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軾(4)

당송팔대가문초 소식(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식(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專爲吏胥以下之才하니 其情弊與今亦相參이요 而文甚錯綜하니라
昔者先王之爲天下 必使天下 欣欣然常有無窮之心하야 力行不倦하야 而無自棄之意하시니이다
夫惟自棄之人 則其爲惡也 甚毒而不可解
是以 聖人畏之하사 設爲高位重祿하야 以待能者하야 使天下 皆得踊躍自奮하야 扳(攀)援而來하시니 惟其才之不逮하고 力之不足이라 是以 終不能至於其間이요 而非聖人塞其門, 絶其途也니이다
夫然故 一介之賤吏 閭閻之匹夫 莫不奔走於善하야 至於老死而不知休息하니 此聖人以術驅之也니이다
天下 苟有甚惡而不可忍也하야 聖人旣已絶之시면 則屛之遠方하야 終身不齒하시니
此非獨不仁也 以爲旣已絶之하니 彼將一旦肆其忿毒하야 以殘害吾民이라
是故 絶之則不用하고 用之則不絶이니 旣已絶之하고 又復用之 則是驅之於不善하고 而又假之以其具也니이다
無所望而爲善하고 無所愛惜而不爲惡者 天下一人而已矣
以無所望之人으로 而責其爲善하고 以無所愛惜之人으로 而求其不爲惡하고 又付之以人民이면 則天下知其不可也니이다
世之賢者 何常之有리오
或出於賈竪賤人하고 甚者 至於盜賊하야 往往而是 而儒生貴族으로 世之所望爲君子者 或至於放肆不軌하야 小民之所不若하니 聖人知其然이라
是故 不逆定於其始進之時하고 而徐觀其所試之效하야 使天下無必得之由하고 亦無必不可得之道하시니 天下知其不可以必得也然後 勉彊於功名하야 而不敢僥倖하고 知其不至於必不可得也然後 有以自慰其心하야 久而不懈니이다
嗟夫
聖人之所以鼓舞天下之人하야 日化而不自知者 此其爲術歟인저
後之爲政者 則不然하야 與人以必得하고 而絶之以必不可得하니 此其意以爲進賢而退不肖니이다
이나 天下之弊 莫甚於此
今夫制策之及等 進士之高第 皆以一日之間으로 而決取終身之富貴하나니
此雖一時之文詞 而未知其臨事之能否하니 則其用之不已太遽乎잇가
天下有用人而絶之者三이니
州縣之吏 苟非有大過而不可復用이면 則其他犯法 皆可使竭力爲善以自贖이어늘 而今世之法 一陷於罪戾하면 則終身不遷하야
使之不自聊賴하야 而疾視其民하고 肆意妄行하야 而無所顧惜하니 此其初未必小人也 不幸而陷於其中하야 途窮而無所入이면 則遂以自棄니이다
府史賤吏 爲國者知其不可闕也 是故 歲久則補以外官이나
以其所從來之卑也 而限其所至하니 則其中 雖有出群之才 終亦不得齒於士大夫之列이니이다
夫人出身而仕者 將以求貴也 貴不可得而至矣 則將惟富之求하리니 此其勢然也
如是 則雖至於鞭笞戮辱이라도 而不足以禁其貪이라
夫此二者 苟不可以遂棄 則宜有以少假之也니이다
入貲而仕者 皆得補郡縣之吏 彼知其終不得遷이면 亦將逞其一時之欲하야 無所不至하리니 夫此誠不可以遷也 則是用之之過而已니이다
曰 絶之則不用하고 用之則不絶이라하니 此三者之謂也니이다


06. 을 막지 말아야 한다
이것은 오로지 서리胥吏 이하의 재주있는 자를 위해서 말하였으니, 사사로운 정 때문에 생긴 폐단이 지금과도 서로 비견될 만하고, 글이 매우 종합적으로 잘 짜여져 있다.
옛날 선왕이 천하天下를 다스릴 적에는 반드시 천하天下 사람들로 하여금 항상 흔쾌히 끊임없이 을 지향하는 마음을 품고 있어서 힘써 행하고 게을리하지 아니하여 스스로 포기하는 마음이 없게 하셨습니다.
저 자포자기하는 자들은 그 악행을 하는 것이 몹시 해로워서 이를 해소할 수가 없습니다.
이 때문에 성인聖人이 이것을 두려워하여 높은 지위와 많은 녹봉을 만들어서 유능한 자를 대우하여, 천하天下 사람들로 하여금 모두 뛸 듯이 기뻐하면서 스스로 분발하여 진취적으로 따라오게 하셨으니, 오직 재주가 미치지 못하고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끝내 그 사이에 이르지 못하는 것이요, 성인聖人이 문을 막고 길을 끊은 것이 아닙니다.
이런 까닭에 낮은 관리와 여염의 필부들도 모두 선행善行을 하는데 분주하여 늙어 죽을 때까지 그칠 줄을 몰랐으니, 이는 성인聖人이 좋은 방법으로 백성들을 몰아간 것입니다.
그리고 천하天下에 만일 매우 악하여 용인할 수 없는 자가 있어서 성인聖人이 이미 그를 끊어버리시면 그를 먼 지방으로 물리쳐서 종신토록 벼슬자리에 참여하지 못하게 하였습니다.
이는 유독 그 사람에게만 불인不仁하게 대하신 것이 아니고, 이미 그 사람을 끊었으니 저 사람이 장차 하루아침에 분노와 포악함을 제멋대로 부려서 우리 백성들을 해칠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끊었으면 등용하지 말고 등용했으면 끊지 말아야 하는 것이니, 이미 끊고 또다시 등용한다면 이는 그 사람을 불선不善으로 몰아넣고 또다시 나쁜 짓을 할 수 있는 도구를 빌려주는 것입니다.
아무 것도 바라지 않으면서 선행을 하고 아무 것도 애석해 하지 않으면서 악행을 하지 않는 자는 천하天下에 겨우 한 사람이 있을 뿐입니다.
그런데 바라는 것이 없는 사람에게 선행을 하기를 바라고 애석해 하는 것이 없는 사람에게 악행을 하지 않기를 바라며, 또 그에게 백성을 맡긴다면 천하天下 사람들은 그 불가함을 알 것입니다.
세상에 현자賢者가 어찌 일정함이 있겠습니까?
혹은 장사꾼과 천인賤人에게서 나오고 심지어는 도적에게서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으며, 또 유생儒生귀족貴族으로서 세상 사람들이 군자君子가 되기를 바라는 사람 중에는 혹 제멋대로 행동하고 법도를 지키지 않아서 일반 백성들만도 못하니, 성인聖人이 이러한 내용을 아셨습니다.
이 때문에 처음 등용하는 때에 미리 결정하지 않고, 시험해서 공효功效를 서서히 관찰하여, 천하天下 사람들로 하여금 벼슬을 반드시 얻을 수 있는 길도 없고, 반드시 얻을 수 없는 길도 없게 하셨으니, 천하天下 사람들로 하여금 벼슬을 반드시 얻을 수가 없다는 것을 알게 한 뒤에야 공명功名에 힘써서 감히 요행을 바라지 못하고, 또 반드시 얻을 수가 없지는 않다는 것을 알게 한 뒤에야 스스로 자기 마음을 위안해서 오래 해도 게을러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
성인聖人천하天下 사람들을 고무시켜서 백성들이 날로 교화되면서도 스스로 알지 못하게 된 것은 이 방법 때문일 것입니다.
후세의 위정자들은 그렇지 않아서 사람들에게 반드시 벼슬을 얻을 수 있도록 주고 반드시 얻을 수 없는 것으로써 체념하게 하니, 그 뜻은 어진 사람을 등용하고 불초不肖한 자를 물리치려는 것입니다.
그러나 천하天下의 병폐는 이보다 더 심한 것이 없습니다.
지금 제책制策에 급제한 자와 진사과進士科에 높은 등급으로 급제한 자들은 모두 하루 동안에 종신의 부귀를 결단하여 취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비록 한때의 문장으로 뽑은 것이나 일을 감당할 능력이 있는지의 여부는 아직 알지 못하니, 등용하는 것이 너무 성급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천하天下에 사람을 등용하면서 체념하게 하는 경우가 세 가지가 있습니다.
주현州縣의 관리는 만일 큰 과오가 있어서 다시 등용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면 기타 작은 범죄는 모두 힘을 다하여 선행善行을 해서 스스로 속죄하게 해야 하는데, 지금 세상의 법은 한 번 죄악에 빠지면 종신토록 승진하지 못합니다.
그리하여 죄를 지은 자로 하여금 스스로 의지할 데가 없어서 백성들을 밉게 보고, 제멋대로 생각하고 망령되이 행동하여 돌아보고 애석해 하는 바가 없게 하니, 이들이 처음부터 반드시 소인小人이었던 것은 아니었고, 불행히 죄악의 가운데에 빠져서 길이 막혀 들어갈 곳이 없으면 마침내 스스로 이처럼 포기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부사府史의 낮은 관리들은, 나라를 다스리는 자들이 이들이 없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이들을 임용하고 세월이 오래되면 외관外官(지방관)을 보임합니다.
그러나 그 출신이 비천하다 하여 이들의 승진을 제한하니, 그 가운데에 비록 출중한 재주가 있더라도 끝내 사대부士大夫의 반열에 참여하지 못합니다.
사람이 몸을 일으켜 벼슬하는 이유는 장차 귀해지고자 해서인데, 귀해짐을 얻지 못할 경우에는 장차 오직 〈부정하게 축재蓄財하여〉 부유해지기만을 추구할 뿐이니, 이는 형세상 당연한 것입니다.
이와 같다면 비록 채찍질하고 볼기쳐서 욕보이더라도 관리들의 탐욕을 금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 두 부류의 사람들은 만일 끝내 버릴 수 없다면 마땅히 조금 너그럽게 해주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또 돈을 바치고 벼슬하는 자들은 모두 군현郡縣의 관리에 보임되나, 저들은 자신이 끝내 승진할 수 없다는 것을 알면 또한 한때의 탐욕을 부려서 못하는 짓이 없을 것이니, 이들을 참으로 승진시킬 수 없다면 이들을 등용하는 것이 잘못입니다.
그러므로 은 말하기를 “끊었으면 등용하지 말고 등용했으면 끊지 말아야 한다.”라고 하는 것이니, 이 세 부류의 사람을 말한 것입니다.


역주
역주1 無沮善 : 이 글은 〈策別 課百官〉의 여섯 번째 편으로 본래의 제목은 〈策別 課百官 六〉이다. 本集에는 편 머리에 ‘其六曰無沮善’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식(4)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