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2)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文嚴而格古
장강之南 有賢人焉하니 자고子固 非今所謂賢人者일새 予慕而友之
회수정지 有賢人焉하니 정지正之 非今所謂賢人者일새 予慕而友정지
二賢人者 足未嘗相過也 口未嘗相語也 辭幣未嘗相接也로되
其師若友 豈盡同哉
予考其言行하니 其不相似者 何其少也
曰學聖人而已矣라하니 學聖人이면 則其師若友 必學聖人者 聖人之言行 豈有二哉
其相似也適然이로다
予在회수할새정지正之자고子固한대 不予疑也하고장강하야자고子固정지正之한대 자고子固亦以爲然이라
予又知所謂賢人者 旣相似하고 又相信不疑也호라
자고子固회우懷友一首하야 遺予하니 其大略 欲相扳以至乎中庸而後已 정지正之蓋亦嘗云爾
夫安驅徐行하야 車閵中庸之庭하고 而造於其堂 舍二賢人者而誰哉리오
予昔非敢自必其有至也 亦願從事於左右焉爾 輔而進之 其可也니라
官有守하고 私有繫하야 會合不可以常也어늘동학일수별자고同學一首別子固하야 以相警且相慰云하노라


08. 동학 자고에게 글 한 수를 지어주며 작별하다
문의가 엄정하면서도 옛 글의 품격을 지니고 있다.
장강長江의 남쪽에 현인賢人이 있는데 자고子固(曾鞏)라 하니, 그는 이 시대 사람들이 현인賢人이라 이르는 바와는 다른 사람이므로 내가 그를 연모하여 벗으로 삼았다.
회수淮水의 남쪽에 현인賢人이 있는데 정지正之(孫侔)라 하니, 그는 이 시대 사람들이 현인賢人이라 이르는 바와는 다른 사람이므로 내가 그를 연모하여 벗으로 삼았다.
이 두 현인賢人은 일찍이 발을 움직여 서로 찾아간 일도 없고, 일찍이 입을 놀려 서로 대화한 일도 없으며, 일찍이 문사文辭폐백幣帛을 서로 교환하며 사귄 일도 없다.
그런데도 그들의 스승 삼음과 친구 사귐이 어찌 그다지도 모두 동일한가?
내가 그들이 행한 언행言行을 살펴보니, 서로 다른 점이 어찌 그다지도 적은가?
성인聖人의 학문을 공부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일 뿐이다.”라고 하였으니, 성인을 배우면 그들이 스승으로 삼고 친구로 삼는 대상이 반드시 성인聖人을 배운 사람들일 것인데, 성인聖人언행言行에 어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겠는가?
그들이 서로 같아지는 것이 당연하다.
내가 회수淮水 남쪽에 있을 때에 정지正之에게 자고子固에 대하여 말해주니 정지正之가 내 말을 의심하지 않았고, 장강長江 남쪽으로 돌아와서는 자고子固에게 정지正之에 대하여 말해주니 자고子固도 내 말을 옳게 여겼다.
그래서 나는 또 이른바 현인賢人이라는 사람들은 이미 서로 유사하고, 또 서로 신뢰하고 의심하지 않음을 더욱 잘 알게 되었다.
자고子固가 〈회우懷友〉 한 를 지어서 나에게 주었는데, 그 글의 대략은 서로 이끌어주어서 중용中庸의 경지에 이른 뒤에야 그만두고자 하는 것이었고, 정지正之도 일찍이 그렇게 말한 일이 있었다.
대저 느린 걸음으로 천천히 걸어서 중용中庸의 뜰에 이르고, 그 에 나아가는 일은, 이 두 현인賢人을 빼놓고 누가 할 수 있겠는가?
나도 과거에 그런 경지에 도달함이 있기를 감히 스스로 기필期必하지는 못하였지만, 또한 그들의 곁에서 이 일에 종사하기를 희구希求하였으니, 그들을 도와서 발전發展하도록 함이 옳은 일이다.
아아!
벼슬하여 맡은 일이 있고 사적私的으로 얽매인 바도 있어서 늘상 서로 모일 수가 없으므로, 〈동학일수별자고同學一首別子固〉를 지어주어서 이로써 서로 경계警戒하고 또한 서로 위로慰勞하고자 할 뿐이니라!


역주
역주1 同學一首別子固 : 本文은 慶曆 3년(1043) 5월에 고향 臨川으로 돌아가 부모님을 뵌 후에 曾鞏과 헤어질 때에 지은 것이다.
역주2 正之 : 저본에는 ‘子固’로 되어 있는데, 龙舒本 《王文公文集》에 근거하여 바로잡았다.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