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王有聲
이여(이) 有聲
이샷다遹求厥寧
하사遹觀厥成
하시니文王烝哉
삿다
傳
賦也라 遹은 義未詳하니 疑與聿同이니 發語詞라 駿은 大요 烝은 君也라
○ 此詩는 言 文王遷豊, 武王遷鎬之事니 而首章推本之曰 文王之有聲也여 甚大乎其有聲也ㅣ로다 蓋以求天下之安寧하여 而觀其成功耳라 文王之德如是하시니 信乎其克君也哉신저
文王受命하사有此武功하삿다
旣伐于崇하시고作邑于豊하시니文王烝哉삿다
傳
賦也라 伐崇事는 見皇矣篇하니라 作邑은 徙都也라 豊은 卽崇國之地니 在今鄠縣杜陵西南하니라
築城伊
하시고作豊伊匹
하시니匪
其
이라遹追來
시니王后烝哉
삿다
傳
賦也라 淢은 城溝也라 方十里爲成이요 成間有溝하니 深廣各八尺이라 匹은 稱이요 棘은 急也라 王后는 亦指文王也라
○ 言文王營豊邑之城에 因舊溝爲限而築之하시고 其作邑居에 亦稱其城而不侈大하시니 皆非急成己之所欲也요 特追先人之志하여 而來致其孝耳라
王公伊
은維豊之
이니라四方攸同
야王后維
니王后烝哉
삿다
傳
○ 王之功이 所以著明者는 以其能築此豊之垣故爾라 四方이 於是來歸하여 而以文王爲楨榦也라
豊水東注니維禹之績이로다
四方攸同야皇王維辟니皇王烝哉삿다
傳
賦也라 豊水는 東北流하여 徑豊邑之東하여 入渭而注于河하니라 績은 功也라 皇王은 有天下之號니 指武王也라 辟은 君也라
○ 言豊水東注는 由禹之功이라 故로 四方得以來同於此하여 而以武王爲君하니 此는 天王未作鎬高時也라
鎬京辟廱
에自西自東
하며自南自北
야無思不
니皇王烝哉
삿다
傳
賦也라 鎬京은 武王所營也라 在豊水東하니 去豊邑二十五里하니라 張子曰 周家自后稷居邰로 公劉居豳하고 大王邑岐하며 而文王則遷于豊하고 至武王하여 又居于鎬하시니 當是時하여 民之歸者日衆하여 其地有不能容하여 不得不遷也라 避廱은 說見前篇하니라 張子曰 靈臺辟廱은 文王之學也요 鎬京辟廱은 武王之學也니 至此하여 始爲天子之學矣라 無思不服은 心服也라 孟子曰 天下不心服而王者 未之有也라하시니라
○ 此는 言武王徙居鎬京하여 講學行禮하니 而天下自服也라
考卜維王
이宅是鎬
이샷다維龜
之
어늘武王成之
하시니武王烝哉
삿다
傳
賦也라 考는 稽요 宅은 居요 正은 決也라 成之는 作邑居也라 張子曰 此擧諡者는 追述其事之言也라
豊水有芑
니武王豈不
시리오詒厥孫謀
하사以燕翼
하시니武王烝哉
삿다
傳
興也라 芑는 草名이라 仕는 事요 詒는 遺요 燕은 安이요 翼은 敬也라 子는 成王也라
○ 鎬京이 猶在豊水下流라 故로 取以起興하여 言豊水猶有芑하니 武王豈無所事乎시리오 詒厥孫謀하여 以燕翼子하시니 則武王之事也라 謀及其孫이면 則子可以無事矣리라 或曰 賦也니 言豊水之傍에 生物繁茂하니 武王豈不欲有事於此哉시리오마는 但以欲遺孫謀하여 以安翼子라 故로 不得而不遷耳라
此詩는 以武功稱文王하고 至于武王하여는 則言皇王維辟, 無思不服而已니 蓋文王旣造其始면 則武王續而終之 無難也일새라 又以見文王之文은 非不足於武요 而武王之有天下는 非以力取之也니라
[毛序] 文王有聲은 繼伐也라 武王이 能廣文王之聲하여 卒其伐功也하시니라
鄭譜엔 此以上을 爲文武時詩라하고 以下를 爲成王周公時詩라하나 今按 文王首句에 卽云文王在上하니 則非文王之詩矣요 又曰 無念爾祖아하니 則非武王之詩矣며 大明, 有聲에 幷言文武者非一이니 安得爲文武之時所作乎아 蓋正雅는 皆成王周公以後之詩라 但此什이 皆爲追述文武之德이라 故로 譜因此而誤耳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