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2)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구양공歐陽公最長於墓誌表하고 以其序事處往往多태사공太史公逸調하야 唐以來學士大夫所不及者로되
왕형공王荊公 獨自出機軸하고 多巉畫曲折之言하며 其尤長者 往往於序事中 一面點綴着色 雋永遠出하야 令人覽之 如走駿馬於千山萬壑之中 而層巒疊嶂 應接不暇하니 序事中之劒戟也
通篇以銘序始終하니 亦變調也
한림시독학사翰林侍讀學士 정봉대부正奉大夫 지허주군주사知許州軍州事 兼管內堤堰橋道勸農행급사중 上柱남창군개국공 남창군개국공南昌郡開國公 賜紫金魚袋매공梅公之墓 在선주宣州선성현宣城縣장안향長安鄕서산리西山里하다
公有五子하니 정신鼎臣정신보신寶臣보신輔臣청신淸臣이니
청신淸臣今獨在하야 爲尙書司門郞中이러니구양공行狀及之銘으로 來請文以刻墓碑하니희령熙寧元年八月四日也
銘曰
公先이니 後氏其國이라
주대진대 不見史策이요
著漢名籍이라
매복之孫이니 창언昌言이라
하고 능양陵陽之里
公第廷中하야 판관判官이풍利豐이러니
再歲而擢하야장작감將作이라
以宰인화현仁和 人譽用多
추감관御史하야 侍考進士하고
一見天子 以爲知己
詔曰試哉인저하야하고
館之직집현원集賢하야 賜服緋魚
於時이계천繼遷 兵我西鄙하니
老弱餽守하고 丁彊多死
영주靈州告危하니 帝視不怡
公請擇人하야 使반라지潘羅支하니
兵法所謂 以夷攻夷
帝曰誰可 無如라한대
曰予汝嘉 閉陷奈何오하시다
公拜且跪하고 颺言而起하야
苟紓西師 臣不愛死로소이다하니
出書授之하사 往訖爾謀하라하시다
至疆勅還하니 會棄영주靈州
帝察公藝하고 可書帝制러니
재상或止之하야 留佐三司하다
其後반라지羅支 果窘西賊하니
장수料敵
皆如所策이라
或從或違하고 或擠或推하며
牾合阻夷 神者公尸
黜之倅州하야 用獄一眚
항주통판소주지사하야 列國東屛이라
漕輸淛河하야 就付將領하고
三年告功 僅得故省이라
又以譴投하야 守彼회주淮州할새
有僚허국공허국공하야 相得於此하고
與之欣然하야 樂以忘徙러라
전운사使호북湖北 遷自호주이러니
又奪一양주판관하야 往裨于양주판관하니
坐發驛馬하야 給奔喪者
악주소주 剖將之符하고
握節관중關中하야 使총관其輸하니
煌煌金章 厥賜特殊
謀復영무군靈武하야 度兵호로수葫蘆하니
진주장군조위하야 諾公與俱러니
조위召還하야 公復淪胥
有反함양咸陽하니 주능名氏주능
始雖弗察이나 後捕而誅
회주지주하야단련부사戎車
진종眞宗新陟 罪垢皆滌하고
탁지원외랑탁지원외랑度支하야 以將광덕군廣德이라가
外更四초주하니 초주수주섬주형주이라
乃還용도각대제待制하야 中糾獄刑이라
有巋용도각직학사龍圖 其唐殖殖이러니
就以學士하야 專其閣直이라
輟之銓衡하고 乘傳臨병주이라가
超遷郞秩하야추밀원직학사추밀원직학사樞密이라
趣歸封駮하고 考國中失이라가
申命選事하야 得權進絀이라
加職시독侍讀하고 改司군목사群牧하며
移之지심관審官하니 지심관是在服이라
伐閱積遷하야 급사중給事급사중이러니
告疾出지허주사하야 鼓歌從容하니라
方公少壯 志立人上하야
談辭慨然하니 帝悅而嚮이라
及後晩出 皆爲將相하고
公則老矣 將歸田里
강정康定辛巳 六月十日
公七十八 以其官卒하니
公開남창군南昌하야 勳爵第一이라
夫人曰유씨 不及郡封하고
팽성현군팽성현군彭城하니 其卒先公이라
公卒明年 季秋
於州山西 卜祔而吉하다
公有하니 伯爲進士하야
전중승전중승殿中이러니 與仲前死하다
仲賜科名하고 叔也皆하야
將作전중殿中하야 或廢或興이라
有顯惟季위위승위위승衛尉라가
今爲郞中하야 論序初終하고
實來求詩하야 刻示無窮하니라


01. 한림시독학사 지허주군주사를 지낸 매공의 신도비
구양공歐陽公(歐陽脩)은 묘지墓誌묘표墓表를 가장 잘 지었고, 사실事實서술敍述한 곳은 왕왕 태사공太史公(司馬遷)의 빼어난 격조에 비견할 만한 곳이 많아서, 당대唐代 이후의 학사 대부들이 이에 미칠 수 없다.
그런데 왕형공王荊公(王安石)만은 독자적인 기축機軸을 발현하여 우뚝하게 드높고 깊은 곡절을 드러낸 말이 많으며, 더욱 훌륭한 점은, 사실을 서술한 가운데 왕왕 어느 한 면을 돋보이도록 수식修飾을 가하여 아름다우면서도 심오함이 원대하게 빼어남이 있어서, 사람들로 하여금 이를 열람하면 마치 준마駿馬를 타고 천산만학千山萬壑 가운데를 달려 층층으로 이루어진 산과 겹겹의 절벽을 미처 완상할 겨를이 없게 하는 것과 같으니, 사실을 서술한 글 가운데 날카롭고 빼어나기가 검극劍戟과 같다.
문장 전체를 로 시작하여 으로 마쳤으니, 또한 비문체碑文體변조變調라 할 수 있다.
나라 한림시독학사翰林侍讀學士 정봉대부正奉大夫 행급사중行給事中 지허주군주사知許州軍州事 관내제언교도권농사管內堤堰橋道勸農事 상주국上柱國 남창군개국공南昌郡開國公 식읍이천삼백호食邑二千三百戶 식실봉육백호食實封六百戶자금어대紫金魚袋하사下賜받은 매공梅公선주宣州 선성현宣城縣 장안향長安鄕 서산리西山里에 있다.
은 다섯 아들을 두었으니, 정신鼎臣덕신德臣보신寶臣보신輔臣청신淸臣 등이다.
현재 청신淸臣만이 생존하여 상서사문낭중尙書司門郎中으로 있는데, 행장行狀낙안樂安 구양공歐陽公이 지은 을 가지고 와서, 비문碑文을 지어 묘비墓碑에 새길 수 있게 해달라고 청하였으니, 때는 희령熙寧 원년元年(1068) 8월 4일이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을 지었다.
선조先祖매백梅伯이니 후대後代에 그 나라 이름을 성씨姓氏로 정하였네.
주대周代를 지나서 진대秦代에 이르기까지는 사서史書조상祖上들의 명자名字가 보이지 않고,
매현梅鋗매복梅福이라는 분이 계셔서 한대漢代인명록人名錄에 드러나 있네.
매복梅福의 후손으로 이름이 이고 창언昌言이었네.
선조先祖삼대三代는 벼슬을 하지 않으시고 능양陵陽 마을에 사셨네.
전시殿試에 급제하여 이풍利豐판관判官이 되셨고,
2년 만에 장작감將作監으로 발탁되셨다가,
인화현仁和縣가 되자 사람들의 많은 칭찬을 받으셨네.
어사대御史臺추감관推勘官이 되어 황상皇上을 모시고 진사시進士試고관考官이 되었고,
천자天子께서 한 번 보시고는 뜻을 같이할 만한 기재奇材로 여기셔서,
조서詔書를 내리셔서 “등용하라!” 하시고, 드디어 시중서사인試中書舍人하셨고,
직집현원直集賢院이 되시니 붉은색의 관복과 은어대銀魚帶하사下賜하셨네.
이때에 이계천李繼遷이 우리의 서쪽 변방을 침노하니,
노약자老弱者들은 물자운송과 성곽수호에 고생하고, 장정壯丁들은 전사戰死한 사람이 많았으며,
영주靈州에서 위태로움을 하니 황제께서 마음이 편치 않으셨네.
적임자適任者를 골라 반라지潘羅支에게 사신使臣을 보내어 설득하기를 청하니,
병법兵法에 이른바 오랑캐로 오랑캐를 치게 한 것이네.
황제께서 “누구를 보낼까?” 하시자 “만 한 적임자가 없습니다.”라고 답하였는데,
황제께서 “나는 너를 가상하게 여기지만, 막히고 무너지면 어찌하랴.” 하시니,
이 절을 올리고 꿇어앉았다가 일어나서 큰 소리로 말씀 올리기를,
“진실로 서방西方병란兵亂진정鎭定시킬 수 있다면 은 목숨도 아끼지 않겠습니다.” 하니,
국서國書를 내어주시며 “그곳으로 가서 너의 계책을 이루도록 하라!” 하셨으나,
그 땅에 이르렀다가 칙명勅命을 받고 돌아와 보니 영주靈州는 포기한 였네.
황제께서 의 재주를 살피시고 황제의 조서詔書를 지을 만하다고 보셨으나,
재상宰相 가운데 반대하는 자가 있어서 삼사三司에 머물면서 보좌하였네.
그 후에 반라지潘羅支가 과연 서방西方을 물리치니,
장수將帥공과功過를 논하고 에 대하여 예측하셨던 것이,
모두 이 세웠던 계책과 들어맞았네.
누구를 따르고 누구를 어기며, 누구를 물리치고 누구를 천거할지와
반역反逆할 자와 귀부歸附할 자를 이 귀신같이 알아맞혔네.
옥사獄事의 처리를 한 번 그르쳤다 하여 지방 고을의 로 쫓겨났고,
항주통판杭州通判으로 나갔다가 소주지사蘇州知事가 되어 국가의 동쪽 방어를 튼튼히 하였으며,
절강浙江전운사轉運使가 되어 이끌고 거느리기를 하게 하고,
3년 만에 공적功績이 보고되어 겨우 옛 관직을 회복하셨네.
다시 견책譴責을 받아 쫓겨나서 저 회주淮州지사知事가 되었을 적에
동료同僚허국공許國公 여이간呂夷簡과 이곳에서 서로 만나,
흔연히 함께 지내면서 즐거워하여 옮겨갈 것을 잊었었네.
호북湖北전운사轉運使에서 호주濠州로 옮겼는데,
관등官等강등降等되어 이곳을 떠나서 양주판관襄州判官에 보임되었으니,
나라의 역마驛馬을 당하여 급히 떠나는 사람에게 빌려준 일에 연좌連坐되어서였네.
악주鄂州소주蘇州에서 지주知州 관군사管軍事가 되었고,
황제의 부절符節을 가지고 관중關中 땅을 관할하여 전운轉運의 사무를 총관總管하니
광채光彩 나는 관복官服은 특별한 은총을 내리신 것이네.
영무군靈武郡수복收復도모圖謀하여 군사가 호로수葫蘆水를 건너려 할 때에,
진주秦州장군將軍 조위曹瑋가 있어, 과 함께 가기를 허락하였었는데,
때마침 조위曹瑋소환召還당하여 은 다시 포부를 이룰 수가 없었네.
함양咸陽에서 반란反亂을 일으킨 자가 있었으니, 천거薦擧했던 주능朱能이라 하는 자였네.
처음에는 비록 제대로 살피지 못하였으나 후에는 잡아서 처형하니,
이 때문에 회주懷州에서 지주池州로 옮겨가서 다시 단련부사團練副使가 되셨네.
진종眞宗께서 승하昇遐하시자 죄과罪過를 모두 사면하셔서,
탁지원외랑度支員外郞이 되시고 광덕군廣德軍이 되셨다가
지방관으로 나가 네 고을의 지사知事를 역임하였으니, 초주楚州수주壽州섬주陝州형주荊州였네.
이어 용도각대제龍圖閣待制로 소환되어 수도首都형옥刑獄규찰糾察하였고,
용도각직학사龍圖閣直學士로 우뚝하게 드러나서, 당당한 말씀은 바르고 공평하였으며,
학사로 있으면서 용도각 지키기를 오로지 하였네.
관리 전형銓衡직임職任을 마치고는 역거驛車를 타고 병주幷州로 부임하셨다가
낭중郎中관등官等을 뛰어넘어서 추밀원직학사樞密院直學士로 승진하셨네.
잠시 후 봉박사封駁司로 돌아가 국중國中의 잘못된 점을 바로잡았고,
다시 전선銓選의 임무를 담당하여 승진시키고 좌천시키는 권한을 얻었네.
시독侍讀의 직책이 더해지고 군목사群牧使이 되셨으며
심관원審官院으로 옮기셔서 지심관知審官으로 복무하셨네.
공적功績경력經歷으로 급사중給事中이 되셨는데,
을 이유로 지허주사知許州事로 나아가 조용히 태평하게 지내시다가 하셨네.
은 젊었을 적에 뜻을 세우심이 남보다 뛰어나서,
주장하는 말이 비장하니 황제께서 기뻐하시며 특별히 예우하셨네.
후배들로 늦게 진출한 사람들이 모두 장상將相에 이르자,
노령老齡을 이유로 하여 전리田里로 돌아가고자 하셨네.
강정康定 신사년辛巳年(1041) 6월 10일에,
78세로 임소任所에서 하시니
남창군南昌郡 개국공開國公이 되어 훈급勳級작위爵位가 으뜸이셨네.
부인夫人유씨劉氏로 미처 군봉郡封을 받지 못하고
팽성현군彭城縣君해졌으니 보다 먼저 하였기 때문이었네.
하신 이듬해 9월 10일에,
고을의 산 서쪽에 점쳐 길지吉地를 얻어 부인夫人합장合葬하였네.
은 네 아들을 두셨으니 맏아들은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여
전중승殿中丞을 지냈는데, 둘째 아들과 함께 보다 먼저 사망死亡하였네.
둘째에게는 동진사同進士하사下賜하였고, 셋째와 넷째는 모두
장작將作전중殿中을 역임하여 벼슬에 나아갔다 물러났다 하였네.
오직 막내 아들만이 현달顯達하여 한때 위위승衛尉丞을 지냈고,
지금은 낭중郎中으로 있으면서 이 태어나서부터 할 때까지의 행적을 기술記述하여,
이를 가져와서 신도비명神道碑銘을 청하고, 에 새겨 무궁토록 볼 수 있게 하였네.


역주
역주1 翰林侍讀學士知許州軍主事梅公神道碑 : 本文은 梅詢(964~1041)의 神道碑銘으로, 熙寧 元年(1068) 8월에 지은 것이다. 神道碑는 二品官 以上에게만 세우는 것이 허용되며, 文體上 碑誌類에 屬하는 문장이다.
역주2 行給事中 : ‘行’은 品階는 높으면서 낮은 職務를 담당했을 때[位高職卑]에 관직 앞에 붙이는 명칭이다. 이와 반대로 품계는 낮으면서 높은 직무를 담당하였을 때[位卑職高]에는 벼슬명칭 앞에 ‘守’를 덧붙인다.
역주3 食邑二千三百戶 食實封六百戶 : 食邑은 封地로서 受封者가 封地의 인민이 납부하는 조세를 享有할 수 있으나 後代에는 名譽만 누리는 虛封이 되었고, 食實封만을 受封者가 해당 봉지 조세수입의 3분의 1을 향유할 수 있었다.
역주4 樂安歐陽公 : 歐陽脩를 지칭한다. 구양수의 爵位가 樂安郡開國公이었으므로 이렇게 칭한 것이다.
역주5 梅伯 : 商나라 紂王 때의 제후이다. 성품이 충직하여 紂王에게 자주 간하니, 紂王이 노하여 그를 죽여서 젓담갔다고 한다.
역주6 有鋗有福 : 鋗은 漢 高祖를 도와 공을 세웠던 梅鋗을, 福은 西漢 末에 南昌尉를 지내다가 은둔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전해지는 梅福을 지칭한다.
역주7 三世不仕 : 歐陽脩의 墓誌銘에 “公의 증조부 諱 超와 조부 諱 遠이 모두 벼슬하지 않았고, 부친 諱 邈은 형부시랑에 추증되었다.”라고 하였다.
역주8 試中書 : 宋나라 때 官制의 일종으로, 맡고 있는 실직이 官階보다 두 등급 이상 높은 것을 가리켜 ‘試’라고 칭한다. 中書는 中書舍人의 약칭이다.
역주9 挾日 : 十干을 날짜에 배당하여 甲에서부터 癸까지에 이르는 날수를 뜻하는 말로, 10일을 가리킨다.
역주10 四子 : ‘四’는 ‘五’로 바꾸어야 한다. 앞에 ‘公有五子’라 하고 다섯 아들의 名을 나열하였기 때문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