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2)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通篇無一實事하고 特點綴虛景百數十言하니 當屬一別調
우정언右正言 보문각대제寶文閣待制 特贈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汝陰상공常公희령熙寧十年二月己酉卒하야 以五月壬申葬하니 임천臨川왕모王某誌其墓曰
公學不期言也하고 正其行而已 行不期聞也하고 信其義而已
所不取也 可使貪者矜焉하야 而非彫斲以爲廉하고 所不爲也 可使弱者立焉하야 而非矯抗以爲勇이라
官之而不事하고 召之而不赴하니 或曰 必退者也
終此而已矣라하다 及爲今天子所禮하얀 則出而應焉이라
於是 天子悅其至하사 虛己而問焉하시고
使莅간관하사 以觀其迪己也하시고 使董學政하사 以觀其造士也하시다
公所言乎上者無傳이나 然皆知其忠而不阿하고 所施乎下者無助 然皆見其正而不苟하니
시경이리오하니 惜乎 旣病而死也
道隱으로 觀學者所取舍하면 大抵時所好也어늘 違俗而適己하고 獨行而特起하니 嗚呼
公賢遠矣로다
傳載 莫如以石이요 石可磨也 亦可泐也且朽 不可得也


02. 보문각대제 상공의 묘표
한 편 전체全體가 실제로 사적事蹟을 기록한 것은 하나도 없고, 다만 자신의 생각만으로 백수십百數十 를 차례로 엮어놓았으니, 하나의 별체別體소속所屬시키는 것이 마땅하다.
우정언右正言 보문각대제寶文閣待制로서 특별히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추증追贈여음인汝陰人 상공常公희령熙寧 10년 2월 기유일己酉日하여 5월 임신일壬申日하장下葬하니, 임천臨川 왕모王某가 그 무덤에 다음과 같이 묘표墓表를 지었다.
학문學問을 할 때에 자기 주장을 말로 드러내기를 기약하지 않고 그 행실을 바르게 하고자 할 뿐이었으며, 행실은 소문 나기를 추구하지 않고 그 의리를 미덥게 할 뿐이었다.
그가 추구하지 않는 바는 탐심貪心을 가진 사람을 바르게 바꿀 수 있어서, 겉치레로 청렴한 듯이 꾸미는 짓을 하지 않게 하였으며, 그가 하지 않는 바는 나약懦弱한 사람으로 하여금 굳건한 의지意志를 세우게 할 수 있어서, 특이한 행동을 하며 우쭐대는 것을 용기로 여기는 짓을 하지 않게 하였다.
관직官職을 주어도 취임하지 않았고, 불러도 나아가지 않으니,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반드시 물러나 있을 사람이로다!
이렇게 생을 마칠 뿐일 것이로다!” 하였는데, 지금의 천자天子께서 를 갖추어 부르시니, 곧 나아가 응하였다.
이에 천자께서 그가 이르렀음을 기뻐하시며 마음을 비우시고 질문을 하셨다.
그에게 간관諫官을 맡기시어 그가 자기를 계도啓導함을 살펴보셨고, 국자감國子監의 일을 감독하게 하시어 그가 선비들을 임용함을 살펴보셨다.
황상皇上께 말씀드린 내용이 전해지지 않지만, 그러나 모두가 충심을 말씀드리고 영합하려 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 아랫사람에게 시행한 것 중에 자신의 명성에 도움이 된 것이 없으나, 그러나 모두가 바르고 구차함이 없었음을 알 수 있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나라 사람들을 잘 길러주었으니〉 어찌 만년萬年이 되도록 장수長壽하지 않으리오.”라고 하였는데, 안타깝게도 병이 들어 서거逝去하였도다!
나라의 치도治道가 사라지고 나서부터 학자學者들의 함과 버림을 관찰해보면, 대체로 시속時俗이 좋아함을 따르고 있는데, 시속時俗을 어기고 자신自身신조信條대로 나아가며, 홀로 실천하면서 우뚝하게 일어섰으니, 아아!
현명賢明함은 심원深遠하였도다.
의 업적이 등재登載된 지가 오래되었으나, 비석碑石에 새겨놓는 것만은 못하고, 비석碑石마멸磨滅될 수도 있고 또한 쪼개질 수도 있지만, 의 업적이 장차 영원히 전해지지 않는 일은 있어서는 안 되리라고 이르노라.


역주
역주1 寶文閣待制常公墓表 : 本 墓表의 墓主 常秩은 北宋代의 유명한 隱士 겸 在野學者로, 王安石과 절친하였고, 왕안석의 變法에 적극 찬동하여 후세 사람들의 비난을 받은 인물이다. 墓主를 下葬한 때가 熙寧 10년(1077) 5월이므로 本 墓表는 그 즈음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당시 王安石은 57세로 宰相職에서 물러나 江寧에 閑居하고 있던 때이다.
역주2 胡不萬年 : 《詩經》 〈曹風 鳲鳩〉편에 보인다.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