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
興也라 楊園은 下地也라 猗는 加也라 畝丘는 高地也라 寺人은 內小臣이니 蓋以讒被宮而爲此官也라 孟子는 其字也라
○ 楊園之道而猗于畝丘로 以興賤者之言이 或有補於君子也라 蓋譖始於微者하여 而其漸將及於大臣이라 故로 作詩하여 使聽而謹之也라 劉氏曰 其後에 王后太子及大夫 果多以讒廢者하니라
巷伯七章이니 四章은 章四句요 一章은 五句요 一章은 八句요 一章은 六句라
巷은 是宮內道名이니 秦漢所謂永巷이 是也요 伯은 長也니 主宮內道官之長이니 卽寺人也라 故로 以名篇하니라 班固司馬遷贊云 迹其所以自傷悼컨대 小雅巷伯之倫이라하니 其意亦謂巷伯이 本以被譖而遭刑也라 而楊氏曰 寺人은 內侍之微者라 出入於王之左右하여 親近於王而日見之하니 宜無間之可伺矣어늘 今也亦傷於讒하니 則疎遠者可知라 故로 其詩曰 凡百君子여 敬而聽之라하여 使在位知戒也라하니 其說不同이라 然이나 亦有理하니 姑存於此云이라
[毛序] 巷伯은 刺幽王也니 寺人傷於讒이라 故로 作是詩也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