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2)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直序
元年五月六日 형호북로전운판관荊湖北路轉運判官 尙書屯田郞中유군劉君 年五十四형호북로전운판관하다
三年 卜十月某日하야진주眞州양자현揚子縣촉강蜀岡하고양자현무령武寧으로 來求銘하다
余故人也 爲序而銘焉하노라
序曰 君諱牧이요 선지先之선지항주杭州임안현인臨安縣人이라
君曾大父諱언침彦琛이니오월왕吳越王하야 有功하야 구주자사구주자사衢州하고서안西安이라 於是유씨劉氏又爲서안西安하다
태종太宗하야 嘗求諸有功於오월吳越하야 錄其後호되 而君大父諱인조仁祚 辭以疾하다
及君父諱지례知禮하야 又不仕하니 而鄕人稱爲君子러니 後以君故 贈官至尙書職方郞中하다
君少則明敏하야 年十六 求擧進士不中하고 曰 有司豈枉我哉아하고 乃多買書하야 閉戶治之러니 及再擧하야 遂爲擧首하다
起家요주군사추관饒州軍事推官하야요주군사추관將爭公요주군사추관라가 爲所擠하야 幾不免하니라
及後주장 君大喜曰 此吾師也라하고 遂以爲師하니 범문정공文正公亦數稱君하야 勉以學하다
君論議仁恕하고 急人之窮하며 於財物無顧計하니 凡以慕문정공文正公故也
익양현弋陽富人 爲客所誣하야 將抵死러니 君得實以告한대 문정공文正公未甚信이나 然以君故 使吏雜治之하야
居數日 富人得不死하니 문정공文正公由此愈知君하야 任以事하다
歲終 將擧京官한대 君以讓其同官有親而老者하니 문정공文正公爲歎息하고 許之曰 吾不可以不成君之善이라하다
乃始擧君可治劇하니 於是 君爲연주관찰추관兗州觀察推官하다 又學춘추春秋하고爲友하다
연주旱蝗이어늘 奏便宜十餘事하니 其一事 請通등주내주鹽商이니 至今以爲賴하니라
대리시승大理寺丞이라가 관도현지사대명부大名府관도현지사館陶縣하다
中貴人隨거란契丹使往來하며 多擾縣이어늘 君視遇有理하니 人吏以無所苦러라
先是 多盜어늘 君用其黨推逐하야 有發輒得하니 後遂無爲盜者러라
하니 多惶怖하야 不知所爲하야 欲走한대
유군諭以詔意하야 爲言利害하니 皆就刺하야 欣然曰 유군劉君不吾欺也라하다
유수留守稱其能하야대명부라도 往往咨君計策이러라
用擧者광신군통판通判광신군통판廣信軍호대 以親老不行하고 광신군통판通判건주통판建州하다 當是時하야
추밀부사樞密副使추밀부사使하북河北할새 奏君掌하고 보주保州兵士爲亂 부공富公請君撫視하다
君自장원長垣乘驛至其城下以三日이러니 이어늘 君乃之건주建州하다
직방군幷屬縣諸里하야 均其徭役하니 人大喜직방군職方君喪以去하다
청주통판通判청주통판靑州 又以母夫人喪罷하고청주통판通判여주통판廬州하다
朝廷弛茶榷할새 以君使강서江西하야 議均其稅한대 蓋期年而後反하다
客曰 平生聞君敏而敢爲러니 今濡滯若此 何故也 君笑曰 是固君之所能이니 易也어니와 而我則不能이로라
且是役也 朝廷豈以爲他리오
亦曰愛人而已 今不深知其利害하고 而苟簡以成之 君雖以吾爲敏이나 而人必有不勝其弊者러라
及奏事皆聽하니 人果便之러라
광남서로전운판관廣南西路轉運判官하니 於是 修險阨하고 募丁壯하야 以減戍卒하고 徙倉便輸하며 考攝광남서로전운판관功次하야 絶其行賕하니
居二年 凡利害無所不興廢
乃移형호북로荊湖北路하야 至踰月하다 家貧無以爲喪하야 自棺槨諸物형남荊南士人爲具하다
君娶강씨江氏하야 生五男二女하니 男曰이니진사進士 以君故 시장작감주부試將作監主簿하고 餘尙幼
君爲범공부공범공所知하고 一時士大夫爭譽其才하며 君亦慨然自以當得意러니 已而 迍邅流落하야 抑沒於庸人之中하야 幾老矣라가 乃稍出爲世用하야 若將以有爲也러니 而旣死하니 此愛君者所爲恨惜이라
然士之赫赫爲世所願者 可睹矣 以君始終으로 得喪相除하면 亦何負彼之有哉리오
銘曰
嗟乎유군劉君이여장수而顯이라
何畜之久어늘 而施之淺
雖或止之 亦或使之하니
惟其有命이라 故止於斯로다


01. 형호북로전운판관 상서 둔전낭중을 지낸 유군의 묘지명 병서
직설적으로 서술하였다.
치평治平 원년元年(1064) 5월 6일에 형호북로전운판관荊湖北路轉運判官 상서둔전낭중尙書屯田郎中 유군劉君향년享年 54세로 현직에 있으면서 하였다.
치평治平 3년에 10월 모일某日로 날을 잡아서 진주眞州 양자현揚子縣촉강蜀岡안장安葬하고, 아들 무령武寧장망지章望之행장行狀을 가지고 와서 을 지어주기를 청하였다.
아아!
나는 그의 친구였으니, 그 때문에 을 짓는다.
에 이르기를 “이고, 선지先之이니, 그의 선조들은 항주杭州임안현인臨安縣人이었다.
증조부曾祖父 언침彦琛오월왕吳越王의 장수가 되어 을 세워서 구주자사衢州刺史가 되었다가 서안西安안장安葬하였으므로, 이에 유씨劉氏들은 다시 서안인西安人이 되었다.
태종太宗 때에 과거 오월吳越에서 공로가 있던 사람을 찾아서 그 후손들을 녹용錄用하였는데, 조부祖父이신 인조仁祚을 이유로 이를 사양하였다.
부친父親 지례知禮도 벼슬을 하지 않았으나, 고장 사람들이 군자君子라고 칭양稱揚하였는데, 그 후 의 벼슬로 인하여 관직이 추증되어 상서직방낭중尙書職方郎中에 이르렀다.
이 어려서는 총명 민첩하였고, 16세 때에 진사시進士試에 응시하였다가 낙방하자 ‘시관試官이 어찌 내 뜻을 꺾을 수 있으리오!’ 하고 많은 책을 사서 문을 잠그고 읽더니, 다시 응시하여 드디어 수석으로 급제하였다.
요주군사추관饒州軍事推官으로 벼슬을 시작하였는데, 공무公務로 다투다가 배척을 받아 거의 파직될 지경에 이르렀다.
범문정공范文正公주장州將으로 부임하자 이 크게 기뻐하며 ‘이분이 나의 스승이다.’ 하고 드디어 그 분을 스승으로 모시니, 문정공文正公 또한 을 자주 칭찬하면서 학문에 힘쓰도록 권면하였다.
논의論議는 어질고 너그러웠고 남이 곤궁해지면 급히 구제해주었으며, 재물에 대하여는 따지는 법이 없었으니, 이 모든 것들이 문정공文正公을 존경해 따랐기 때문이었다.
익양현弋陽縣의 어떤 부자富者가 남의 모함을 받아서 장차 죽임을 당하게 되었는데, 이 그 진상을 파악하고 이를 보고하니, 문정공文正公은 그 보고를 완전히 믿지는 않았지만 이 보고한 것이기 때문에 관리에게 거듭 확인하게 하였다.
며칠 지나서 그 부자는 죽음을 면할 수 있게 되었으니, 문정공文正公은 이 일 때문에 을 더욱 잘 알게 되어, 일의 처리를 에게 위임하게 되었다.
연말年末이 되어 경관京官으로 추천하고자 하였는데, 이 이를 동료同僚 에 늙은 부모가 계신 사람에게 양보하니, 문정공文正公이 탄식하고 허락하며 말하기를 ‘내가 의 착한 뜻을 이루어주지 않을 수가 없다.’ 하였다.
문정공文正公하동河東 지방을 안무按撫하게 됨에 이르러 비로소 이 어려운 일을 능숙하게 잘 처리한다고 추천하니, 이에 연주관찰추관兗州觀察推官이 되었으며, 또 그곳에서 손복孫復에게 《춘추春秋》를 배우고 석개石介와 친교를 맺었다.
연주兗州한발旱魃황충蝗蟲의 피해로 흉년이 들자 구제救濟에 합당한 10여 조항을 건의하였는데, 그 가운데 한 조항이 등주登州내주萊州의 소금을 상인들이 매매할 수 있도록 허락해달라고 청한 것이었으니, 그 고을이 현재까지도 그 혜택을 입고 있다.
대리시승大理寺丞으로 옮겼다가 대명부大名府 관도현지사館陶縣知事가 되었다.
이때 궁중宮中환관宦官거란契丹으로 가는 사신使臣을 따라 왕래하면서 관민官民을 괴롭히는 일이 많았는데, 이 이를 잘 처리하여 관민官民이 이 때문에 고통을 겪지 않게 되었다.
이보다 앞서 고을에 도둑이 많았는데, 이 그 당여黨與를 이용하여 뒤쫓아서 찾는 즉시 체포하니, 그런 후에야 드디어 도둑질하는 사람이 없어졌다.
칙명勅命으로 강장强壯을 소집하여 그들의 손에 문신文身을 해서 의용군義勇軍으로 삼고자 하니, 많은 이들이 두려워 떨면서 어찌할 바를 모르고 도망치려 하였는데,
칙서勅書의 뜻을 설명하면서 이해利害로써 설득하자 모두 문신을 하고 흔연히 말하기를 ‘유군劉君은 우리를 속일 분이 아니다.’ 하였고,
유수留守의 능력을 칭찬하면서 대명부大名府에 일이 생기면 왕왕 그 해결책을 에게 자문하여 처리하였다.
천거하는 사람이 있어서 광신군통판廣信軍通判에 추천되었지만 부모가 연로年老함을 이유로 부임하지 않고, 건주통판建州通判이 되었다.
지금 하양재상河陽宰相이신 부공富公추밀부사樞密副使로서 하북河北 지방을 안찰按察할 때에 이 주요 기밀機密 사무와 문서를 담당하게 해달라고 상주上奏하였고, 보주保州의 병사들이 을 일으키니 부공富公에게 진무鎭撫의 일을 담당하도록 청하였다.
장원長垣으로부터 역마를 타고 3일 만에 그 아래에 당도하였는데, 때마침 부공富公파직罷職되어 물러나니 은 이에 건주建州로 돌아갔다.
이에 속현屬縣의 모든 마을을 합하여 요역徭役을 균일하게 통일시키니 사람들이 크게 기뻐하였으나, 선친先親직방군職方君을 당하여 벼슬에서 물러났다.
청주통판靑州通判이 되었다가 다시 모부인母夫人을 당하여 물러났고, 다시 여주통판廬州通判이 되었다.
조정朝廷에서 에 대한 전매專賣제도를 완화하고자 하여 강서江西 지방에 보내어 그 를 균등하게 할 방안을 의논하여 강구하도록 하니, 1년을 거의 다 채운 이후에야 돌아왔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평소에 이 민첩해서 일을 과감하게 처리한다고 들었는데, 이제 이처럼 미적거리다가 돌아왔으니 무엇 때문입니까?’ 하니, 이 웃으며 말하기를 ‘이런 일은 본시 그대가 쉽게 잘할 수 있는 일이지, 나는 잘할 수가 없소.
또한 이 일을 하는 것은 조정朝廷에서 어찌 다른 이유가 있어서였겠소.
다만 백성을 사랑해서일 뿐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이제 그들의 이해利害를 깊이 알아보지 않고 진실로 간단하게 속성速成으로 처리한다면, 그대는 비록 내가 기민하게 처리했다고 여기겠지만, 백성들 가운데는 그 폐단을 감내하지 못하는 사람이 반드시 생기게 될 것이오.’ 하였다.
상주上奏한 것이 모두 받아들여지니, 백성들이 과연 이를 편리하게 여겼다.
광남서로전운판관廣南西路轉運判官제수除授되자 이에 험하고 막힌 곳을 수리하여 터놓고 장정壯丁들을 모집하여 수졸戍卒들을 줄이고 창고를 수송에 편리한 곳으로 옮겼으며, 일을 처리하는 관리들의 공적功績에 따라 등급을 매기고 뇌물받는 것을 금지하였다.
2년 동안 근무하면서 이로운 일은 모두 시행하고 해로운 일은 폐지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 후 형호북로荊湖北路전임轉任되어 1개월을 넘긴 후 하였는데, 집안이 가난하여 장례를 치를 수가 없자, 관곽棺槨과 모든 기물을 모두 형남荊南 지방의 사인士人들이 마련해주었다.
강씨江氏와 혼인하여 5 2를 낳았으니, 아들 진사進士이고, 의 벼슬로 인하여 시장작감주부試將作監主簿로 있으며, 나머지는 아직 어리다.
처음에 범공范公부공富公 두 분의 인정을 받았고 당시의 사대부들이 다투어 그의 재능을 칭찬하였으며, 개연慨然히 노력하면서 당연히 뜻을 이룰 수 있으리라고 스스로 여겼는데, 그 후 곤경에 처하여 유락流落하여 도리어 범용凡庸한 사람들 속에 묻혀서 거의 늙어갈 뻔하다가, 차츰 출세하여 세상에 쓰여, 장차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 듯하였는데, 그때는 이미 사망하였으니, 바로 이 점이 을 아끼는 사람들이 애석해하고 한으로 여기는 바이다.
그러나 선비가 세상을 위해 하고자 했던 것을 분명히 목도할 수 있고, 군의 시종始終을 통하여 얻은 것과 잃은 것을 서로 비교해본다면, 또한 저들에게 무엇을 저버린 것이 있겠는가.” 하였다.
은 다음과 같다.
아아! 유군劉君이여, 장수長壽하고 현달顯達했어야 마땅하였도다.
어쩌면 그다지도 학덕學德을 축적함이 오래되었는데도, 쓰인 것이 적었던가.
비록 혹 저지沮止를 당하기도 하였으나, 또한 더러 쓰이기도 하였었네.
오직 그 운명運命이 그렇게 되어 있으므로, 그 때문에 이에서 멈춘 것이로다.


역주
역주1 荊湖北路轉運判官尙書屯田郎中劉君墓誌銘幷序 : 本 墓誌銘은 墓主를 下葬한 治平 3년(1066) 10월 直前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轉運判官은 該當 路의 防衛, 治安, 行政, 經濟 등을 管掌한 轉運使의 屬官이다. 尙書屯田郎中은 尙書省 工部 屯田司의 長으로, 屯田, 營田, 職田, 學田 등을 관장하였다. 墓誌銘 幷序의 ‘序’는 墓主의 生平과 事績 등을 散文으로 敍述한 것이고, ‘銘’은 마지막 부분에 붙인 韻文으로 된 贊語이다.
역주2 治平 : 宋 英宗의 年號(1064~1067)이다.
역주3 章望之狀 : 章望之가 撰한 行狀으로, 章望之는 光祿寺丞을 역임했고 文集 30권을 남긴 인물이다. 行狀은 死者의 世系, 籍貫, 生卒年, 平生의 事績 등을 槪略的으로 기술한 것이다.
역주4 范文正公 : 당시 大學者이고 著名한 政治家였던 范仲淹을 지칭한다. 그의 諡號가 文正이었다.
역주5 及文正公按撫河東 : 慶祐 3년(1036)에 范仲淹이 陝西와 河東의 宣撫使가 되었던 것을 지칭한다.
역주6 孫復 : 《春秋》에 精通했던 學者로, 石介, 范仲淹, 富弼 등의 천거로 國子監直講과 殿中丞을 역임했던 인물이다.
역주7 石介 : 國子監主講을 역임하였고, 時政을 거리낌없이 批判하였으며, 당시의 學者들이 徂徠先生이라 불렀던 인물이다.
역주8 詔集强壯 刺其手爲義 : ‘强壯’과 ‘義勇’은 北宋時代의 鄕兵으로서, 손이나 엉덩이에 글자를 문신하여 소속을 표시하고 逃亡을 방지하였다.
역주9 河陽宰相富公 : 당시 河北宣撫使였던 富弼을 지칭한다. 富弼은 中書門下平章事를 역임하였고, 韓國公에 封해졌던 인물로, 王安石의 變法을 반대하여 벼슬에서 물러났던 인물이다.
역주10 機宜文字 : 軍務의 機要와 文書를 담당한 관원을 지칭한다.
역주11 會富公罷出 : 富弼이 河北으로부터 돌아오자 右正言 錢明逸이 宰相 章得象과 함께 富弼을 謀陷하여 罷出시킨 것을 말한다.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