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
賦也라 於는 歎辭라 穆은 深遠也요 淸은 淸靜也라 肅은 敬이요 雝은 和요 顯은 明이라 相은 助也니 謂助祭之公卿諸侯也라 濟濟는 衆也라 多士는 與祭執事之人也라 越은 於也라 駿은 大而疾也라 承은 尊奉也라 斯는 語辭라
○ 此는 周公이 旣成洛邑而朝諸侯하고 因率之以祀之王之樂歌라 言 於穆哉라 此淸靜之廟여 其助祭之公侯 皆敬且和하고 而其執事之人이 又無不執行文王之德하여 旣對越其在天之神하고 而又駿奔走其在廟之主하니 如此면 則是文王之德이 豈不顯乎아 豈不承乎아 信乎其無有厭斁於人也라
書에 稱王在新邑하여 烝祭하시니 歲러라 文王에 騂牛一이요 武王에 騂牛一이라하니 實周公攝政之七年而此其升歌之辭也라 書大傳曰 周公이 升歌淸廟할새 苟在廟中하여 嘗見文王者하시고 愀然如復見文王焉이라하고 樂記曰 淸廟之瑟은 朱弦而疏越하며 壹倡而三歎하여 有遺音者矣라하니라 鄭氏曰 朱弦은 練朱弦이니 練則聲濁이요 越은 瑟底孔也니 疏之하여 使聲遲也라 倡은 發歌句也요 三歎은 三人從歎之耳라 漢因秦樂하여 乾豆上하고 奏登歌호되 獨上歌하여 不以筦絃亂人聲하여 欲在位者徧聞之하니 猶古淸廟之歌也라
[毛序] 淸廟는 祀文王也라 周公이 旣成洛邑하시고 朝諸侯하여 率以祀文王焉하시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