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
賦也라 監史는 司正之屬이니 燕禮鄕射에 恐有解(懈)倦失禮者하여 立司正以監之하여 察儀法也라 謂는 告요 由는 從也라 童羖는 無角之羖羊이니 必無之物也라 識는 記也라
○ 言飮酒者或醉或不醉라 故로 旣立監而佐之以史하니 則彼醉者는 所爲不善을 而不自知하여 使不醉者로 反爲之羞愧也라 安得從而告之하여 使勿至於大怠乎아 告之若曰 所不當言者는 勿言하고 所不當從者는 勿語이니 醉而妄言이면 則將罰汝하여 使出童羖矣라하니 設言必無之物하여 以恐之也라 女飮至三爵에 已昏然無所記矣어든 況敢又多飮乎아하니 又丁寧以戒之也라
毛氏序曰 衛武公이 刺幽王也라하고 韓氏序曰 衛武公飮酒悔過也라하니 今按此詩意컨대 與大雅抑戒相類하니 必武公自悔之作이니 當從韓義라
[毛序] 賓之初筵은 衛武公刺時也라 幽王荒廢하여 媟近小人하고 飮酒無度하니 天下化之하여 君臣上下 沈湎淫液하니 武公旣入而作是詩也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