟之趾
여닫기
卷一 國風 召南 一之二
鵲巢
采蘩
草蟲
采蘋
甘棠
行露
羔羊
殷其靁
摽有梅
小星
江有汜
野有死麕
何彼穠矣
騶虞
여닫기
卷二 國風 邶 一之三
柏舟
綠衣
燕燕
日月
終風
擊鼓
凱風
雄雉
匏有苦葉
谷風
式微
旄丘
簡兮
泉水
北門
北風
靜女
新臺
二子乘舟
여닫기
卷三 國風 鄘 一之四
柏舟
牆有茨
君子偕老
桑中
鶉之奔奔
定之方中
蝃蝀
相鼠
干旄
載馳
여닫기
卷三 國風 衛 一之五
淇奧
考槃
碩人
氓
竹竿
芄蘭
河廣
伯兮
有狐
木瓜
여닫기
卷四 國風 王 一之六
黍離
君子于役
君子陽陽
揚之水
中谷有蓷
兎爰
葛藟
采葛
大車
丘中有麻
여닫기
卷四 國風 鄭 一之七
緇衣
將仲子
叔于田
大叔于田
淸人
羔裘
遵大路
女曰鷄鳴
有女同車
山有扶蘇
蘀兮
狡童
褰裳
丰
東門之墠
風雨
子衿
揚之水
出其東門
野有蔓草
溱洧
여닫기
卷五 國風 齊 一之八
雞鳴
還
著
東方之日
東方未明
南山
甫田
盧令
敝笱
載驅
猗嗟
여닫기
卷五 國風 魏 一之九
葛屨
汾沮洳
園有桃
陟岵
十畝之間
伐檀
碩鼠
여닫기
卷六 國風 唐 一之十
蟋蟀
山有樞
揚之水
椒聊
綢繆
杕杜
羔裘
鴇羽
無衣
有杕之杜
葛生
采苓
여닫기
卷六 國風 秦 一之十一
車鄰
駟驖
小戎
蒹葭
終南
黃鳥
晨風
無衣
渭陽
權輿
여닫기
卷七 國風 陳 一之十二
宛丘
東門之枌
衡門
東門之池
東門之楊
墓門
防有鵲巢
月出
株林
澤陂
여닫기
卷七 國風 檜 一之十三
羔裘
素冠
隰有萇楚
匪風
여닫기
卷七 國風 曹 一之十四
蜉蝣
候人
鳲鳩
下泉
여닫기
卷八 國風 豳 一之十五
七月
鴟鴞
東山
破斧
伐柯
九罭
狼跋
여닫기
卷九 小雅 鹿鳴之什 二之一
鹿鳴
四牡
皇皇者華
常棣
伐木
天保
采薇
出車
杕杜
南陔
여닫기
卷九 小雅 白華之什 二之二
白華
華黍
魚麗
由庚
南有嘉魚
崇丘
南山有臺
由儀
蓼蕭
湛露
여닫기
卷十 小雅 彤弓之什 二之三
彤弓
菁菁者莪
六月
采芑
車攻
吉日
鴻鴈
庭燎
沔水
鶴鳴
여닫기
시경집전(하)
여닫기
卷十一 小雅 祈父之什 二之四
祈父
白駒
黃鳥
我行其野
斯干
無羊
節南山
正月
十月之交
雨無正
여닫기
卷十二 小雅 小旻之什 二之五
小旻
小宛
小弁
巧言
何人斯
巷伯
谷風
蓼莪
大東
四月
여닫기
卷十三 小雅 北山之什 二之六
北山
無將大車
小明
鼓鍾
楚茨
信南山
甫田
大田
瞻彼洛矣
裳裳者華
여닫기
卷十四 小雅 桑扈之什 二之七
桑扈
鴛鴦
頍弁
車舝
靑蠅
賓之初筵
魚藻
采菽
角弓
菀柳
여닫기
卷十五 小雅 都人士之什 二之八
都人士
采綠
黍苗
隰桑
白華
綿蠻
瓠葉
漸漸之石
苕之華
何草不黃
여닫기
卷十六 大雅 文王之什 三之一
文王
大明
綿
棫樸
旱麓
思齊
皇矣
靈臺
下武
文王有聲
여닫기
卷十七 大雅 生民之什 三之二
生民
行葦
旣醉
鳧鷖
假樂
公劉
泂酌
卷阿
民勞
板
여닫기
卷十八 大雅 蕩之什 三之三
蕩
抑
桑柔
雲漢
崧高
烝民
韓奕
江漢
常武
瞻卬
召旻
여닫기
卷十九 頌 周頌淸廟之什 四之一
淸廟
維天之命
維淸
烈文
天作
昊天有成命
我將
時邁
執競
思文
여닫기
卷十九 頌 周頌臣工之什 四之二
臣工
噫嘻
振鷺
豊年
有瞽
潛
雝
載見
有客
武
여닫기
卷十九 頌 周頌閔予小子之什 四之三
閔予小子
訪落
敬之
小毖
載芟
良耜
絲衣
酌
桓
賚
般
여닫기
卷二十 頌 魯頌 四之四
駉
有駜
泮水
閟宮
여닫기
卷二十 頌 商頌 四之五
那
烈祖
玄鳥
長發
殷武
왼쪽메뉴 닫기
왼쪽메뉴 열기
전체
서명/저자명
기사제목
원문/대역문
번역문
역주
기타
〈谷風〉
習習谷風
이
以陰以雨
나니
黽勉同心
이언뎡
不宜有
怒
니라
采
葑
采
菲
은
無以下體
니
德音莫違
인댄
及爾同
死
니라
傳
比也
라
習習
은
和舒也
라
東風
을
謂之谷風
이라
葑
은
蔓菁也
라
菲
는
似葍
하니
莖麤, 葉厚而長
하고
有毛
라
下體
는
根也
라
葑菲
는
根莖皆可食
이로되
而其根則有時而美惡
이라
德音
은
美譽也
라
○ 婦人爲夫所棄
라
故
로
作此詩
하여
以敍其悲怨之情
이라
言 陰陽和而後雨澤降
하니
如夫婦和而後家道成
이라
故
로
爲夫婦者 當黽勉以同心
이언정
而不宜至於有怒
라하고
又言采葑菲者不可以其根之惡而棄其莖之美
니
如爲夫婦者 不可以其顔色之衰而棄其德音之善
이니
但德音之不違
면
則可以與爾同死矣
라
行道遲遲
야
中心有違
어늘
不遠伊邇
야
薄送我
畿
다
誰謂
茶
苦
오
其甘如
薺
로다
宴爾新昏
야
如兄如
弟
다
傳
賦而比也
라
遲遲
는
徐行貌
라
違
는
相背也
라
畿
는
門內也
라
茶
는
苦菜
니
蓼屬也
니
詳見良耜
하니라
薺
는
甘菜
라
宴
은
樂也
라
新昏
은
夫所更娶之妻也
라
○ 言我之被棄
하여
行於道路
에
遲遲不進
하니
蓋其足欲前而心有所不忍
하여
如相背然
이어늘
而故夫之送我
에
乃不遠而甚邇
하여
亦至其門內而止耳
라
又言茶雖甚苦
나
反甘如薺
하여
以比己之見棄
가
其苦有甚於茶
어늘
而其夫方且宴樂其新昏
하여
如兄如弟而不見恤
이라
蓋婦人
은
從一而終
하니
今雖見棄
나
猶有望夫之情
하니
厚之至也
라
涇以渭濁
이나
湜
湜
其
沚
니라
宴爾新昏
야
不我屑以
다
毋逝我梁
야
毋發我
笱
언마는
我躬不閱
이온
遑恤我
後
아
傳
比也
라
涇, 渭
는
二水名
이라
涇水
는
出今原州百泉縣笄頭山東南
하여
至永興軍高陵入渭
하고
渭水
는
出渭州渭縣鳥鼠山
하여
至同州馮翊縣入河
라
湜湜
은
淸貌
라
沚
는
水渚也
라
屑
은
潔
이요
以
는
與
요
逝
는
之也
라
梁
은
堰石障水而空其中
하여
以通魚之往來者也
라
笱
는
以竹爲器
하여
而承梁之空
하여
以取魚者也
라
閱
은
容也
라
○ 涇濁渭淸
이나
然涇未屬渭之時
엔
雖濁而未甚見
이러니
由二水旣合
하여
而淸濁益分
이라
然
이나
其別出之渚
에
流或稍緩
이면
則猶有淸處
하니
婦人以自比其容貌之衰久矣
요
又以新昏形之
에
益見憔悴
라
然
이나
其心則固猶有可取者
라
但以故夫之安於新昏
이라
故
로
不以我爲潔而與之耳
라
又言毋逝我之梁, 毋發我之笱
하여
以比欲戒新昏
하여
毋居我之處
하여
毋行我之事
하고
而又自思
호되
我身且不見容
이어든
何暇恤我已去之後哉
아하니
知不能禁而絶意之辭也
라
就其深矣
라
方之舟之
요
就其淺矣
란
泳之游之
호라
何有何亡(無)
고야
黽勉求之
하며
凡民有喪
에
匍
匐
救
之
호라
傳
興也
라
方
은
桴
요
舟
는
船也
라
潛行曰泳
이요
浮水曰游
라
匍匐
은
手足竝行
이니
急遽之甚也
라
○ 婦人自陳其治家勤勞之事
라
言我隨事盡其心力而爲之
하여
深則方舟
하고
淺則泳游
하여
不計其有與亡
하고
而勉强以求之
하며
又周睦其隣里鄕黨
하여
莫不盡其道也
라
不我能
慉
이요
反以我爲讐
다
旣阻我德
니
賈
用不
售
로라
昔育恐育
鞠
야
及爾顚
覆
이러니
旣生旣育
하얀
比予于毒
가
傳
賦也
라
慉
은
養
이요
阻
는
却
이요
鞠
은
窮也
라
○ 承上章
하여
言我於女家
에
勤勞如此
어늘
而女旣不我養
하고
而反以我爲仇讐
ㅣ로다
惟其心
에
旣拒却我之善
이라
故
로
雖勤勞如此
나
而不見取
하니
如賈之不見售也
라
因念其昔時相與爲生
엔
惟恐其生理窮盡
하여
而及爾皆至於顚覆
이러니
今旣遂其生矣
하여는
乃反比我於毒而棄之乎
아
張子曰 育恐
은
謂生於恐懼之中
이요
育鞠
은
謂生於困窮之際
라하니
亦通
이니라
我有旨
蓄
은
亦以
御
冬
이니라
宴爾新昏
이여
以我御窮
이랏다
有
洸
有
潰
야
旣詒我
肄
하니
不念昔者
에
伊余來墍
ㅣ로다
傳
興也
라
旨
는
美
요
蓄
은
聚
요
御
는
當也
라
洸
은
武貌
요
潰
는
怒色也
라
肄
는
勞
요
墍
는
息也
라
○ 又言我之所以蓄聚美菜者
는
蓋欲以禦冬月乏無之時
니
至於春夏
면
則不食之矣
라
今君子安於新昏而厭棄我
하니
是但使我禦其窮苦之時
요
至於安樂則棄之也
라
又言於我極其武怒
하여
而盡遺我以勤勞之事
하니
曾不念昔者我之來息時也
라
追言其始見君子之時接禮之厚
하니
怨之深也
라
谷風六章
이니
章八句
라
[毛序] 谷風
은
刺夫婦失道也
라
衛人化其上
하여
淫於新昏而棄其舊室
하여
夫婦離絶
하여
國俗傷敗焉
하니라
역주
역주1
怒
: 叶暖五反
역주2
葑
: 采容反
역주3
菲
: 妃鬼反
역주4
死
: 叶想止反
역주5
畿
: 音祈
역주6
茶
: 音徒
역주7
薺
: 音齊
역주8
弟
: 待禮反
역주9
湜
: 音殖
역주10
沚
: 音止
역주11
笱
: 古口反
역주12
後
: 胡口反
역주13
匍
: 音蒲
역주14
匐
: 蒲卜反
역주15
救
: 叶居尤反
역주16
慉
: 許六反
역주17
賈
: 音古
역주18
售
: 市救反叶市周反
역주19
鞠
: 居六反
역주20
覆
: 芳服反
역주21
蓄
: 敕六反
역주22
御
: 魚呂反下同
역주23
洸
: 音光
역주24
潰
: 戶對反
역주25
肄
: 羊至反
시경집전(상)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방침
저작권안내
업무제휴문의
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Open API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전페이지
목록
다음페이지
맨위로
맨아래로
이메일
평가
★★★★★
★★★★
★★★
★★
★
명문장 추천하기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