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1)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荊公 指揮王韶하야 措處西羌處
하노라
得書하니 喩以禦寇之方이라
上固欲公毋涉難冒險하고 以百全取勝하시니 如所喩 甚善甚善이로다
方今所急 在修守備하야 嚴戒諸將勿輕擧動이라
武人 多欲以討殺取功爲事하니 誠如此而不禁이면 則一方憂未艾也리라
竊謂公厚以恩信撫하야 察其材者收之爲用이로라
今多以錢粟으로 養戍卒이면 乃適足備屬羌爲變하야 而未有以事리라
誠能使屬羌爲我用이면 則非特無內患이요 亦宜賴其力以乘外寇矣
自古以好坑殺人 致畔하고 以能撫養 收其用하니 皆公所覽見이로다
且王師 以仁義爲本이니 豈宜以多殺斂怨耶리오
喩及 旣與諸族作怨하니 後無復合 理固然也
然則近董氈하야 諸族事定之後 以兵威臨之하고 而宥其罪하야 使討賊自贖하고 隨加厚賞이면 彼亦宜遂爲我用하야 無復與賊合矣리라
與討而驅之 使堅附賊爲我患 利害不侔也로다
事固有攻彼而取此者하니 服誠能挫董氈이면 則諸羌自服하리니 安所事討哉리오
又聞屬羌經討者 旣亡蓄積하고 又廢耕作하야 後無以自存이라하니 安得不屯聚爲寇하야 以梗商旅往來리오
如募之力役及伐材之類하야 因以活之 宜有可爲 幸留意念恤하노라
邊事難遙度이라
想公自有定計리니 意所及 嘗試言之로라
春暄 爲國自愛하라
不宣하노라


14. 왕자순王子醇에게 보낸 편지
이 글은 형공荊公왕소王韶를 지휘하여 서강西羌에 대하여 조처措處한 내용이다.
가 아룁니다.
편지를 받아보니, 침략을 방어하는 방책을 말한 것이었습니다.
황상皇上께서 진실로 이 어려움을 겪으며 모험을 감행하지 말고 여러 가지 안전책安全策을 강구하여 승리를 취하기를 바라셨는데, 공이 말한 것과 같이 된다면 매우 좋고 매우 좋은 일입니다.
바로 지금 희하로熙河路의 급선무는 수비에 힘쓰는데 있으므로, 여러 장수들이 경거망동하지 않도록 엄히 경계해야 합니다.
무인武人들 중에는 적군敵軍주살誅殺하는 것으로 을 세우기를 일삼고자 하는 사람이 많은데, 진실로 이와 같이 하는 것을 금하지 않는다면 그 지방의 근심거리는 그칠 날이 없을 것입니다.
께서는 은혜와 신의를 후하게 베풀어서 귀부歸附강족羌族들을 진무鎭撫하고 능력있는 사람을 살펴서 거두어 등용하고 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화폐와 곡식을 많이 들여서 국경을 수비할 군졸을 양성하여, 이에 드디어 귀부한 강족의 변고에 대비하기에 충분하게 되었고, 병상秉常이나 동전董氈이 변란을 일으키는 일도 없게 되었습니다.
진실로 귀부한 강족을 우리나라를 위해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면, 다만 내환內患만 없게 할 뿐이 아니라 또한 그들의 힘을 이용하여 외구外寇를 방어하는 데에도 마땅하게 될 것입니다.
예부터 사람을 산 채로 묻어 죽이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배반을 초래하였고, 감싸 길러줄 수 있었던 사람은 그들을 거두어 쓸 수 있었으니, 이는 모두 께서 역사를 통해 보아오신 바입니다.
또한 천자天子의 군사는 인의仁義로 근본을 삼나니, 어찌 많이 죽여서 원한을 쌓게 하는 일이 합당하겠습니까.
청당靑唐이 이미 여러 부족部族들과 원한을 맺었으니 뒤에 다시 합하지 못할 것이라고 언급한 일은 이치로 보아 본시 당연합니다.
그렇다면 동전董氈을 가까이하여 여러 부족의 일이 평정된 뒤에 군사력으로 위엄을 보이고, 그런 후에 그들의 죄를 용서하면서 그들로 하여금 적을 토멸하는 것으로 스스로 속죄하게 하고 업적에 따라서 후한 상을 내린다면, 저들 또한 드디어 우리의 쓰임이 됨을 마땅하게 여겨서 다시는 적들과 결합하는 일이 없게 될 것입니다.
귀부歸附한 자들과 함께 토벌하여 적을 몰아내는 것과, 귀부한 자들이 적과 굳게 한편이 되어 우리의 근심거리가 되는 것은 국가에 이롭고 해로움이 동일하지 않습니다.
일이 진실로 저쪽을 공격하여 이쪽을 빼앗는 경우가 있으니, 복속시켜서 진실로 동전董氈을 회유하여 복종시킬 수 있게 된다면, 여러 강족羌族들은 자진하여 복속하게 될 것이니, 어찌 토벌을 일삼을 것이 있겠습니까?
또 들으니 귀부歸附하였던 강족羌族으로서 토벌에 참여했던 자는 이미 축적된 양식이 없고 더구나 농사農事까지 짓지 못하게 되어 이후에는 자립自立할 수가 없게 되었다 하니, 어찌 모여서 도둑떼가 되어서 장사하러 다니는 사람의 물건을 약탈하여 왕래를 끊어놓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만약 그들을 모집하여 관부官府의 일을 시키고 목재木材를 벌채하게 하여 이로써 생계를 도모하게 한다면, 이 사태의 해결에 적절할 듯하니, 그들을 구휼救恤하는 데에 관심을 기울이기 바랍니다.
변방邊防의 일을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은 헤아리기가 어렵습니다.
상상하건대 께서는 스스로 정한 계책이 있으실 것이지만, 생각한 바를 시험삼아 말씀드려본 것입니다.
봄 날씨가 따뜻한데 나라를 위해 자중자애自重自愛하십시오.
드릴 말씀을 다 올리지 못합니다.


역주
역주1 與王子醇書 : 이 편지는 熙寧 6년(1073) 2월에 王韶(字 子醇. 1030~1081)이 羌族이 거주하는 河州(現 甘肅省 一圓)지방을 수복하고 熙河路를 설치한 후에 보낸 것으로, 羌族을 武力으로 억압하지 말고 仁愛로 鎭撫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역주2 熙河 : 熙河路를 말하는 것으로, 現 靑海 東北部와 甘肅 中南部 지방에 설치하였던 地方行政區域이다.
역주3 屬羌 : 이미 歸附하여 宋에 所屬된 羌族으로, 이곳에서 지칭한 羌은 現 甘肅‧靑海 境內에 거주하던 吐蕃族을 말한다.
역주4 秉常董氈 : 秉常은 夏나라 惠宗(1060~1086)의 이름이다. 宋에 사로잡혔다가 후에 復位하였다. 董氈(?~1086)은 吐蕃族의 추장으로, 代代로 宋의 爵位를 받았고, 宋이 西夏를 정벌할 때에 功을 세워 武威郡王에 책봉되었다.
역주5 靑唐 : 董氈이 거느린 部族을 지칭한다.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