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軾(3)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於錯之不自將而爲居守處 尋一破綻하야 作議論하니 却好
天下之患 最不可爲者 名爲治平無事 而其實 有不測之憂하니 坐觀其變而不하면 則恐至於不可救 起而强爲之하면 則天下狃于治平之安하야 而不吾信이라
唯仁人君子豪傑之士 爲能出身하야 爲天下犯大難하야 以求成大功하나니 固非勉强之間하야 而苟以求名者之所能也
天下治平이어늘 無故而發大難之端인댄 吾發之하면 吾能收之 然後 能免難於天下하나니
事至而循循焉欲去之하야 使他人任其責이면 則天下之禍 必集于我하나니라
昔者 晁錯盡忠爲漢하야 한대
諸侯幷起하야 以誅錯爲名이어늘 而天子不察하고 以錯爲說하니 天下悲錯之以忠而受禍하고 而不知錯之有以取之也하니라
古之立大事者 不唯有超世之才 亦必有堅忍不拔之志하니라
하시니 方其功之未成也 蓋亦有潰冒衝突可畏之患이로되 惟能前知其當然하야 事至不懼하야 而徐爲之所하시니
是以 得至於成功하니라
夫以으로 而驟削之하니 其爲變 豈足怪哉리오
錯不於此時 捐其身하야 爲天下하야 當大難之衝하야 而制吳楚之命하고 乃爲自全之計하야
且夫發七國之難者 誰乎
已欲求其名인댄 安所逃其患이리오
以自將之至危 與居守之至安으로 己爲難首하야 擇其至安하고 而遺天子以其至危하니 此忠臣義士所以憤惋而不平者也니라
當此之時하야 雖無袁盎이라도 錯亦不免于禍리라
何者
己欲居守하고 而使人主自將하니 以情而言이면 天子固已難之矣로되 而重違其議
是以 得行于其間하니라
使吳, 楚反 錯以身任其危하야 日夜淬礪하야 東向而待之하야 使不至于累其君이면 則天子將恃之하야 以爲無恐하리니 雖有百袁盎이나 可得而間哉
嗟夫
世之君子 欲求非常之功인댄 則無務爲自全之計
使錯自將而擊吳楚라도 未必無功이어늘 唯其欲自固其身하야 而天子不悅일새 奸臣 得以乘其隙하니 錯之所以自全者 乃其所以自禍歟인저
錯之誤 誤在以舊有怨於盎이라하야 而欲借吳之反以誅之하니 此所謂
何者
以錯之學 本刑名故也니라


07. 조조晁錯에 대한
조조晁錯가 직접 군대를 거느리고 나가지 않고 거수居守(유수留守)가 된 부분에서 하나의 파탄을 찾아 의논을 삼았으니, 매우 좋다.
천하天下의 환란 중에 가장 다스릴 수 없는 것은 겉으로는 천하가 치평治平하여 무사한 듯하나 실제는 측량할 수 없는 우환이 있는 경우이니, 가만히 앉아 변고를 보면서 조처하지 않으면 구원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까 두렵고, 일어나서 억지로 다스리려고 하면 천하 사람들이 치평治平의 편안함에 익숙해져서 자신의 말을 믿어주지 않는다.
오직 인인仁人군자君子와 호걸의 선비들은 자기 몸을 던져 천하를 위해 큰 어려움을 무릅쓰고 큰 공을 이루려고 하니, 이는 진실로 기월期月 사이에 억지로 힘써서 구차히 명예를 구하려고 하는 자가 능히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천하가 잘 다스려지고 편안한데, 까닭 없이 큰 환란의 단서를 만들었을 경우, 자신이 그것을 만들어냈으면 자신이 제대로 수습해야 하니, 그런 뒤에야 천하의 환란을 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자신이 큰 환란의 단서를 만들어내어〉 큰 일이 이르게 되면 주저하면서 떠나고자 하고 딴 사람으로 하여금 그 책임을 맡게 할 경우, 천하의 화가 반드시 자신에게 집중된다.
옛날 조조晁錯가 충성을 다하여 나라를 위해서 산동山東제후諸侯들을 약화시킬 것을 모의하였다.
이에 제후諸侯들이 함께 일어나서 조조晁錯를 죽이는 것을 명분으로 삼았는데, 천자天子가 살피지 못하고 조조晁錯를 처단하고 이로써 제후들에게 해명하니, 천하 사람들은 조조晁錯가 충성을 하다가 를 입은 것을 서글퍼하고, 조조晁錯가 스스로 이 를 취함이 있었던 것은 알지 못한다.
옛날에 큰일을 성립한 자들은 다만 세상에 뛰어난 재주가 있었을 뿐만이 아니요, 또한 반드시 꿋꿋하게 참아서 뽑을 수 없는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옛날 우왕禹王이 홍수를 다스릴 적에 용문龍門을 굴착하고 황하黃河를 터서 바다에 이르게 하셨는데, 그 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적에는 또한 물이 범람하고 충돌하여 두려워할 만한 우려가 있었으나, 오직 우왕禹王은 당연히 그러할 것을 미리 알고서 일이 이르러도 두려워하지 아니하여 서서히 대처하였다.
이 때문에 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저 강성한 의 7을 대번에 봉지를 떼어내었으니, 그들이 반란을 일으키는 것이 어찌 괴이할 것이 있겠는가?
조조晁錯는 이때에 천하를 위해 자기 몸을 던져 큰 환란의 충돌을 담당해서 나라와 나라의 명운을 제어하지 않고, 도리어 자신을 온전히 할 계책을 세웠다.
그리하여 천자天子로 하여금 스스로 군대를 거느리고 출정하게 하고, 자신은 도성에 남아서 지키고자 하였다.
또 7의 난을 유발한 자가 누구인가?
이미 그 명예를 구하고자 했다면 어찌 그 환란을 피한단 말인가?
직접 군대를 거느리고 출정하는 지극히 위험한 것과 도성에 머물면서 지키는 지극히 편안한 것 가운데에서, 자신이 환란의 우두머리가 되어 지극히 편안한 것을 선택하고 천자에게는 지극히 위험한 것을 넘겨주었으니, 이 때문에 충신忠臣의사義士가 화를 내며 한탄하고 불평하는 것이다.
이때를 당하여 비록 원앙袁盎이 없었더라도 조조晁錯는 또한 화를 면치 못했을 것이다.
어째서인가?
자신은 도성에 남아 지키고 군주로 하여금 직접 군대를 거느리고 출전하게 하였으니, 인정을 가지고 말한다면 천자天子가 진실로 출전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여겼으나 그의 의논을 어기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이 때문에 원앙袁盎의 참소하는 말이 그 사이에 행해질 수 있었던 것이다.
만일 나라와 나라가 반란을 일으켰을 적에, 조조晁錯가 자신이 그 위험을 책임지고 밤낮으로 군대를 정비하고 조련하여 동쪽을 향해 대비해서 군주에게 누를 끼침에 이르지 않았더라면, 천자天子는 장차 조조晁錯를 믿어서 두려워할 것이 없었을 것이니, 비록 백 명의 원앙袁盎이 있더라도 어떻게 이간질할 수 있었겠는가?
슬프다!
세상의 군자君子들이 비상한 을 세우려고 한다면 자신을 온전히 하는 계책을 내는 데에 힘쓰지 말아야 한다.
만일 조조晁錯가 직접 군대를 거느리고 출전하여 를 공격했더라도 반드시 성공하지 못하지는 않았을 것인데, 다만 스스로 자기 몸을 안전하게 하려고 하여 천자天子가 이것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간신姦臣이 그 틈을 타고 들어간 것이니, 조조晁錯가 자기 몸을 온전히 하려고 한 것은 바로 스스로 화를 취한 것이다.
조조晁錯의 잘못은 옛날 원앙袁盎에게 원한이 있다 하여 나라의 배반을 빌어 그를 주벌하려고 한 데에 있었으니, 이것은 이른바 “살기殺機를 스스로 발하여 귀신이 그 방을 엿본다.”는 것이다.
어째서인가?
이는 조조晁錯의 학문이 형명刑名에 근본하였기 때문이다.


역주
역주1 晁錯論 : 이 글은 東坡가 젊은 시절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晁錯는 鼂錯로도 쓰는데 漢나라 文帝․景帝 때의 문신으로 潁川 사람이다. 軹邑의 張恢로부터 申不害와 商鞅 등의 刑名學을 배우고 출사하여 벼슬이 御史大夫에 이르렀다. 그는 성품이 강하고 위엄을 앞세웠으며 각박하고 비정했으나 재주와 식견이 뛰어나 좋은 계책을 많이 내었다. 文帝 때에 후일 景帝가 된 太子의 舍人으로 있다가 家令이 되어 太子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나, 각박한 성품 때문에 사람들의 미움을 받았다.
景帝가 즉위하자, 內史에 임명되고 자주 景帝와 독대하여 자신의 계책을 실현하였으며, 御史大夫가 되자 제후들의 세력이 너무 강성해서 장차 나라의 큰 우환이 될 것을 우려하여 “봉지를 삭감하고 휘하의 군현을 조정에서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이를 실천에 옮겼다. 이에 吳․楚 등 7국이 간신 晁錯를 처단한다는 명분을 내걸고 반란을 일으켰다.
晁錯가 반란의 소식을 듣고 景帝와 함께 이들을 토벌할 계책을 논의하고 있었는데, 竇嬰과 袁盎이 입궐하여 景帝에게 晁錯를 처형하면 제후들이 반란을 그칠 것이라고 진언하자, 전쟁을 두려워한 景帝가 이를 받아들여 東廂에 물러나 있던 그에게 저자를 순행하라고 속여 東市에 보내 처형하게 하니, 晁錯는 朝衣를 입은 채로 영문도 모른 채 斬首되었다.
역주2 爲之所 : 所는 조처하다의 뜻으로, 이와 같은 용례는 《春秋左氏傳》 隱公 원년(B.C. 722)에 “일찍이 조처하여 뻗어나가지 못하게 하는 것만 못하다.[不如早爲之所]”라고 보인다.
역주3 期月 : 때로는 한 달을 가리키기도 하나, 여기서는 12개월을 한 번 도는 것으로 곧 1년을 가리킨다. 《論語》 〈子路〉에 “孔子께서 ‘만일 나를 등용해주는 자가 있다면 期月만 하더라도 괜찮으니, 3년이면 이루어짐이 있을 것이다.’[子曰 苟有用我者 朞月而已 可也 三年有成]라고 하셨다.” 하였는데, 朱子의 集註에 “期月은 1년의 12개월을 一周함을 이른다.”라고 하였다. 朞는 期와 통용된다.
역주4 謀弱山東之諸侯 : 山東의 제후는 吳王 濞와 楚王 戊, 趙王 遂, 膠西王 卬을 이른다.
吳王 濞는 본래 성질이 사납고 용맹을 좋아하였는데 태자가 天子國에 조회 가서 황태자와 바둑을 두다가 불손한 언쟁으로 바둑판에 맞아 죽는 변고가 발생하자, 天子國에 조회 가지 않았다. 楚王 戊는 文帝의 妃인 薄太后의 喪에 服을 입을 적에 私室에서 간통을 하다가 발각되어 東海郡을 빼앗겼고, 趙王 遂 역시 죄를 짓고 常山郡을 빼앗겼으며, 膠西王 卬은 매관매직한 죄로 6개 郡을 빼앗겼다.
吳王 濞는 제후들의 영지 삭탈이 끝이 없을까 두려워하고, 膠西王을 설득하여 菑川王 賢, 膠東王 雄渠, 濟南王 辟光과 모반을 약속하게 하니, 楚王 戊와 趙王 遂도 이에 합류하여 7국이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將軍 周亞夫의 토벌을 받고 모두 평정되었다.
山東은 지금의 山東 지방을 이르는 것이 아니고, 당시 天子國이 있던 山西 지방과 상대하여 칭한 것이다.
역주5 昔禹之治水……而放之海 : 龍門은 黃河의 상류에 있는 山 이름으로 지금의 山西省 華陰縣과 陝西省 韓城縣 사이에 있다. 황하가 이곳에 이르면 협곡이 막고 있어 물이 빠지지 못하였는데, 夏나라 禹王이 계곡을 파서 물길을 내었다 한다. 이로 말미암아 큰 폭포가 생겼는데, 물고기들이 이 폭포를 올라가면 龍이 된다는 전설이 있어 龍門이라 이름하였으며, 이 때문에 사람이 출세하는 것을 登龍門이라고도 표현하게 되었다.
禹王이 龍門을 뚫은 일에 대해서는 《書經》 〈夏書 禹貢〉에 “禹王이 河水를 인도하되 積石으로부터 龍門에 이르며, 남쪽으로 華陰에 이르며, 동쪽으로 底柱에 이르며, 또 동쪽으로 孟津에 이르며, 동쪽으로 洛汭를 지나 大伾에 이르며, 북쪽으로 洚水를 지나 大陸에 이르며, 또 북쪽으로 나뉘어 九河가 되었다가 함께 합류하여 逆河가 되어 바다에 들어가게 하였다.[導河 積石至于龍門 南至于華陰 東至于底柱 又東至于孟津 東過洛汭 至于大伾 北過洚水 至于大陸 又北播爲九河 同爲逆河 入于海]”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朱子의 《書經集傳》에 “李復이 이르기를 ‘同州의 韓城縣 북쪽에 安國嶺이 있으니, 東西가 40여 리이며 동쪽으로 大河에 임하였다. 黃河가에 禹王의 사당이 있는데, 산이 끊기고 河水가 발원하는 곳에 있다. 禹王이 龍門을 뚫을 적에 唐나라 張仁愿이 쌓은 東受降城 동쪽에서 시작하여 북쪽에서부터 남쪽으로 와서 이 山에 이르러 다하였다. 두 江岸에는 石壁이 우뚝이 서 있고, 大河(黃河)가 山峽의 사이 천수백 리를 감고 흐르다가 이곳에 이르러 山이 열리고 江岸이 넓어지니, 물길이 豁然히 奔放하여 怒氣가 넘쳐 바람이 일고 폭포 소리가 수만 개의 우레와 같다.’고 하였다.
이제 살펴보건대 옛말에 禹王이 龍門을 뚫었다고 하나 뚫은 이유가 상세하지 않고, 傳說에 내려오기를 단지 옛것을 따라 물길을 닦고 열어서 막히는 것을 제거하여 水勢를 터놓았다고 할 뿐이다. 그런데 이제 李氏(李復)의 말을 자세히 살펴보면 受降城의 동쪽으로부터 龍門에 이르기까지는 모두 禹王이 새로 뚫어 만든 것이니, 만약 과연 이와 같다면 禹王이 뚫기 이전에 河水의 옛길은 어느 곳에 있었는지 알 수 없다. 李氏의 학문이 지극히 해박한데, 이 말은 또 무엇을 근거로 하였는지 알 수 없다.”라고 보인다.
역주6 七國之彊 : 7國은 吳王 濞와 함께 반란을 일으킨 楚․趙․膠西․膠東․菑川․濟南의 일곱 나라를 이르는데, 이들은 모두 영지가 크고 나라가 부강하였다. 《漢書 景帝紀》
역주7 欲使天子自將 而己居守 : 居守는 출전하지 않고 도성에 남아 지킴을 이른다. 呉․楚 7國의 반란이 일어나자 景帝가 晁錯와 함께 출군하는 일을 논의하였는데, 晁錯는 景帝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출전하고 자신은 도성을 지키겠다고 청하였다. 《漢書 晁錯傳》
역주8 袁盎之說 : 袁盎은 漢 文帝․景帝 때의 문신으로 字가 絲인데 楚나라 출신이다. 呂太后 시절 呂祿의 舍人으로 있다가 文帝가 즉위하자 中郞이 되었으며 벼슬이 太常에 이르렀다. 평소 晁錯와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吳․楚가 반란을 일으키자, 御史大夫로 있던 晁錯는 袁盎이 일찍이 吳王의 相國으로 있으면서 吳王으로부터 뇌물을 받고 반란 계획을 알고도 숨겨주었을 것이라고 의심하고, 景帝에게 청하여 袁盎의 죄를 다스리려고 하였다. 御史臺의 관리들이 반대하자, 晁錯가 주저하며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었는데, 어떤 사람이 이 일을 袁盎에게 고하였다.
袁盎은 두려워하여 야음을 틈타 魏其侯 竇嬰의 집을 찾아가 吳나라가 반란을 일으킨 연유를 설명하고, 자신이 직접 景帝를 알현하여 정황을 설명할 수 있도록 주선해달라고 청하였다. 竇嬰이 곧바로 입궐하여 景帝에게 袁盎의 말을 전하자, 景帝는 袁盎의 접견을 허락하였다. 당시 景帝는 晁錯와 반란군을 토벌하기 위해 군량 조달을 상의하고 있었는데, 袁盎이 입궐하자 晁錯가 잠시 東廂으로 피하였다. 袁盎이 景帝에게 구체적인 증거를 들어가며 吳나라가 반란을 일으킨 것은 순전히 晁錯 때문이니, 시급히 晁錯를 斬하고 吳나라를 설득하면 吳나라의 군대는 저절로 물러갈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景帝가 그 말을 믿고 晁錯를 참수하였다.
이에 謁者僕射인 鄧先이 글을 올려 軍事를 말하기를 “吳나라가 반란을 계획한 지가 수십 년이 되었습니다. 晁錯가 자기의 영지를 깎아낸 것에 노하여 그를 죽인다는 명분으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그의 본뜻은 晁錯에게 있지 않습니다. 晁錯는 제후들의 영지가 너무 커서 제재할 수 없음을 염려했으므로 그들의 영지를 줄여서 天子의 京師를 높이려고 하였으니, 이는 萬世의 이익입니다. 그런데 계획이 처음 시행되자, 끝내 죽임을 당하여 안으로는 忠臣의 입을 막고 밖으로는 제후들의 원수를 갚아주었으니, 臣은 적이 폐하를 위해 옳게 여기지 않습니다.” 하였다. 이 글을 본 景帝는 한숨을 쉬며 “나 또한 후회한다.”라고 하였다.
그 후 吳․楚 등은 끝내 반란을 일으켰다가 장군 周亞夫의 토벌을 받고 모두 평정되었다. 《史記 袁盎晁錯列傳》
역주9 自發殺機也 鬼瞰其室矣 : 殺機는 사람을 죽이는 기관을 이르며, 鬼瞰은 마귀가 엿보아 해치는 것으로, 漢나라 揚雄의 〈解嘲文〉에 “고명한 집은 귀신이 반드시 그 방을 엿보아 해치려고 한다.[高明之家 鬼瞰其室]” 하였는데, 고명한 사람은 부귀한 사람을 뜻한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