視之能必見하고 聽之能必聞하고 行之能必至하고 思之能必得은 是誠之所至也라
			                         
                        		
                        		
                        		
	                     		
			                       	
			                       	
	                     		
	                     		
		                        
                        	
                        	
                        	
                        	
                        		
                        			
                        			
			                        
			                        	不聽而聰하고 不視而明하고 不思而得하고 不行而至는 是性之所固有요 而神之所自生也니 盡心盡誠者之所至也라
			                         
                        		
                        		
                        		
	                     		
			                       	
			                       	
	                     		
	                     		
		                        
                        	
                        	
                        	
                        	
                        		
                        			
                        			
			                        
                        		
                        		
                        		
	                     		
			                       	
			                       	
	                     		
	                     		
		                        
                        	
                        	
                        	
                        	
                        		
                        			
                        			
			                        
			                        	賢者는 盡誠以立性者也요 聖人은 盡性以至誠者也라
			                         
                        		
                        		
                        		
	                     		
			                       	
			                       	
	                     		
	                     		
		                        
                        	
                        	
                        	
                        	
                        		
                        			
                        			
			                        
			                        	神生於性하고 性生於誠하고 誠生於心하고 心生於氣하고 氣生於形하나니 形者는 有生之本이라
			                         
                        		
                        		
                        		
	                     		
			                       	
			                       	
	                     		
	                     		
		                        
                        	
                        	
                        	
                        	
                        		
                        			
                        			
			                        
			                        	故養生은 在於保形하고 充形은 在於育氣하고 養氣는 在於寧心하고 寧心은 在於致誠하고 養誠은 在於盡性하니 不盡性이면 不足以養生이니라
			                         
                        		
                        		
                        		
	                     		
			                       	
			                       	
	                     		
	                     		
		                        
                        	
                        	
                        	
                        	
                        		
                        			
                        			
			                        
			                        	能盡性者는 至誠者也요 能至誠者는 寧心者也요 能寧心者는 養氣者也요 能養氣者는 保形者也요 能保形者는 養生者也니 不養生이면 不足以盡性也니라
			                         
                        		
                        		
                        		
	                     		
			                       	
			                       	
	                     		
	                     		
		                        
                        	
                        	
                        	
                        	
                        		
                        			
                        			
			                        
                        		
                        		
                        		
	                     		
			                       	
			                       	
	                     		
	                     		
		                        
                        	
                        	
                        	
                        	
                        		
                        			
                        			
			                        
			                        	生渾則蔽性하고 性渾則蔽生이 猶志一則動氣하고 氣一則動志也니라
			                         
                        		
                        		
                        		
	                     		
			                       	
			                       	
	                     		
	                     		
		                        
                        	
                        	
                        	
                        	
                        		
                        			
                        			
			                        
                        		
                        		
                        		
	                     		
			                       	
			                       	
	                     		
	                     		
		                        
                        	
                        	
                        	
                        	
                        		
                        			
                        			
			                        
			                        	禮樂者는 先王所以養人之神하고 正人氣하야 而歸正性也라
			                         
                        		
                        		
                        		
	                     		
			                       	
			                       	
	                     		
	                     		
		                        
                        	
                        	
                        	
                        	
                        		
                        			
                        			
			                        
			                        	是故로 大禮之極은 簡而無文하고 大樂之極은 易而希聲하니 簡易者는 先王建禮樂之本意也니라
			                         
                        		
                        		
                        		
	                     		
			                       	
			                       	
	                     		
	                     		
		                        
                        	
                        	
                        	
                        	
                        		
                        			
                        			
			                        
			                        	世之所重은 聖人之所輕이요 世之所樂은 聖人之所悲니 非聖人之情이 與世人相反이라 聖人은 內求하고 世人은 外求니라
			                         
                        		
                        		
                        		
	                     		
			                       	
			                       	
	                     		
	                     		
		                        
                        	
                        	
                        	
                        	
                        		
                        			
                        			
			                        
                        		
                        		
                        		
	                     		
			                       	
			                       	
	                     		
	                     		
		                        
                        	
                        	
                        	
                        	
                        		
                        			
                        			
			                        
                        		
                        		
                        		
	                     		
			                       	
			                       	
	                     		
	                     		
		                        
                        	
                        	
                        	
                        	
                        		
                        			
                        			
			                        
			                        	衣食은 所以養人之形氣요 禮樂은 所以養人之性也라
			                         
                        		
                        		
                        		
	                     		
			                       	
			                       	
	                     		
	                     		
		                        
                        	
                        	
                        	
                        	
                        		
                        			
                        			
			                        
			                        	禮反其所自始요 樂反其所自生이니 吾於禮樂에 見聖人所貴其生也至矣로다
			                         
                        		
                        		
                        		
	                     		
			                       	
			                       	
	                     		
	                     		
		                        
                        	
                        	
                        	
                        	
                        		
                        			
                        			
			                        
			                        	世俗之言에 曰 養生은 非君子之事라하니 是는 未知先王建禮樂之意也니라
			                         
                        		
                        		
                        		
	                     		
			                       	
			                       	
	                     		
	                     		
		                        
                        	
                        	
                        	
                        	
                        		
                        			
                        			
			                        
			                        	養生以爲인仁하고 保氣以爲義하며 去情却欲하야 以盡天下之性하고 修神致明하야 以趨聖人之域이니라
			                         
                        		
                        		
                        		
	                     		
			                       	
			                       	
	                     		
	                     		
		                        
                        	
                        	
                        	
                        	
                        		
                        			
                        			
			                        
                        		
                        		
                        		
	                     		
			                       	
			                       	
	                     		
	                     		
		                        
                        	
                        	
                        	
                        	
                        		
                        			
                        			
			                        
                        		
                        		
                        		
	                     		
			                       	
			                       	
	                     		
	                     		
		                        
                        	
                        	
                        	
                        	
                        		
                        			
                        			
			                        
			                        	耳非取人而後聰이요 目非取人而後視요 口非取諸人而後言也요 身非取諸人而後動也라
			                         
                        		
                        		
                        		
	                     		
			                       	
			                       	
	                     		
	                     		
		                        
                        	
                        	
                        	
                        	
                        		
                        			
                        			
			                        
			                        	其守至約하고 其取至近하야 有心有形者는 皆有之也라
			                         
                        		
                        		
                        		
	                     		
			                       	
			                       	
	                     		
	                     		
		                        
                        	
                        	
                        	
                        	
                        		
                        			
                        			
			                        
                        		
                        		
                        		
	                     		
			                       	
			                       	
	                     		
	                     		
		                        
                        	
                        	
                        	
                        	
                        		
                        			
                        			
			                        
                        		
                        		
                        		
	                     		
			                       	
			                       	
	                     		
	                     		
		                        
                        	
                        	
                        	
                        	
                        		
                        			
                        			
			                        
			                        	非禮勿聽은 非謂掩耳而避之라 天下之物이 不足以干吾之聰也요 非禮勿視는 非謂掩目而避之라 天下之物이 不足以亂吾之明也요 非禮勿言은 非謂止口而無言也라 天下之物이 不足以易吾之辭也요 非禮勿動은 非謂止其躬而不動이라 天下之物이 不足以干吾之氣也니라
			                         
                        		
                        		
                        		
	                     		
			                       	
			                       	
	                     		
	                     		
		                        
                        	
                        	
                        	
                        	
                        		
                        			
                        			
			                        
                        		
                        		
                        		
	                     		
			                       	
			                       	
	                     		
	                     		
		                        
                        	
                        	
                        	
                        	
                        		
                        			
                        			
			                        
                        		
                        		
                        		
	                     		
			                       	
			                       	
	                     		
	                     		
		                        
                        	
                        	
                        	
                        	
                        		
                        			
                        			
			                        
			                        	不聽之時에 有先聰焉하고 不視之時에 有先明焉하고 不言之時에 有先言焉하고 不動之時에 有先動焉이니
			                         
                        		
                        		
                        		
	                     		
			                       	
			                       	
	                     		
	                     		
		                        
                        	
                        	
                        	
                        	
                        		
                        			
                        			
			                        
                        		
                        		
                        		
	                     		
			                       	
			                       	
	                     		
	                     		
		                        
                        	
                        	
                        	
                        	
                        		
                        			
                        			
			                        
			                        	是故로 非耳以爲聰이니 而不知所以聰者는 不足以盡天下之聽이요 非目以爲明이니 而不知所以明者는 不足以盡天下之視니라
			                         
                        		
                        		
                        		
	                     		
			                       	
			                       	
	                     		
	                     		
		                        
                        	
                        	
                        	
                        	
                        		
                        			
                        			
			                        
			                        	聰明者는 耳目之所能爲나 而所以聰明者는 非耳目之所能爲也라
			                         
                        		
                        		
                        		
	                     		
			                       	
			                       	
	                     		
	                     		
		                        
                        	
                        	
                        	
                        	
                        		
                        			
                        			
			                        
			                        	是故로 待鐘鼓而後樂者는 非深於樂者也요 待玉帛而後恭者는 非深於禮者也니라
			                         
                        		
                        		
                        		
	                     		
			                       	
			                       	
	                     		
	                     		
		                        
                        	
                        	
                        	
                        	
                        		
                        			
                        			
			                        
                        		
                        		
                        		
	                     		
			                       	
			                       	
	                     		
	                     		
		                        
                        	
                        	
                        	
                        	
                        		
                        			
                        			
			                        
			                        	然大裘無文하고 大輅無飾이어늘 聖人獨以其事之所貴者는 何也오
			                         
                        		
                        		
                        		
	                     		
			                       	
			                       	
	                     		
	                     		
		                        
                        	
                        	
                        	
                        	
                        		
                        			
                        			
			                        
                        		
                        		
                        		
	                     		
			                       	
			                       	
	                     		
	                     		
		                        
                        	
                        	
                        	
                        	
                        		
                        			
                        			
			                        
                        		
                        		
                        		
	                     		
			                       	
			                       	
	                     		
	                     		
		                        
                        	
                        	
                        	
                        	
                        		
                        			
                        			
			                        
			                        	증자曾子謂맹경자孟敬子호대 君증자子之所貴乎道者三이니 動容貌에 斯遠暴慢矣며 正顔色에 斯近信矣며 出辭氣에 斯遠鄙倍矣니
			                         
                        		
                        		
                        		
	                     		
			                       	
			                       	
	                     		
	                     		
		                        
                        	
                        	
                        	
                        	
                        		
                        			
                        			
			                        
			                        	이라하니 觀此言也
하면 증자曾子而不知道也則可
하니 使
증자曾子而爲知道
면 則道不違乎言貌辭氣之間
이니 何待於外哉
아 
			                         
                        		
                        		
                        		
	                     		
			                       	
			                       	
	                     		
	                     		
		                        
                        	
                        	
                        	
                        	
                        		
                        			
                        			
			                        
			                        	是故로 古之人이 目擊而道已存하고 不言而意已傳하며 不賞而人自勸하고 不罰而人自畏는 莫不由此也라
			                         
                        		
                        		
                        		
	                     		
			                       	
			                       	
	                     		
	                     		
		                        
                        	
                        	
                        	
                        	
                        		
                        			
                        			
			                        
			                        	是故로 先王之道 可以傳諸言 效諸行者는 皆其法度刑政이요 而非神明之用也니라
			                         
                        		
                        		
                        		
	                     		
			                       	
			                       	
	                     		
	                     		
		                        
                        	
                        	
                        	
                        	
                        		
                        			
                        			
			                        
			                        	 이라하니 去情却欲
이면 而神明生矣
요 修神致明
이면 而物自成矣
라 
			                         
                        		
                        		
                        		
	                     		
			                       	
			                       	
	                     		
	                     		
		                        
                        	
                        	
                        	
                        	
                        		
                        			
                        			
			                        
                        		
                        		
                        		
	                     		
			                       	
			                       	
	                     		
	                     		
		                        
                        	
                        	
                        	
                        	
                        		
                        			
                        			
			                        
			                        	齊明其心하고 淸明其德이면 則天地之間의 所有之物이 皆自至矣니 君子之守至約이나 而其至也廣하고 其取至近이나 而其應也遠이니라
			                         
                        		
                        		
                        		
	                     		
			                       	
			                       	
	                     		
	                     		
		                        
                        	
                        	
                        	
                        	
                        		
                        			
                        			
			                        
                        		
                        		
                        		
	                     		
			                       	
			                       	
	                     		
	                     		
		                        
                        	
                        	
                        	
                        	
                        		
                        			
                        			
			                        
                        		
                        		
                        		
	                     		
			                       	
			                       	
	                     		
	                     		
		                        
                        	
                        	
                        	
                        	
                        		
                        			
                        			
			                        
                        		
                        		
                        		
	                     		
			                       	
			                       	
	                     		
	                     		
		                        
                        	
                        	
                        	
                        	
                        		
                        			
                        			
			                        
                        		
                        		
                        		
	                     		
			                       	
			                       	
	                     		
	                     		
		                        
                        	
                        	
                        	
                        	
                        		
                        			
                        			
			                        
                        		
                        		
                        		
	                     		
			                       	
			                       	
	                     		
	                     		
		                        
                        	
                        	
                        	
                        	
                        		
                        			
                        			
			                        
                        		
                        		
                        		
	                     		
			                       	
			                       	
	                     		
	                     		
		                        
                        	
                        	
                        	
                        	
                        		
                        			
                        			
			                        
			                        	不失色者는 容貌精也요 不失口者는 語黙精也요 不失足者는 行止精也라
			                         
                        		
                        		
                        		
	                     		
			                       	
			                       	
	                     		
	                     		
		                        
                        	
                        	
                        	
                        	
                        		
                        			
                        			
			                        
			                        	君子之道也는 語其大면 則天地不足容也요 語其小면 則不見秋毫之末이요 語其强이면 則天下莫能敵也요 語其約이면 則莫能致傳記니라
			                         
                        		
                        		
                        		
	                     		
			                       	
			                       	
	                     		
	                     		
		                        
                        	
                        	
                        	
                        	
                        		
                        			
                        			
			                        
                        		
                        		
                        		
	                     		
			                       	
			                       	
	                     		
	                     		
		                        
                        	
                        	
                        	
                        	
                        		
                        			
                        			
			                        
			                        	大禮는 性之中이요 大樂은 性之和니 中和之情은 通乎神明이라
			                         
                        		
                        		
                        		
	                     		
			                       	
			                       	
	                     		
	                     		
		                        
                        	
                        	
                        	
                        	
                        		
                        			
                        			
			                        
			                        	故聖人
이 儲精九重而儀鳳凰
하고 修
而關陰陽
하니 是天地位而
明
이요 四時行而萬物和
니라 
                        		
                        		
                        		
	                     		
			                       	
			                       	
	                     		
	                     		
		                        
                        	
                        	
                        	
                        	
                        		
                        			
                        			
			                        
                        		
                        		
                        		
	                     		
			                       	
			                       	
	                     		
	                     		
		                        
                        	
                        	
                        	
                        	
                        		
                        			
                        			
			                        
                        		
                        		
                        		
	                     		
			                       	
			                       	
	                     		
	                     		
		                        
                        	
                        	
                        	
                        	
                        		
                        			
                        			
			                        
                        		
                        		
                        		
	                     		
			                       	
			                       	
	                     		
	                     		
		                        
                        	
                        	
                        	
                        	
                        		
                        			
                        			
			                        
                        		
                        		
                        		
	                     		
			                       	
			                       	
	                     		
	                     		
		                        
                        	
                        	
                        	
                        	
                        		
                        			
                        			
			                        
			                        	天下之言養生修性者 歸於浮屠노자老子而已니 浮屠노자老子之說行이면 而天下爲禮樂者 獨以順流俗而已니라
			                         
                        		
                        		
                        		
	                     		
			                       	
			                       	
	                     		
	                     		
		                        
                        	
                        	
                        	
                        	
                        		
                        			
                        			
			                        
                        		
                        		
                        		
	                     		
			                       	
			                       	
	                     		
	                     		
		                        
                        	
                        	
                        	
                        	
                        		
                        			
                        			
			                        
                        		
                        		
                        		
	                     		
			                       	
			                       	
	                     		
	                     		
		                        
                        	
                        	
                        	
                        	
                        		
                        			
                        			
			                        
			                        	特禮樂之意
는 大而難知
하고 노자老子之言
은 近而易
일새라 
                        		
                        		
                        		
	                     		
			                       	
			                       	
	                     		
	                     		
		                        
                        	
                        	
                        	
                        	
                        		
                        			
                        			
			                        
			                        	聖人之道는 得諸己하야 從容人事之間而不離其類焉이요 浮圖는 直空虛窮苦하야 絶山林之間하고 然後足以善其身而已라
			                         
                        		
                        		
                        		
	                     		
			                       	
			                       	
	                     		
	                     		
		                        
                        	
                        	
                        	
                        	
                        		
                        			
                        			
			                        
			                        	由是觀之컨대 聖人之於釋老에 其遠近難易를 可知也라
			                         
                        		
                        		
                        		
	                     		
			                       	
			                       	
	                     		
	                     		
		                        
                        	
                        	
                        	
                        	
                        		
                        			
                        			
			                        
			                        	是故로 賞與古人同이나 而勸不同하고 罰與古人同이나 而威不同하며 仁與古人同이나 而愛不同하고 智與古人同이나 而識不同하며 言與古人同이나 而信不同하니
			                         
                        		
                        		
                        		
	                     		
			                       	
			                       	
	                     		
	                     		
		                        
                        	
                        	
                        	
                        	
                        		
                        			
                        			
			                        
                        		
                        		
                        		
	                     		
			                       	
			                       	
	                     		
	                     		
		                        
                        	
                        	
                        	
                        	
                        		
                        			
                        			
			                        
                        		
                        		
                        		
	                     		
			                       	
			                       	
	                     		
	                     		
		                        
                        	
                        	
                        	
                        	
                        		
                        			
                        			
			                        
                        		
                        		
                        		
	                     		
			                       	
			                       	
	                     		
	                     		
		                        
                        	
                        	
                        	
                        	
                        		
                        			
                        			
			                        
			                        	今王公大人은 有요堯순舜이윤伊尹之勢어늘 而無복자천子賤一邑之功者는 得非學術素淺而道未明歟아
			                         
                        		
                        		
                        		
	                     		
			                       	
			                       	
	                     		
	                     		
		                        
                        	
                        	
                        	
                        	
                        		
                        			
                        			
			                        
			                        	夫天下之人이 非不勇爲聖人之道나 爲聖人之道者 時務速售諸人하야 以爲進取之階라
			                         
                        		
                        		
                        		
	                     		
			                       	
			                       	
	                     		
	                     		
		                        
                        	
                        	
                        	
                        	
                        		
                        			
                        			
			                        
			                        	今夫進取之道는 譬諸鉤索物耳니 幸而多得其數면 則行爲王公大人하고 若不幸而少得其數면 則裂逢掖之衣하고 爲商賈矣라
			                         
                        		
                        		
                        		
	                     		
			                       	
			                       	
	                     		
	                     		
		                        
                        	
                        	
                        	
                        	
                        		
                        			
                        			
			                        
			                        	由是觀之하면 王公大人은 同商賈之得志者也니 此之謂學術淺而道不明이라
			                         
                        		
                        		
                        		
	                     		
			                       	
			                       	
	                     		
	                     		
		                        
                        	
                        	
                        	
                        	
                        		
                        			
                        			
			                        
			                        	由此觀之컨대 得志而居人之上하야 復治聖人之道而不捨焉이 幾人矣오
			                         
                        		
                        		
                        		
	                     		
			                       	
			                       	
	                     		
	                     		
		                        
                        	
                        	
                        	
                        	
                        		
                        			
                        			
			                        
			                        	內而好愛之容하야 蠱其欲하고 外有便嬖之諛하야 驕其志하니 向之所能者는 日已忘矣요 今之所好者는 日已至矣니라
			                         
                        		
                        		
                        		
	                     		
			                       	
			                       	
	                     		
	                     		
		                        
                        	
                        	
                        	
                        	
                        		
                        			
                        			
			                        
                        		
                        		
                        		
	                     		
			                       	
			                       	
	                     		
	                     		
		                        
                        	
                        	
                        	
                        	
                        		
                        			
                        			
			                        
			                        	夫안회顔子之所學者는 非世人之所學이니 不遷怒者는 求諸己요 不貳過者는 見不善之端而止之也라
			                         
                        		
                        		
                        		
	                     		
			                       	
			                       	
	                     		
	                     		
		                        
                        	
                        	
                        	
                        	
                        		
                        			
                        			
			                        
			                        	世之人所謂退는 안자顔子之所謂進也요 人之所謂益은 안자顔子之所謂損也니
			                         
                        		
                        		
                        		
	                     		
			                       	
			                       	
	                     		
	                     		
		                        
                        	
                        	
                        	
                        	
                        		
                        			
                        			
			                        
                        		
                        		
                        		
	                     		
			                       	
			                       	
	                     		
	                     		
		                        
                        	
                        	
                        	
                        	
                        		
                        			
                        			
			                        
			                        	耳損於聲하며 目損於色하며 口損於言하며 身損於動이 非先難歟아
			                         
                        		
                        		
                        		
	                     		
			                       	
			                       	
	                     		
	                     		
		                        
                        	
                        	
                        	
                        	
                        		
                        			
                        			
			                        
			                        	及其至也하야는 耳無不聞하며 目無不見하며 言無不信하며 動無不服이니 非後得歟아
			                         
                        		
                        		
                        		
	                     		
			                       	
			                       	
	                     		
	                     		
		                        
                        	
                        	
                        	
                        	
                        		
                        			
                        			
			                        
			                        	是故로 君子之學은 始如愚人焉하며 如童蒙焉이나 及其至也하얀 天地不足大요 人物不足多요 鬼神不足爲隱이요 諸子之支離 不足惑也라
			                         
                        		
                        		
                        		
	                     		
			                       	
			                       	
	                     		
	                     		
		                        
                        	
                        	
                        	
                        	
                        		
                        			
                        			
			                        
			                        	是故
로 天
高也
의 日月星辰
과 陰陽之氣
를 可端策而數也
요 地至大也
의 山川丘陵
과 萬物之形
과 人之常産
을 可指籍而定也
라 
                        		
                        		
                        		
	                     		
			                       	
			                       	
	                     		
	                     		
		                        
                        	
                        	
                        	
                        	
                        		
                        			
                        			
			                        
			                        	是故로 星曆之數와 天地之法과 人物之所는 皆前世致精好學한 聖人者之所建也니 後世之人이 守其成法이나 而安能知其始焉이리오
			                         
                        		
                        		
                        		
	                     		
			                       	
			                       	
	                     		
	                     		
		                        
                        	
                        	
                        	
                        	
                        		
                        			
                        			
			                        
                        		
                        		
                        		
	                     		
			                       	
			                       	
	                     		
	                     		
		                        
                        	
                        	
                        	
                        	
                        		
                        			
                        			
			                        
			                        	故로 古之人言道者는 莫先於天地하고 言天地者는 莫先乎身하고 言身者는 莫先乎性하고 言性者는 莫先乎精하니
			                         
                        		
                        		
                        		
	                     		
			                       	
			                       	
	                     		
	                     		
		                        
                        	
                        	
                        	
                        	
                        		
                        			
                        			
			                        
			                        	精者는 天之所以高요 地之所以厚며 聖人所以配之라
			                         
                        		
                        		
                        		
	                     		
			                       	
			                       	
	                     		
	                     		
		                        
                        	
                        	
                        	
                        	
                        		
                        			
                        			
			                        
			                        	故御
는 人莫不盡能
이나 而
獨得之
는 非車馬不同
이라 조보造父精之也
요 射
는 人莫不盡能
이나 而
獨得之
는 非弓矢之不同
이라 예羿精之也
니라 
                        		
                        		
                        		
	                     		
			                       	
			                       	
	                     		
	                     		
		                        
                        	
                        	
                        	
                        	
                        		
                        			
                        			
			                        
			                        	今之人與古之人
이 一也
나 然而用之則二也
하니 조보造父用之以爲御
하고 예羿用之以爲射
하며 用之以爲賊
이니라 
                        		
                        		
                        		
	                     		
			                       	
			                       	
	                     		
	                     		
		                        
                        	
                        	
                        	
                        	
                   			
                        	
                        	
                        	
                        	
	                       	
	                       	
	                       	
	                       	
							                       	
	                        
	                        
	                        	
	                        
	                        	
	                        
	                        	
	                        
	                        	
	                        
	                        	
	                        
	                        	
	                        
	                        	
	                        
	                        	
	                        
	                        	
	                        
	                        	
	                        
	                        	
	                        
	                        	
	                        
	                        	
	                        
	                        	
	                        
	                        	
	                        
	                        	
	                        
	                        	
	                        
	                        	
	                        
	                        	
	                        
	                        	
	                        
	                        	
	                        
	                        	
	                        
	                        	
	                        
	                        	
	                        
	                        	
	                        
	                        	
	                        
	                        	
	                        
	                        	
	                        
	                        	
	                        
	                        	
	                        
	                        	
	                        
	                        	
	                        
	                        	
	                        
	                        	
	                        
	                        	
	                        
	                        	
	                        
	                        	
	                        
	                        	
	                        
	                        	
	                        
	                        	
	                        
	                        	
	                        
	                        	
	                        
	                        	
	                        
	                        	
	                        
	                        	
	                        
	                        	
	                        
	                        	
	                        
	                        	
	                        
	                        	
	                        
	                        	
	                        
	                        	
	                        
	                        	
	                        
	                        	
	                        
	                        	
	                        
	                        	
	                        
	                        	
	                        
	                        	
	                        
	                        	
	                        
	                        	
	                        
	                        	
	                        
	                        	
	                        
	                        	
	                        
	                        	
	                        
	                        	
	                        
	                        	
	                        
	                        	
	                        
	                        	
	                        
	                        	
	                        
	                        	
	                        
	                        	
	                        
	                        	
	                        
	                        	
	                        
	                        	
	                        
	                        	
	                        
	                        	
	                        
	                        	
	                        
	                        	
	                        
	                        	
	                        
	                        	
	                        
	                        	
	                        
	                        	
	                        
	                        	
	                        
	                        	
	                        
	                        	
	                        
	                        	
	                        
	                        	
	                        
	                        	
	                        
	                        	
	                        
	                        	
	                        
	                        	
	                        
	                        	
	                        
	                        	
	                        
	                        	
	                        
	                        	
	                        
	                        	
	                        
	                        	
	                        
	                        	
	                        
	                        	
	                        
	                        	
	                        
	                        	
	                        
	                        	
	                        
	                        	
	                        
	                        	
	                        
	                        	
	                        
	                        	
	                        
	                        	
	                        
	                        	
	                        
	                        	
	                        
	                        	
	                        
	                        	
	                        
	                        	
	                        
	                        	
	                        
	                        	
	                        
	                        	
	                        
	                        	
	                        
	                        	
	                        
	                        	
	                        
	                        	
	                        
	                        	
	                        
	                        	
	                        
	                        	
	                        
	                        	
	                        
	                        	
	                        
	                        	
	                        
	                        	
	                        
	                        	
	                        
	                        	
	                        
	                        	
	                        
	                        	
	                        
	                        	
	                        
	                        	
	                        
	                        	
	                        
	                        	
	                        
	                        	
	                        
	                        	
	                        
	                        	
	                        
	                        	
	                        
	                        	
	                        
	                        	
	                        
	                        	
	                        
	                        	
	                        
	                        	
	                        
	                        	
	                        
	                        	
	                        
	                        	
	                        
	                        	
	                        
	                        	
	                        
	                        	
	                        
	                        	
	                        
	                        	
	                        
	                        	
	                        
	                        	
	                        
	                        	
	                        
	                        	
	                        
	                        	
	                        
	                        	
	                        
	                        	
	                        
	                        	
	                        
	                        	
	                        
	                        	
	                        
	                        	
	                        
	                        	
	                        
	                        	
	                        
	                        	
	                        
	                        	
	                        
	                        	
	                        
	                        	
	                        
	                        	
	                        
	                        	
	                        
	                        	
	                        
	                        	
	                        
	                        	
	                        
	                        	
	                        
	                        	
	                        
	                        	
	                        
	                        	
	                        
	                        	
	                        
	                        	
	                        
	                        	
	                        
	                        	
	                        
	                        	
	                        
	                        	
	                        
	                        	
	                        
	                        	
	                        
	                        
	                        
                        	
		                        
		                        
		                        
		                        
                        		
                        	
		                        
		                        
		                        
		                        	
		                        	
		                        
		                        
                        		
                        		
                        			
			                             
                        			
                        		
                        		
	                     		
			                       	
			                       	
	                     		
		                        
                        	
		                        
		                        
		                        
		                        
                        		
                        	
		                        
		                        
		                        
		                        	
		                        	
		                        
		                        
                        		
                        		
                        			
			                        
			                        	문장文章 속에 명언名言이 많고, 써 내려간 문장文章은 순경荀卿의 문장과 유사하다.
			                              
                        			
                        		
                        		
	                     		
			                       	
			                       	
	                     		
		                        
                        	
		                        
		                        
		                        
		                        
                        		
                        	
		                        
		                        
		                        
		                        	
		                        	
		                        
		                        
                        		
                        		
                        			
			                        
			                        	기氣가 명命을 받아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심心이다.
			                              
                        			
                        		
                        		
	                     		
			                       	
			                       	
	                     		
		                        
                        	
		                        
		                        
		                        
		                        
                        		
                        	
		                        
		                        
		                        
		                        	
		                        	
		                        
		                        
                        		
                        		
                        			
			                        
			                        	시각視覺으로는 반드시 볼 수 있고, 청각聽覺으로는 반드시 들을 수 있고, 가면 반드시 도달할 수 있고, 사고思考하면 반드시 얻을 수 있는 것, 이것은 성誠이 도달한 지극한 경지境地이다.
			                              
                        			
                        		
                        		
	                     		
			                       	
			                       	
	                     		
		                        
                        	
		                        
		                        
		                        
		                        
                        		
                        	
		                        
		                        
		                        
		                        	
		                        	
		                        
		                        
                        		
                        		
                        			
			                        
			                        	청각聽覺을 동원하지 않아도 들을 수 있고, 시각視覺을 동원하지 않아도 볼 수 있으며, 사고思考하지 않고도 얻고, 가지 않고도 도달하는 것, 이것은 성性에 본시 존재하는 것이고 정신精神의 근원根源에서 나온 것이니, 심心을 극진히 하고 성誠을 극진히 한 사람만이 도달할 수 있는 경지이다.
			                              
                        			
                        		
                        		
	                     		
			                       	
			                       	
	                     		
		                        
                        	
		                        
		                        
		                        
		                        
                        		
                        	
		                        
		                        
		                        
		                        	
		                        	
		                        
		                        
                        		
                        		
                        			
			                        
			                        	그러므로 성誠이 헤아리기 어려운 것이 성性이다.
			                              
                        			
                        		
                        		
	                     		
			                       	
			                       	
	                     		
		                        
                        	
		                        
		                        
		                        
		                        
                        		
                        	
		                        
		                        
		                        
		                        	
		                        	
		                        
		                        
                        		
                        		
                        			
			                        
			                        	현자賢者는 성誠을 극진히 하여 성性을 확립한 사람이고, 성인聖人은 성性을 극진히 하여 성誠에 도달한 사람이다.
			                              
                        			
                        		
                        		
	                     		
			                       	
			                       	
	                     		
		                        
                        	
		                        
		                        
		                        
		                        
                        		
                        	
		                        
		                        
		                        
		                        	
		                        	
		                        
		                        
                        		
                        		
                        			
			                        
			                        	정신精神은 성性에서 생기고, 성性은 성誠에서 생기며, 성誠은 심心에서 생기고, 심心은 기氣에서 생기며, 기氣는 육체肉體에서 생기니, 육체肉體라는 것이 생명生命을 존재하게 하는 근본이다.
			                              
                        			
                        		
                        		
	                     		
			                       	
			                       	
	                     		
		                        
                        	
		                        
		                        
		                        
		                        
                        		
                        	
		                        
		                        
		                        
		                        	
		                        	
		                        
		                        
                        		
                        		
                        			
			                        
			                        	그러므로 생명을 기르는 것은 육체를 보존함에 있고, 육체를 충실하게 하는 것은 기氣를 기름에 있으며, 기氣를 기르는 것은 심心을 편안하게 하는 데 있고, 심心을 편안하게 하는 것은 성誠을 극진하게 하는 데 있고, 성誠을 기르는 것은 성性을 극진히 하는 데 있으니, 성性을 극진히 하지 않으면 생명을 기르기에 부족하게 된다.
			                              
                        			
                        		
                        		
	                     		
			                       	
			                       	
	                     		
		                        
                        	
		                        
		                        
		                        
		                        
                        		
                        	
		                        
		                        
		                        
		                        	
		                        	
		                        
		                        
                        		
                        		
                        			
			                        
			                        	성性을 극진하게 하는 것이 성誠에 도달하는 것이요, 성誠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 심心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요, 심心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 기氣를 기르는 것이요, 기氣를 잘 기르는 것이 육체를 잘 보존하는 것이요, 육체를 잘 보존하는 것이 생명을 기르는 것이니, 생명을 기르지 못하면 성性을 극진히 하기에 부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생명生命과 성性이 서로 이어받아 따르고, 심心에서 일어난 지志가 기氣와 서로 표리表裏가 되는 것이다.
			                              
                        			
                        		
                        		
	                     		
			                       	
			                       	
	                     		
		                        
                        	
		                        
		                        
		                        
		                        
                        		
                        	
		                        
		                        
		                        
		                        	
		                        	
		                        
		                        
                        		
                        		
                        			
			                        
			                        	생명生命이 혼탁混濁해지면 성性이 피폐疲弊해지고, 성性이 혼탁하면 생명이 피폐해지는 것이, 지志가 순일純一하면 기氣를 동動하게 하고 기氣가 순일純一하면 지志를 동動하게 하는 것과 같다.
			                              
                        			
                        		
                        		
	                     		
			                       	
			                       	
	                     		
		                        
                        	
		                        
		                        
		                        
		                        
                        		
                        	
		                        
		                        
		                        
		                        	
		                        	
		                        
		                        
                        		
                        		
                        			
			                        
			                        	선왕先王들이 그렇게 된 원리原理를 알아서, 이 때문에 천하 사람들의 천성天性을 근본으로 하여 예禮를 제정하고, 천하 사람들의 천성天性을 조화調和시키고자 하여 악樂을 제정하였으니, 예禮는 천하 사람들이 행할 알맞는 법도가 되는 것이고, 악樂은 천하 사람들이 심중心中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을 조화롭게 드러내는 것이다.
			                              
                        			
                        		
                        		
	                     		
			                       	
			                       	
	                     		
		                        
                        	
		                        
		                        
		                        
		                        
                        		
                        	
		                        
		                        
		                        
		                        	
		                        	
		                        
		                        
                        		
                        		
                        			
			                        
			                        	예禮와 악樂은 선왕이 사람의 정신精神을 기르고 사람의 기氣를 바르게 하여 올바른 성性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대례大禮의 지극한 경지는 간결簡潔하여 꾸밈이 없게 되고, 대악大樂의 지극한 경지는 평이平易하고 소리가 완만하게 되나니, 간결簡潔하고 평이平易하게 한 것이 선왕先王이 예禮와 악樂을 세운 근본 뜻이다.
			                              
                        			
                        		
                        		
	                     		
			                       	
			                       	
	                     		
		                        
                        	
		                        
		                        
		                        
		                        
                        		
                        	
		                        
		                        
		                        
		                        	
		                        	
		                        
		                        
                        		
                        		
                        			
			                        
			                        	세속世俗에서 중重하게 여기는 것을 성인聖人은 가볍게 여기고, 세속世俗에서 즐거워하는 것을 성인聖人은 슬프게 여기니, 성인聖人의 마음이 세속世俗 사람들과 서로 반대가 되어서가 아니라, 성인聖人은 내심內心으로 추구하는 것이 있고 세속 사람들은 외면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있어서이다.
			                              
                        			
                        		
                        		
	                     		
			                       	
			                       	
	                     		
		                        
                        	
		                        
		                        
		                        
		                        
                        		
                        	
		                        
		                        
		                        
		                        	
		                        	
		                        
		                        
                        		
                        		
                        			
			                        
			                        	내심으로 추구하는 사람은 천성天性에 합당한 것을 얻는 것을 즐거워하고, 외면적으로 추구하는 사람은 그 욕망慾望을 이루는 것을 즐거워한다.
			                              
                        			
                        		
                        		
	                     		
			                       	
			                       	
	                     		
		                        
                        	
		                        
		                        
		                        
		                        
                        		
                        	
		                        
		                        
		                        
		                        	
		                        	
		                        
		                        
                        		
                        		
                        			
			                        
			                        	욕망慾望은 쉽게 드러나지만 성性은 알기가 어려우니, 이것이 성인聖人과 속인俗人의 정성情性이 정반대正反對가 되는 근본 원인이다.
			                              
                        			
                        		
                        		
	                     		
			                       	
			                       	
	                     		
		                        
                        	
		                        
		                        
		                        
		                        
                        		
                        	
		                        
		                        
		                        
		                        	
		                        	
		                        
		                        
                        		
                        		
                        			
			                        
			                        	옷과 음식은 사람의 육체와 기氣를 기르는 근원이고, 예禮와 악樂은 사람의 성性을 기르는 근원이다.
			                              
                        			
                        		
                        		
	                     		
			                       	
			                       	
	                     		
		                        
                        	
		                        
		                        
		                        
		                        
                        		
                        	
		                        
		                        
		                        
		                        	
		                        	
		                        
		                        
                        		
                        		
                        			
			                        
			                        	예禮는 그 성性의 시초가 된 근원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이고, 악樂은 생명生命의 근원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니, 우리는 예禮와 악樂을 통하여 성인聖人이 그 생명生命을 귀貴하게 여김이 지극하였음을 보게 된다.
			                              
                        			
                        		
                        		
	                     		
			                       	
			                       	
	                     		
		                        
                        	
		                        
		                        
		                        
		                        
                        		
                        	
		                        
		                        
		                        
		                        	
		                        	
		                        
		                        
                        		
                        		
                        			
			                        
			                        	세속의 말에 이르기를 “생명生命을 기르는 것은 군자君子가 할 일이 아니다.”라고 하는데, 이는 선왕先王이 예禮와 악樂을 제정制定한 뜻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생명生命을 기르는 것으로 인仁을 삼고, 기氣를 보존하는 것으로 의義를 삼으며, 정情과 욕欲을 제거하고 물리쳐서 천하 사람들의 천성天性을 극진하게 하고, 정신精神을 수양하여 밝게 터득해서, 이로써 성인聖人이 이룩한 경지境地를 뒤따르는 것이다.
			                              
                        			
                        		
                        		
	                     		
			                       	
			                       	
	                     		
		                        
                        	
		                        
		                        
		                        
		                        
                        		
                        	
		                        
		                        
		                        
		                        	
		                        	
		                        
		                        
                        		
                        		
                        			
			                        
			                        	성인聖人의 말씀은 안연顔淵과의 문답에 드러난 것보다 중대한 것이 없다.
			                              
                        			
                        		
                        		
	                     		
			                       	
			                       	
	                     		
		                        
                        	
		                        
		                        
		                        
		                        
                        		
                        	
		                        
		                        
		                        
		                        	
		                        	
		                        
		                        
                        		
                        		
                        			
			                        
			                        	“예禮에 맞지 않으면 보지 말고, 예禮에 맞지 않으면 듣지 말고, 예禮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말며, 예禮에 맞지 않으면 행동하지 말라.” 하였으니, 인仁을 행하는 도道도 먼 데 있는 것이 아니다.
			                              
                        			
                        		
                        		
	                     		
			                       	
			                       	
	                     		
		                        
                        	
		                        
		                        
		                        
		                        
                        		
                        	
		                        
		                        
		                        
		                        	
		                        	
		                        
		                        
                        		
                        		
                        			
			                        
			                        	귀는 타인他人의 말이 있은 이후에야 듣는 것이 아니고, 눈은 타인의 행위가 있은 이후에야 보는 것이 아니며, 입은 타인의 반응이 있은 이후에야 말하는 것이 아니고, 몸은 타인의 반응이 있은 이후에야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지키기를 지극히 간략하게 하고, 취하기를 지극히 가까운 곳에서 하여, 마음과 육체를 소유한 사람은 누구나 이렇게 할 능력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안자顔子도 오히려 이것을 실천하는 일을 근심하였으니, 이는 무엇 때문인가?
			                              
                        			
                        		
                        		
	                     		
			                       	
			                       	
	                     		
		                        
                        	
		                        
		                        
		                        
		                        
                        		
                        	
		                        
		                        
		                        
		                        	
		                        	
		                        
		                        
                        		
                        		
                        			
			                        
			                        	대체로 사람이 행할 도道 가운데 이보다 중대한 것이 없어서이다.
			                              
                        			
                        		
                        		
	                     		
			                       	
			                       	
	                     		
		                        
                        	
		                        
		                        
		                        
		                        
                        		
                        	
		                        
		                        
		                        
		                        	
		                        	
		                        
		                        
                        		
                        		
                        			
			                        
			                        	예禮에 맞지 않으면 듣지 말라는 것은 귀를 막고 피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천하의 만물이 나의 총명을 막기에 부족하다는 것이고, 예禮에 맞지 않으면 보지 말라는 것은 눈을 가리고 피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천하의 만물이 나의 밝음을 어지럽히기에 부족하다는 것이고, 예禮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말라는 것은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천하의 만물이 내 바른 말을 바꾸기에 부족하다는 것이며, 예禮에 맞지 않으면 움직이지 말라는 것은 그 몸을 정지시키고 움직이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천하의 만물이 나의 정기正氣를 어지럽히기에 부족하다는 것이다.
			                              
                        			
                        		
                        		
	                     		
			                       	
			                       	
	                     		
		                        
                        	
		                        
		                        
		                        
		                        
                        		
                        	
		                        
		                        
		                        
		                        	
		                        	
		                        
		                        
                        		
                        		
                        			
			                        
			                        	천하의 만물이 어찌 유독 육신肉身에만 그렇게 한다는 것이겠는가.
			                              
                        			
                        		
                        		
	                     		
			                       	
			                       	
	                     		
		                        
                        	
		                        
		                        
		                        
		                        
                        		
                        	
		                        
		                        
		                        
		                        	
		                        	
		                        
		                        
                        		
                        		
                        			
			                        
			                        	그 근원으로부터 유래한 것이 대체로 매우 은미隱微하다.
			                              
                        			
                        		
                        		
	                     		
			                       	
			                       	
	                     		
		                        
                        	
		                        
		                        
		                        
		                        
                        		
                        	
		                        
		                        
		                        
		                        	
		                        	
		                        
		                        
                        		
                        		
                        			
			                        
			                        	귀로 듣지 않을 때에 먼저 밝게 들을 능력을 보유하였고, 눈으로 보지 않을 때에 먼저 밝게 볼 능력을 보유하였고, 말을 하지 않을 때에 먼저 말할 내용을 지니고 있으며, 몸을 움직이지 않을 때에 먼저 움직일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성인聖人의 제자弟子들 가운데 오직 안연顔淵만이 이 말에 합당한 경지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귀로 듣는 것으로 총명함을 삼지 않는 것이니 총명함의 근원을 알지 못하는 자는 천하의 말을 극진하게 듣기에 부족하기 때문이고, 눈으로 보는 것으로 밝음을 삼지 않는 것이니 밝게 보는 근원을 알지 못하는 자는 천하의 볼 것을 극진하게 보기에 부족하기 때문이다.
			                              
                        			
                        		
                        		
	                     		
			                       	
			                       	
	                     		
		                        
                        	
		                        
		                        
		                        
		                        
                        		
                        	
		                        
		                        
		                        
		                        	
		                        	
		                        
		                        
                        		
                        		
                        			
			                        
			                        	밝게 듣고 밝게 보는 것은 귀와 눈이 잘할 수 있는 것이나, 밝게 듣고 밝게 볼 수 있게 하는 근본은 육체의 일부인 귀와 눈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종소리와 북소리를 기다린 이후에야 즐거워하는 사람은 음악音樂의 원리를 깊이 터득한 사람이 아니고, 구슬과 비단(폐백)을 바치는 의식을 기다린 이후에야 공경恭敬에 대하여 아는 사람은 예禮의 원리를 깊이 깨달은 사람이 아니다.
			                              
                        			
                        		
                        		
	                     		
			                       	
			                       	
	                     		
		                        
                        	
		                        
		                        
		                        
		                        
                        		
                        	
		                        
		                        
		                        
		                        	
		                        	
		                        
		                        
                        		
                        		
                        			
			                        
			                        	풀을 묶어 만든 북채와 흙으로 만든 북 같은 원시적인 악기에 음악音樂의 도道는 갖추어져 있고, 곡식을 돌 위에서 익히고 고기를 손으로 뜯어 먹으며 구덩이를 술그릇으로 삼고 손으로 움켜 마시는 원시적인 의식에도 예禮의 근본은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사 지낼 때에 입는 옷에는 무늬가 없고, 천자가 타는 수레에는 장식이 없었으니, 성인聖人이 오로지 그 일에서 귀하게 여긴 것은 무엇이었던가?
			                              
                        			
                        		
                        		
	                     		
			                       	
			                       	
	                     		
		                        
                        	
		                        
		                        
		                        
		                        
                        		
                        	
		                        
		                        
		                        
		                        	
		                        	
		                        
		                        
                        		
                        		
                        			
			                             
                        			
                        		
                        		
	                     		
			                       	
			                       	
	                     		
		                        
                        	
		                        
		                        
		                        
		                        
                        		
                        	
		                        
		                        
		                        
		                        	
		                        	
		                        
		                        
                        		
                        		
                        			
			                        
			                        	그러므로 “예禮는 인정人情에 가깝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지, 극진하게 꾸미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 것이다.
			                              
                        			
                        		
                        		
	                     		
			                       	
			                       	
	                     		
		                        
                        	
		                        
		                        
		                        
		                        
                        		
                        	
		                        
		                        
		                        
		                        	
		                        	
		                        
		                        
                        		
                        		
                        			
			                        
			                        	증자曾子가 맹경자孟敬子에게 이르기를 “군자君子가 귀하게 여기는 도道가 세 가지 있으니, 용모容貌를 근엄謹嚴 신중愼重하게 움직이면 이로써 나에게 포만暴慢하게 대待함을 멀리할 수 있고, 안색顔色을 엄정嚴正하게 하면 이로써 나에게 신의信義에 가깝게 대하게 할 수 있고, 온공溫恭하게 말을 하면 이로써 나에게 천루賤陋하고 사나운 말을 하는 것을 멀리할 수 있다.
			                              
                        			
                        		
                        		
	                     		
			                       	
			                       	
	                     		
		                        
                        	
		                        
		                        
		                        
		                        
                        		
                        	
		                        
		                        
		                        
		                        	
		                        	
		                        
		                        
                        		
                        		
                        			
			                        
			                        	제사 음식을 차리는 일은 해당 관원이 있으니 내가 신경 쓸 일이 아니다.” 하였는데, 이 말을 관찰해보면, 증자曾子도 도道를 알지 못했다고 하는 것이 옳으니, 가령 증자曾子가 도道를 알았다면 도道는 언어와 용모와 대화의 사이에서 떠나지 않으니, 어찌 도道가 외물에 의지하는 것이겠는가.
			                              
                        			
                        		
                        		
	                     		
			                       	
			                       	
	                     		
		                        
                        	
		                        
		                        
		                        
		                        
                        		
                        	
		                        
		                        
		                        
		                        	
		                        	
		                        
		                        
                        		
                        		
                        			
			                        
			                        	이 때문에 옛사람들은 눈으로 보게 되면 이미 도道의 소재를 알게 되고, 말하지 않아도 뜻이 이미 전해지며, 상賞을 주지 않아도 사람들이 스스로 분발하고, 벌罰을 주지 않아도 사람들이 저절로 두려워하게 되었으니, 이렇게 된 것은 이 도道를 근거로 하지 않은 것이 없어서이다.
			                              
                        			
                        		
                        		
	                     		
			                       	
			                       	
	                     		
		                        
                        	
		                        
		                        
		                        
		                        
                        		
                        	
		                        
		                        
		                        
		                        	
		                        	
		                        
		                        
                        		
                        		
                        			
			                        
			                        	이 때문에 선왕先王의 도道가 말로 전해지고 행동으로 드러날 수 있는 것은, 모두 그 법도法度와 형정刑政을 통해서 된 것이지 고차적인 정신精神을 동원해야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주역周易》에 이르기를 “정신精神이 신묘神妙해져서 밝게 되는 것은 그 사람에게 달려 있고, 소리 없이 이루고 말을 하지 않아도 믿게 되는 것은 덕행德行에 달려 있다.” 하였으니, 인정人情과 기욕嗜慾을 제거하면 신명神明함이 드러나고, 정신精神을 수양하여 밝음을 극진히 하면 만물이 저절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군자君子의 도道를 아는 사람이 드문 것이다.
			                              
                        			
                        		
                        		
	                     		
			                       	
			                       	
	                     		
		                        
                        	
		                        
		                        
		                        
		                        
                        		
                        	
		                        
		                        
		                        
		                        	
		                        	
		                        
		                        
                        		
                        		
                        			
			                        
			                        	그 마음을 잘 정리하여 밝게 하고 그 덕德을 맑고 밝게 하면, 천지天地 사이에 존재하는 만물이 모두 저절로 지극하게 되니, 군자君子가 고수固守하는 것이 지극히 간략하면서도 도달한 경지는 지극히 광범하고, 지극히 가까운데서 취하였는데도 멀리서도 호응하게 되는 것이다.
			                              
                        			
                        		
                        		
	                     		
			                       	
			                       	
	                     		
		                        
                        	
		                        
		                        
		                        
		                        
                        		
                        	
		                        
		                        
		                        
		                        	
		                        	
		                        
		                        
                        		
                        		
                        			
			                        
			                        	《주역周易》에 이르기를 “헤아려본 이후에 말하고, 따져본 이후에 행동하여, 헤아리고 따져서 그 변화의 도道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하였으니, 변화에 적응함이 천리天理와 인도人道의 극치에 이르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서경書經》에서 하늘과 사람의 도에 대하여 말한 것은 〈홍범洪範〉의 기록보다 중대한 것이 없으니, 〈홍범洪範〉에서 천리天理와 인도人道를 따르는 도道에 대하여 말한 것은 “공손한 모습[貌], 순종하는 말[言], 분명하게 살핌[視], 총명하게 들음[聽], 지혜롭게 생각함[思]보다 중대한 것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성인聖人께서 홀로 깨달은 이치와 마음을 전하신 말씀이여!
			                              
                        			
                        		
                        		
	                     		
			                       	
			                       	
	                     		
		                        
                        	
		                        
		                        
		                        
		                        
                        		
                        	
		                        
		                        
		                        
		                        	
		                        	
		                        
		                        
                        		
                        		
                        			
			                        
			                        	정신精神에 함축含蓄되어 길러지고, 보이지 않는 가운데서 기氣를 잘 길러서 신명神明과 통하게 된 것이로다!
			                              
                        			
                        		
                        		
	                     		
			                       	
			                       	
	                     		
		                        
                        	
		                        
		                        
		                        
		                        
                        		
                        	
		                        
		                        
		                        
		                        	
		                        	
		                        
		                        
                        		
                        		
                        			
			                        
			                        	군자君子가 실수를 범하지 않고자 하는 것이 세 가지 있으니, 남에게 낯빛을 변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으려 하고, 남에게 말을 잘못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으려 하고, 남에게 거동을 장중하게 하지 못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으려 하는 것이다.
			                              
                        			
                        		
                        		
	                     		
			                       	
			                       	
	                     		
		                        
                        	
		                        
		                        
		                        
		                        
                        		
                        	
		                        
		                        
		                        
		                        	
		                        	
		                        
		                        
                        		
                        		
                        			
			                        
			                        	낯빛을 변하지 않는다는 것은 용모가 순일純一한 것이고, 말을 잘못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하고 침묵함이 순일純一한 것이며, 처신을 장중하게 하지 못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는다는 것은 가고 그침을 순일純一하게 하는 것이다.
			                              
                        			
                        		
                        		
	                     		
			                       	
			                       	
	                     		
		                        
                        	
		                        
		                        
		                        
		                        
                        		
                        	
		                        
		                        
		                        
		                        	
		                        	
		                        
		                        
                        		
                        		
                        			
			                        
			                        	군자君子의 도道는 그 큰 것을 말한다면 천지天地로도 포용하기에 부족하고, 그 작은 것을 말한다면 가을 터럭의 끝보다도 작아서 보이지 않으며, 그 굳셈을 말한다면 천하에 대적할 상대가 없고, 그 간략함을 말한다면 문자文字로 표현하여 전할 수가 없다.
			                              
                        			
                        		
                        		
	                     		
			                       	
			                       	
	                     		
		                        
                        	
		                        
		                        
		                        
		                        
                        		
                        	
		                        
		                        
		                        
		                        	
		                        	
		                        
		                        
                        		
                        		
                        			
			                        
			                        	성인聖人이 남기신 말씀에 “대례大禮는 천지天地와 더불어 그 법도法度를 함께하고, 대악大樂은 천지와 더불어 그 조화調和를 함께한다.” 하였으니, 이는 성性에 대하여 말한 것이다.
			                              
                        			
                        		
                        		
	                     		
			                       	
			                       	
	                     		
		                        
                        	
		                        
		                        
		                        
		                        
                        		
                        	
		                        
		                        
		                        
		                        	
		                        	
		                        
		                        
                        		
                        		
                        			
			                        
			                        	대례大禮는 성性의 중도中道에 맞는 것이고 대악大樂은 성性이 조화롭게 발현發現된 것이니, 중용中庸의 도道에 맞고 조화롭게 발현된 인정人情은 천지天地의 신명神明에 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이 대례大禮 대악大樂의 정수精髓를 간직하여 이에 맞게 연주하자 봉황鳳凰이 내려와 춤을 추었고, 오사五事를 잘 닦자 음양陰陽이 형통亨通하게 되었으며, 이에 천지天地가 바르게 자리를 잡고 삼광三光이 밝게 빛났으며, 네 계절이 순조롭게 운행되어 만물이 조화를 이루게 되었다고 한 것이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학鶴이 굽이굽이 펼쳐진 깊숙한 소택沼澤에서 우니, 그 소리가 하늘에까지 들렸노라.”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맹자孟子가 이르기를 “나는 나의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잘 기르니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차게 되었다.”라고 한 것이며, 양자揚子가 이르기를 “모貌와 언言과 시視와 청聽과 사思는 천성天性으로 소유所有한 것이다.”라고 하고, “하늘에 마음을 기울이면 하늘의 이치를 알고, 땅에 마음을 기울이면 땅의 이치를 안다.” 한 것이다.
			                              
                        			
                        		
                        		
	                     		
			                       	
			                       	
	                     		
		                        
                        	
		                        
		                        
		                        
		                        
                        		
                        	
		                        
		                        
		                        
		                        	
		                        	
		                        
		                        
                        		
                        		
                        			
			                             
                        			
                        		
                        		
	                     		
			                       	
			                       	
	                     		
		                        
                        	
		                        
		                        
		                        
		                        
                        		
                        	
		                        
		                        
		                        
		                        	
		                        	
		                        
		                        
                        		
                        		
                        			
			                        
			                        	예악禮樂의 본의本意가 전해지지 않은 지가 오래되었도다.
			                              
                        			
                        		
                        		
	                     		
			                       	
			                       	
	                     		
		                        
                        	
		                        
		                        
		                        
		                        
                        		
                        	
		                        
		                        
		                        
		                        	
		                        	
		                        
		                        
                        		
                        		
                        			
			                        
			                        	천하天下 사람들 가운데 양생養生과 수성修性을 말하는 자들은 불교佛敎나 노장老莊으로 돌아갈 뿐이니, 불교佛敎나 노자老子의 학설이 행해지면 천하의 예악禮樂을 행하는 자들은 저속한 유행流行만을 따르게 될 뿐이다.
			                              
                        			
                        		
                        		
	                     		
			                       	
			                       	
	                     		
		                        
                        	
		                        
		                        
		                        
		                        
                        		
                        	
		                        
		                        
		                        
		                        	
		                        	
		                        
		                        
                        		
                        		
                        			
			                        
			                        	대저 천하 사람들을 예악禮樂의 형식形式만을 준수하는 쪽으로 몰아가서, 이로써 저속한 유행을 따르는 것만을 일삼게 하면서 국가國家를 잘 다스리고자 하는 것은, 바로 양梁나라와 진晉나라의 군주君主가 패망敗亡의 화禍에 이르게 되었던 방법方法을 취取하여 그대로 따르는 것이로다.
			                              
                        			
                        		
                        		
	                     		
			                       	
			                       	
	                     		
		                        
                        	
		                        
		                        
		                        
		                        
                        		
                        	
		                        
		                        
		                        
		                        	
		                        	
		                        
		                        
                        		
                        		
                        			
			                        
			                        	그런데도 세상에서 이를 알지 못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이는 다만 예악禮樂의 의의意義는 커서 이해하기가 어렵고, 노자老子의 말은 친근하여 이해하기가 쉬워서일 뿐이다.
			                              
                        			
                        		
                        		
	                     		
			                       	
			                       	
	                     		
		                        
                        	
		                        
		                        
		                        
		                        
                        		
                        	
		                        
		                        
		                        
		                        	
		                        	
		                        
		                        
                        		
                        		
                        			
			                        
			                        	성인聖人의 도道를 자기 몸에 체득體得하고, 인사지간人事之間에서 안온安穩하게 조화調和를 이루어 그것이 사람들 무리에서 떠나지 않아야 하는 것인데, 불도佛徒들은 세계世界를 다만 공허空虛한 것으로 보아 고행苦行을 유도誘導하고, 인사人事를 피하여 산림 속으로 은둔한 연후에야 그 몸을 선善하게 보존하기에 족足하게 된다고 한다.
			                              
                        			
                        		
                        		
	                     		
			                       	
			                       	
	                     		
		                        
                        	
		                        
		                        
		                        
		                        
                        		
                        	
		                        
		                        
		                        
		                        	
		                        	
		                        
		                        
                        		
                        		
                        			
			                        
			                        	이를 근거로 하여 관찰해본다면, 성인聖人은 불교佛敎 및 노장老莊과는 그 원근遠近과 난이難易의 차원次元이 다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상賞 주기를 옛사람들이 한 것과 같게 하여도 분발奮發하는 것은 같지 않게 되었고, 벌罰 주기를 옛사람과 같게 하여도 두려워하는 것은 같지 않게 되었고, 인덕仁德을 옛사람과 같게 베풀어도 사랑을 느낌은 같지 않게 되었고, 지혜智慧가 옛사람과 같아도 식견識見은 같지 않게 되었고, 말을 옛사람과 같게 하여도 신의信義는 같지 않게 되었다.
			                              
                        			
                        		
                        		
	                     		
			                       	
			                       	
	                     		
		                        
                        	
		                        
		                        
		                        
		                        
                        		
                        	
		                        
		                        
		                        
		                        	
		                        	
		                        
		                        
                        		
                        		
                        			
			                        
			                        	도道는 예나 이제나 동일한데 심心이 동일하지 않아서인 것이다.
			                              
                        			
                        		
                        		
	                     		
			                       	
			                       	
	                     		
		                        
                        	
		                        
		                        
		                        
		                        
                        		
                        	
		                        
		                        
		                        
		                        	
		                        	
		                        
		                        
                        		
                        		
                        			
			                        
			                        	《주역周易》에 이르기를 “진실로 도통道通한 성인聖人이 아니라면, 도道가 공허空虛하게 되어 행할 수 없게 된다.” 하였다.
			                              
                        			
                        		
                        		
	                     		
			                       	
			                       	
	                     		
		                        
                        	
		                        
		                        
		                        
		                        
                        		
                        	
		                        
		                        
		                        
		                        	
		                        	
		                        
		                        
                        		
                        		
                        			
			                        
			                        	옛적 복자천宓子賤이 선보單父 고을의 읍재邑宰가 되자 선보單父 고을 사람들이 교화敎化되었다.
			                              
                        			
                        		
                        		
	                     		
			                       	
			                       	
	                     		
		                        
                        	
		                        
		                        
		                        
		                        
                        		
                        	
		                        
		                        
		                        
		                        	
		                        	
		                        
		                        
                        		
                        		
                        			
			                        
			                        	그런데 지금의 왕공王公과 대인大人들은 요堯와 순舜과 이윤伊尹과 같은 권세權勢를 가지고 있는데도 복자천宓子賤이 한 고을에서 세웠던 업적만큼의 공功도 세우지 못하고 있으니, 그들이 배운 치국治國의 학문學問이 본시 천박淺薄하여 도道가 밝혀지지 않은 것이 아니겠는가?
			                              
                        			
                        		
                        		
	                     		
			                       	
			                       	
	                     		
		                        
                        	
		                        
		                        
		                        
		                        
                        		
                        	
		                        
		                        
		                        
		                        	
		                        	
		                        
		                        
                        		
                        		
                        			
			                        
			                        	대저 천하 사람들이 성인聖人의 도道를 실천하기에 용맹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성인聖人의 도道를 행하는 사람이, 왕왕往往 사람들에게 재간을 부려서 빨리 인정받기만을 추구하여, 이렇게 하는 것으로써 벼슬에 나아가는 단계로 삼고 있다.
			                              
                        			
                        		
                        		
	                     		
			                       	
			                       	
	                     		
		                        
                        	
		                        
		                        
		                        
		                        
                        		
                        	
		                        
		                        
		                        
		                        	
		                        	
		                        
		                        
                        		
                        		
                        			
			                        
			                        	지금의 벼슬에 나아가는 도道는 갈고리로 물건을 낚아 올리는 것에 비유할 수 있으니, 요행히 낚은 숫자가 많으면 왕공王公과 대인大人이 되고, 만약 불행하게도 낚은 숫자가 적으면 선비가 입는 옷을 찢어버리고 장사꾼이 된다.
			                              
                        			
                        		
                        		
	                     		
			                       	
			                       	
	                     		
		                        
                        	
		                        
		                        
		                        
		                        
                        		
                        	
		                        
		                        
		                        
		                        	
		                        	
		                        
		                        
                        		
                        		
                        			
			                        
			                        	이를 근거로 관찰해본다면 왕공王公과 대인大人이 된 방법이 장사꾼이 돈을 많이 벌어서 뜻을 이룬 것과 같으니, 이를 학문이 천박하여 도道가 밝혀지지 않은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관찰해본다면 뜻을 얻어 남의 윗자리에 있으면서, 성인聖人의 도道를 회복하기 위한 정치를 중단함이 없이 행하는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안에는 애교를 띤 모습의 여인이 있어서 그 정욕情欲을 유혹하고, 밖에는 총애寵愛하는 간신奸臣이 있어서 그 마음을 교만하게 만드니, 지난날 도를 지녀 능력이 있던 사람은 날로 잊게 되고, 오늘날 아첨하여 좋아하는 사람은 날마다 가까이 오게 된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안회顔回라는 사람이 있는데 배우기를 좋아하여, 노여움을 남에게 옮기지 아니하고 같은 과오를 거듭 범하는 일이 없습니다.” 하셨고, 또 말씀하시기를 “나는 그가 점차 발전해가는 것은 보았고, 중지하는 것은 보지 못하였다.” 하셨다.
			                              
                        			
                        		
                        		
	                     		
			                       	
			                       	
	                     		
		                        
                        	
		                        
		                        
		                        
		                        
                        		
                        	
		                        
		                        
		                        
		                        	
		                        	
		                        
		                        
                        		
                        		
                        			
			                        
			                        	저 안회顔回가 배운 학문은 세속 사람들이 배운 것이 아니니, 노여워할 일이 있어도 남의 탓으로 돌리지 않는 것은 그 원인을 자기에게서 찾는 것이고, 같은 과오를 거듭 범하지 않는 것은 불선不善한 단서를 보면 바로 그치는 것이다.
			                              
                        			
                        		
                        		
	                     		
			                       	
			                       	
	                     		
		                        
                        	
		                        
		                        
		                        
		                        
                        		
                        	
		                        
		                        
		                        
		                        	
		                        	
		                        
		                        
                        		
                        		
                        			
			                        
			                        	이는 세상 사람들이 이른바 퇴보退步한다고 여기는 것은 안자顔子의 이른바 발전發展한다는 것이고, 사람들이 이른바 이익利益이 된다고 여긴 것은 안자의 이른바 손실損失이라는 것이다.
			                              
                        			
                        		
                        		
	                     		
			                       	
			                       	
	                     		
		                        
                        	
		                        
		                        
		                        
		                        
                        		
                        	
		                        
		                        
		                        
		                        	
		                        	
		                        
		                        
                        		
                        		
                        			
			                        
			                        	《주역周易》에 이르기를 “손괘損卦의 의의意義는 어려운 일을 먼저 행한 후에 얻기를 도모함에 있다.” 하였으니, 이는 바로 안자顔子의 행위를 이른 것이로다!
			                              
                        			
                        		
                        		
	                     		
			                       	
			                       	
	                     		
		                        
                        	
		                        
		                        
		                        
		                        
                        		
                        	
		                        
		                        
		                        
		                        	
		                        	
		                        
		                        
                        		
                        		
                        			
			                        
			                        	귀는 들리는 소리를 줄이고, 눈은 보이는 대상을 줄이고, 입은 말을 줄이고, 몸은 행동을 줄이는 것이 어려운 일을 먼저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런 행위가 지극한 경지에 이르게 되면 귀에는 들리지 않는 것이 없고, 눈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 없으며, 말은 신뢰하지 않는 사람이 없고, 행위는 복종하지 않는 사람이 없게 될 것이니, 이것이 뒤에 얻은 것이 아니겠는가?
			                              
                        			
                        		
                        		
	                     		
			                       	
			                       	
	                     		
		                        
                        	
		                        
		                        
		                        
		                        
                        		
                        	
		                        
		                        
		                        
		                        	
		                        	
		                        
		                        
                        		
                        		
                        			
			                        
			                        	이런 까닭으로 군자君子의 학문學問은 처음에는 어리석은 사람 같고 어린아이 같지만 그것이 지극한 경지에 도달하게 되면 천지天地도 그보다 더 클 수가 없고, 천하天下 모든 사람과 만물萬物도 그보다 더 많을 수가 없고, 귀신도 그보다 더 은미할 수가 없고, 제자백가諸子百家들의 번다繁多한 모든 이론理論들이 그를 미혹迷惑시킬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지극히 높은 하늘의 일월성신日月星辰과 음양陰陽의 기운을 기록하여 두 손으로 간책簡策을 들고 헤아릴 수 있게 하고, 지극히 웅대한 땅의 산천구릉山川丘陵과 만물萬物의 형상形象과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생산한 것을 전적典籍에 수록하여 정定해놓을 수 있게 하였다.
			                              
                        			
                        		
                        		
	                     		
			                       	
			                       	
	                     		
		                        
                        	
		                        
		                        
		                        
		                        
                        		
                        	
		                        
		                        
		                        
		                        	
		                        	
		                        
		                        
                        		
                        		
                        			
			                        
			                        	이 때문에 성신星辰의 수數와 천지天地의 법法과 인물人物의 도리道理는 모두 전세前世에 지극히 순일純一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였던 성인聖人이 세워놓은 것이니, 후세後世 사람이 성인聖人이 이루어놓은 법도法度를 지킬 수는 있지만 어찌 그 근원根源을 알 수가 있겠는가?
			                              
                        			
                        		
                        		
	                     		
			                       	
			                       	
	                     		
		                        
                        	
		                        
		                        
		                        
		                        
                        		
                        	
		                        
		                        
		                        
		                        	
		                        	
		                        
		                        
                        		
                        		
                        			
			                        
			                        	전傳에 이르기를 “온갖 기술자들의 일은 모두 성인이 이루어놓은 것이다.”라고 한 것이 이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옛날 사람으로 도道에 관하여 말한 사람 가운데 먼저 천지天地에 관하여 말하지 않은 이가 없고, 천지天地에 대하여 말한 사람 가운데 먼저 육신肉身에 대하여 말하지 않은 이가 없으며, 육신肉身에 관하여 말한 사람 가운데 먼저 성性에 대하여 말하지 않은 사람이 없고, 성性에 관하여 말한 사람 가운데 먼저 순일純一한 정精에 대하여 말하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바로 순일純一한 정精이 하늘이 높게 된 소이所以이고, 땅이 두터워진 소이所以이며, 성인聖人이 그 천지天地와 짝을 이루게 된 소이所以인 것이다.
			                              
                        			
                        		
                        		
	                     		
			                       	
			                       	
	                     		
		                        
                        	
		                        
		                        
		                        
		                        
                        		
                        	
		                        
		                        
		                        
		                        	
		                        	
		                        
		                        
                        		
                        		
                        			
			                        
			                        	그러므로 수레를 모는 일은 사람들이 다 잘할 수 있는 일이지만 조보造父만이 홀로 그 지극한 경지에 이르렀으니, 그의 수레와 말이 다른 사람의 수레나 말과 달랐던 것이 아니라, 조보造父만이 그 도道의 정묘精妙함을 극진히 하였기 때문인 것이요, 활쏘기는 사람들이 다 잘할 수 있는 것이지만 예羿만이 홀로 지극한 경지에 이르렀으니, 그의 활과 화살이 다른 사람의 활이나 화살과 달랐던 것이 아니라, 예羿만이 그 도道의 정묘精妙함을 극진히 하였기 때문인 것이다.
			                              
                        			
                        		
                        		
	                     		
			                       	
			                       	
	                     		
		                        
                        	
		                        
		                        
		                        
		                        
                        		
                        	
		                        
		                        
		                        
		                        	
		                        	
		                        
		                        
                        		
                        		
                        			
			                        
			                        	지금 사람들이 옛사람들과 사람은 같지만 이 도道를 쓰는 방법은 다르니, 조보造父는 이를 써서 훌륭한 마부馬夫가 되었고, 예羿는 이를 써서 훌륭한 사수射手가 되었으며, 도척盜跖은 이를 써서 도적盜賊의 두목이 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