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
賦也라 高山은 謂岐山也라 荒은 治요 康은 安也라 岨는 險僻之意也라 夷는 平이요 行은 路也라
○ 此는 祭大王之詩라 言天作岐山이어늘 而大王始治之하고 大王旣作이어늘 而文王又安之라 於是에 彼險僻之岐山에 人歸者衆하여 而有平易之道路하니 子孫當世世保守而不失也라
沈括曰 後漢書西南夷傳에 作彼岨者岐라하니 今按彼書컨대 岨但作徂하고 而引韓詩薛君章句에도 亦但訓爲往이요 獨矣는 正作者하여 如沈氏說이나 然其註末에 復云 岐雖阻僻이라하니 則似又有岨意라 韓子亦云 彼岐有岨라하니 疑或別有所據라 故로 今從之하여 而定讀岐字絶句하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