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2)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簡勁이라
하야 其子孫處者 猶食其初邑이러니 至後世遂爲소공하다
今有田里단양丹陽者 獨爲大家하야 其所出往往稱天下
단양인丹陽人 諱某
少敏爽하니 皇考某欲大就之하야 爲破貲聚留師賓以發其材러니 及壯 行內修하야 不摽飾爲名하야 而有譽於爲士者러라
年四十 始以진사進士 出佐진동군鎭東軍하야 積功次하야 入尙書하야둔전원외랑屯田員外郞하야 박주통판通判박주통판亳州호되 遭母夫人某氏喪하야 不行以卒하다
君工爲詩歌하고 喜飮酒하며 與人交 恬如也러라
尤不好官爵하야경사京師 一不問權貴人所舍하니
事有類君者 自言得遷하고 或勸君自言호되 終不許하다
然起家十九年 更三縣하니 以材奏君者甚衆이러라
卒之明年 황우皇祐某年某月 弟某葬君某所하고 以夫人某氏祔하다
子男兩人하니 曰某 曰某 一女子 尙幼하다
銘曰
乘於朝하고 葬於里하야
厥嬪祔之祭則子하야
以完歸親維有祉로다


06. 둔전원외랑을 지낸 소군의 묘지명
문장이 간결하면서도 힘이 있다.
소공邵公책봉冊封되어 나라를 세운 후 그 자손들이 아직도 처음 봉해졌던 땅에서 살고 있으며, 후세에 이르러 드디어 씨라 하게 되었다.
지금은 단양丹陽 땅에 전토田土와 주택을 가지고 정착해 사는 이들이 특히 대가大家를 이루어, 그 집안에서 나온 인물들이 왕왕 천하天下의 칭예를 받기도 하였다.
이 바로 그 단양인丹陽人으로 이고 이다.
어려서부터 명민明敏하였으므로 선친先親 가 크게 발전시키고자 하여, 재물을 아끼지 않고 스승과 빈객을 모셔서 그의 능력을 계발하였는데, 장년壯年에 이르자 수신修身양성養性에 힘쓰면서, 이름을 내기 위해 꾸미거나 자신을 내세워서 벼슬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칭찬받으려는 일은 하지 않았다.
나이 40세에 비로소 진사進士가 되어서 진동군鎭東軍의 보좌관으로 나갔다가, 공적功績이 쌓여서 승진할 차례가 되어, 상서성尙書省으로 들어와서 둔전원외랑屯田員外郞 박주통판亳州通判이 되었는데, 때마침 모부인母夫人 모씨某氏을 당하여 취임하지 못하고 하였다.
시가詩歌를 잘 지었고 음주飮酒를 좋아하였으며, 사람들과 사귈 때에는 화락한 모습이었다.
더구나 벼슬과 작위爵位를 좋아하지 않았고, 경사京師로 돌아와서는 권귀인權貴人이 사는 곳에 문안을 간 일이 전혀 없었다.
과 경력이 유사한 사람이 스스로 말하여 승진하고, 혹은 에게 스스로 말하라고 권해도 끝내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벼슬길에 나온 후 19년간 세 지사知事를 지내는 동안에 재능才能 있는 인물人物이라 하여 추천한 사람이 매우 많았다.
이 사망한 이듬해인 황우皇祐 모년某年 모월某月에 아우 모소某所안장安葬하고 부인夫人 모씨某氏합장合葬하였다.
아들 둘을 두었으니, 이고 딸 하나를 두었으나 아직 어리다.
은 다음과 같다.
과거에 합격해 벼슬하였고, 모리某里에 안장하였으며,
부인夫人을 합장하고 아들이 제사를 올려서,
이로써 저승에서도 해로하게 해드렸으니 을 받으리로다.


역주
역주1 屯田員外郞邵君墓誌銘 : 本文에 밝힌 내용을 근거로 계산해보면, 墓主 邵景先의 生年은 淳化 2년(991)이고, 卒年은 皇祐 元年(1049)이며, 本 墓誌銘을 지은 해는 皇祐 2년(1050)임을 알 수 있다.
역주2 邵公旣國燕 : 邵公은 《史記》 〈燕召公世家〉에 “周 武王이 殷의 紂를 滅한 후 召公을 北燕의 諸侯로 封하였다.[周武王之滅紂 封召公於北燕]”라고 보이는바, 武王의 아우로서 燕나라의 始祖가 되었던 인물이다. 邵公은 召公으로도 쓴다.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