某는 鄙朴하야 未嘗得邂逅러니 而蒙以書辱於千里之遠하니 固已幸甚이로다
足下求免於今之世하고 而求合於古之人하며 不以問世之能言하고 而欲有取於不肖하니 此某之所以難於對也로라
自生民以來로 爲書以示後世者는 莫深於易이니 易之所爲作은 不出足下之所求라
此皆聰明睿智하야 天下至神이로되 然尙於此不能以一言盡之하사 而患其喩之難也온 況以區區之中材로 而遇變故之無窮하니 其能皆有所合하야 而卒以自免乎리오
雖能有所合하야 而有以自免이라도 其可以易言而遽曉乎아
此某夙夜勉焉호되 而懼終不及者也니 其能遽有以進左右者乎아
然學者는 患其志之不同하고 而有志者는 欲其爲之不已라
某與足下는 幸志同矣니 如爲之不已하고 他日邂逅하야 得各講其所聞하고 擇其可以守之면 庶其卒將有得焉이리라
蓋古之人其成이 未嘗不以友者니 此亦區區有望於君子也라
형공荊公이 매양 도道를 지극하게 터득한 옛사람을 표준으로 삼아 절차탁마切磋琢磨함이 이와 같았다.
모某는 비루하고 질박한 사람이라 일찍이 뵈올 기회가 없었는데, 천리나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보내 주신 편지를 받게 되니 진실로 큰 행운을 입은 것입니다.
족하足下께서는 이 시대의 속견俗見에서 벗어나서 옛사람과 부합되기를 추구하시며, 이에 대하여 세상의 말 잘하는 사람에게 묻지 않고 이 못난 사람에게서 찾고자 하시니, 이것이 모某가 대답을 올리기 어려운 소이所以입니다.
인류가 살아온 이래로부터 글을 지어서 후세에 보여준 것으로 《주역周易》보다 심오深奧한 것은 없으니, 《주역周易》이 지어진 연유는 족하께서 추구하는 바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문왕文王께서는 복희씨伏羲氏가 지어놓은 팔괘八卦가 세상을 깨우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고 여겨서 그 때문에 이어서 부연 설명을 하신 것입니다.
공자孔子께서 십익十翼을 서술함에 이르러서는 대체로 문왕께서 지으신 것만으로는 또한 충분하지 못하다고 여긴 것입니다.
이들은 모두가 총명예지聰明叡智하시고 천하에 지극히 신명神明하신 분들인데도 오히려 이 진리를 한마디 말로써 다 포괄할 수가 없다고 여기시고 세상 사람들을 깨우치기 어려움을 근심하셨는데, 더구나 하찮은 보통 사람으로 무궁한 변고를 만났으니, 어찌 능히 모두 진리眞理에 부합하게 하여 끝내는 스스로 세속世俗에서 벗어나게 할 수가 있겠습니까.
비록 진리에 부합하는 바가 있고 스스로 세속에서 벗어남이 있다 해도, 그것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곧바로 깨닫게 할 수가 있겠습니까.
이것이 모某가 아침 일찍부터 밤늦게까지 노력하면서도 끝내 그 경지에 도달하지 못함을 두려워하는 일이니, 어찌 능히 이로써 주변 사람들을 곧바로 깨우칠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나 학자學者는 그 지향하는 목표가 같지 않음을 근심하고, 목표를 세운 사람은 그것을 실현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해야 합니다.
모某와 족하足下는 다행하게도 지향하는 목표가 동일하니, 만약 이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중단하지 않고 후일에 서로 만나서 각기 그 깨달은 바를 설명하고 그 옳은 것을 취택하여 이를 지킬 수 있게 된다면, 아마도 끝내는 얻는 것이 있게 될 것입니다.
대체로 옛사람들도 그 뜻을 이룸에 붕우朋友의 도움을 받지 않은 사람이 없었으니, 이 또한 하찮은 이 사람이 군자君子이신 그대에게 바라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