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1)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臣某하노이다
伏蒙聖慈하야 特差馮宗道하야 傳宣撫問하시고 及就府賜臣生日禮物 金花銀器一百兩 衣著一百匹 衣一對 金鍍銀鞍轡一副幷纓複 馬二匹 湯藥一銀盒 御封全者로소이다
微勞不效 僅逃 厚禮有加 尙躐이로소이다
(中謝) 臣外叨寄屬하야 仰誤眷憐하고 어늘 重負母慈之敎하니이다
追劬勞於晩節이나 方不自勝하고 惟蕃庶之舊恩호되 終無以稱하니이다
伏蒙皇帝陛下更馳膚使하사 曲喩至懷하시고 駔駿靈珍이요 琛奇組麗
豈下流之敢及이릿가
皆前此之所無니이다
金厄淑旂 多錫誠榮於旣往이요 로소이다


10. 생일에 예물을 하사하신데 감사하는
는 말씀을 올리나이다.
삼가 성스러운 폐하의 사랑을 받아서 특별히 입내내시성入內內侍省 내동두공봉관內東頭供奉官 풍종도馮宗道를 파견하여 안부를 물으시는 뜻을 전하시고, 에 나아가 생일에 하사하는 예물인 금화은기金花銀器 일백냥一百兩, 의착衣着 일백필一百匹, 일대一對, 금도은안비金鍍銀鞍轡 일부一副영복纓複, 이필二匹, 탕약湯藥 일은합一銀盒을 친히 봉하고 날인하여 하사하셨습니다.
미신微臣의 노력이 효험을 거두지 못하여 겨우 삼전三典법조문法條文에서 벗어날 정도인데, 한 예로 더해줌이 계셔서 오히려 구의九儀의 등급을 건너뛰었습니다.
(中謝) 은 지방에서 중임重任을 맡고 있으면서 애긍히 여기고 보살펴 주시는 뜻을 그르쳤고, 이미 선고先考기업基業을 실추하였고, 어머님의 가르침을 거듭 저버렸습니다.
노년에 자식을 위해 신고辛苦하신 은혜 갚기에 급박하였으나 제대로 이어 받들지를 못하였고, 부모님의 무한한 은혜에 끝내 보답하지 못하였습니다.
황제폐하께서 다시 훌륭한 사자使者를 보내시어 정성스러운 뜻을 자상하게 효유曉諭해 주셨고, 하사하신 준마駿馬는 신령하고 보배로우며 아름다운 관대寬帶진귀珍貴하고 뛰어납니다.
어찌 이런 후례厚禮가 미천한 신에게 감히 미칠 수 있는 것이겠습니까.
모두 이전에는 없었던 일입니다.
황금으로 장식한 마구馬具미려美麗한 깃발은 이미 지성스러운 존영尊榮을 많이 내려 주신 것이요, 쓸모없고 노둔한 을 굳게 부축해 주시더라도 장래를 기대하기가 어렵습니다.
비록 천지天地가 살게 해 준 것에 대해 사례하라고 요구하지 않는다 해도 돌아보건대 신자臣子가 어찌 감히 군부君父를 위해 목숨을 바칠 뜻을 잊을 수 있겠습니까.


역주
역주1 賜生日禮物謝表 : 《臨川集》 卷59에 〈賜生日禮物謝表〉 5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본 표는 그 가운데 마지막에 수록된 것으로, 재상에서 물러나 知江寧府로 있을 때에 올린 것이다.
역주2 入內內侍省 : 皇室 成員들의 雜事를 관장하는 기구이다.
역주3 內東頭供奉官 : 入內內侍省의 屬官이다.
역주4 三典之科 : 輕刑, 中刑, 重刑 등 三種 刑罰의 法律條文을 칭한다.
역주5 九儀之等 : 天子가 來朝者를 신분에 맞게 접대하는 9種의 禮儀 節次이다.
역주6 已隳考翼之基 : 왕안석이 자기 아버지의 基業을 제대로 계승하지 못하고 실추시켰다고 겸손하게 말한 것이다. 《書經》 〈周書 大誥〉의 “부로가 공경히 섬기는 자들이 기꺼이 ‘나에게 후손이 있으니, 나의 基業을 버리지 않을 것이다.’ 하고 말했다.[厥考翼 其肯曰 予有後 弗棄基]”는 말을 원용한 것이다. 考翼에 대해, 《書經》의 註에는 “아버지가 공경히 섬기는 자[父敬事者也]”라고 하였으나, 여기서는 왕안석의 亡父를 가리킨다.
역주7 鉛刀駑馬 强扶難冀於將來 : 자기의 재능이 쓸모없고 노둔하다고 겸손하게 말한 것이다. 《後漢書》 〈隗囂傳〉에 “노둔한 말과 무딘 칼은 억지로 지탱시켜 쓸 수가 없다.[駑馬鉛刀 不可强扶]”라고 보인다.
역주8 雖天地弗責其謝生 顧臣子敢忘於致死 : 여기서 天地는 황제를 상징하여, 황제가 비록 베풀어준 은혜에 보답하라고 요구하지는 않지만, 신하가 된 도리로 황제를 위해 목숨 바치는 것을 감히 잊을 수 없다는 뜻이다. 《三國志》 〈魏書 劉廙傳〉에 “사물은 天地에게 받은 은혜를 보답하지 않고, 자식은 父母에게 낳아준 것을 사례하지 않는다.[物不答施於天地 子不謝生於父母]”라고 보인다.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