西京以來로 獨稱太史公遷은 以其馳驟跌宕하고 悲慨嗚咽하여 而風神所注에 往往於點綴指次에 獨得妙解하니 譬之覽仙姬於瀟湘洞庭之上에 可望而不可近者라
			                         
                        		
                        		
                        		
	                     		
			                       	
			                       	
	                     		
	                     		
		                        
                        	
                        	
                        	
                        	
                        		
                        			
                        			
			                        
                        		
                        		
                        		
	                     		
			                       	
			                       	
	                     		
	                     		
		                        
                        	
                        	
                        	
                        	
                        		
                        			
                        			
			                        
                        		
                        		
                        		
	                     		
			                       	
			                       	
	                     		
	                     		
		                        
                        	
                        	
                        	
                        	
                        		
                        			
                        			
			                        
			                        	予覽其所序次當世將相學士大夫墓誌碑表와 與五代史所爲梁唐二紀와 及他名臣雜傳하니 蓋與太史公略相上下者라
			                         
                        		
                        		
                        		
	                     		
			                       	
			                       	
	                     		
	                     		
		                        
                        	
                        	
                        	
                        	
                        		
                        			
                        			
			                        
                        		
                        		
                        		
	                     		
			                       	
			                       	
	                     		
	                     		
		                        
                        	
                        	
                        	
                        	
                        		
                        			
                        			
			                        
			                        	又如奏疏箚子는 當其善爲開陳하고 分別利害하여 一切感悟主上하얀 於漢可方晁錯賈誼요 於唐可方魏徵陸贄라
			                         
                        		
                        		
                        		
	                     		
			                       	
			                       	
	                     		
	                     		
		                        
                        	
                        	
                        	
                        	
                        		
                        			
                        			
			                        
			                        	宋仁廟嘗諭庭臣曰 歐陽脩를 何處得來오하니 殆亦由此라
			                         
                        		
                        		
                        		
	                     		
			                       	
			                       	
	                     		
	                     		
		                        
                        	
                        	
                        	
                        	
                        		
                        			
                        			
			                        
			                        	序記書論
은 雖多得之昌黎
나 而其姿態橫生
하여 別爲韻折
하여 令人讀之
에 하니 
                        		
                        		
                        		
	                     		
			                       	
			                       	
	                     		
	                     		
		                        
                        	
                        	
                        	
                        	
                        		
                        			
                        			
			                        
			                        	予所以獨愛其文하여 妄謂世之文人學士得太史公之逸者는 獨歐陽子一人而已라호되
			                         
                        		
                        		
                        		
	                     		
			                       	
			                       	
	                     		
	                     		
		                        
                        	
                        	
                        	
                        	
                        		
                        			
                        			
			                        
			                        	而世之人或予信하며 或不予信하고 又或訾其間不免俗調處하니
			                         
                        		
                        		
                        		
	                     		
			                       	
			                       	
	                     		
	                     		
		                        
                        	
                        	
                        	
                        	
                        		
                        			
                        			
			                        
                        		
                        		
                        		
	                     		
			                       	
			                       	
	                     		
	                     		
		                        
                        	
                        	
                        	
                        	
                        		
                        			
                        			
			                        
			                        	抑誠有之라도 太史公之傳仲尼弟子與循吏處에 抑豈能與刺客同工哉아
			                         
                        		
                        		
                        		
	                     		
			                       	
			                       	
	                     		
	                     		
		                        
                        	
                        	
                        	
                        	
                        		
                        			
                        			
			                        
                        		
                        		
                        		
	                     		
			                       	
			                       	
	                     		
	                     		
		                        
                        	
                        	
                        	
                        	
                        		
                        			
                        			
			                        
			                        	予讀唐書五代史別有鈔하고 今錄其文集行世者하되 首上皇帝書疏六首하고 次箚子幷狀五十三首하고 次表啓二十二首하고 次書二十五首하고 次論三十五首하고 次序三十一首傳二首하고 次記二十五首하고 次神道碑銘墓誌銘四十七首하고 次墓表祭文行狀二十三首하고 次頌賦他雜著一十首하여 釐爲三十二卷하노라
			                         
                        		
                        		
                        		
	                     		
			                       	
			                       	
	                     		
	                     		
		                        
                        	
                        	
                        	
                        	
                        		
                        			
                        			
			                        
                        		
                        		
                        		
	                     		
			                       	
			                       	
	                     		
	                     		
		                        
                        	
                        	
                        	
                        	
                        		
                        			
                        			
			                        
			                        	姪桂 嘗以予酷愛歐陽公敍事當不讓太史公遷하고 且前曰 歐陽公이 撰五代史에 當時將相이 特竝齷齪하여 不足數온
			                         
                        		
                        		
                        		
	                     		
			                       	
			                       	
	                     		
	                     		
		                        
                        	
                        	
                        	
                        	
                        		
                        			
                        			
			                        
                        		
                        		
                        		
	                     		
			                       	
			                       	
	                     		
	                     		
		                        
                        	
                        	
                        	
                        	
                        		
                        			
                        			
			                        
			                        	假令同太史公
하여 抽
之書
하여 傳次春秋戰國及先秦楚漢之際
면 豈特是而已哉
아 
                        		
                        		
                        		
	                     		
			                       	
			                       	
	                     		
	                     		
		                        
                        	
                        	
                        	
                        	
                        		
                        			
                        			
			                        
			                        	譬之
컨댄 一人焉
은 入天子圖書
之藏
하여 而陳周彛漢鼎犧樽雲罍
하여 以相博古
하고 
                        		
                        		
                        		
	                     		
			                       	
			                       	
	                     		
	                     		
		                        
                        	
                        	
                        	
                        	
                        		
                        			
                        			
			                        
			                        	一人焉은 特入富人者之室하여 所可指次者가 陶埴菽食而已라하야늘 予唯唯러라
			                         
                        		
                        		
                        		
	                     		
			                       	
			                       	
	                     		
	                     		
		                        
                        	
                        	
                        	
                        	
                        		
                        			
                        			
			                        
                        		
                        		
                        		
	                     		
			                       	
			                       	
	                     		
	                     		
		                        
                        	
                        	
                        	
                        	
                        		
                        			
                        			
			                        
			                        	世之欲覽歐陽子之全인댄 必合予他所批注唐書五代史而讀之라야 斯得之矣라
			                         
                        		
                        		
                        		
	                     		
			                       	
			                       	
	                     		
	                     		
		                        
                        	
                        	
                        	
                        	
                        		
                        			
                        			
			                        
                        		
                        		
                        		
	                     		
			                       	
			                       	
	                     		
	                     		
		                        
                        	
                        	
                        	
                        	
                   			
                        	
                        	
                        	
                        	
	                       	
	                       	
	                       	
	                       	
							                       	
	                        
	                        
	                        	
	                        
	                        	
	                        
	                        	
	                        
	                        	
	                        
	                        	
	                        
	                        	
	                        
	                        	
	                        
	                        	
	                        
	                        	
	                        
	                        	
	                        
	                        	
	                        
	                        	
	                        
	                        	
	                        
	                        	
	                        
	                        	
	                        
	                        	
	                        
	                        	
	                        
	                        	
	                        
	                        	
	                        
	                        	
	                        
	                        	
	                        
	                        	
	                        
	                        	
	                        
	                        	
	                        
	                        	
	                        
	                        	
	                        
	                        	
	                        
	                        	
	                        
	                        	
	                        
	                        	
	                        
	                        	
	                        
	                        	
	                        
	                        	
	                        
	                        	
	                        
	                        	
	                        
	                        	
	                        
	                        	
	                        
	                        	
	                        
	                        	
	                        
	                        	
	                        
	                        	
	                        
	                        	
	                        
	                        	
	                        
	                        	
	                        
	                        	
	                        
	                        	
	                        
	                        	
	                        
	                        	
	                        
	                        
	                        
                        	
		                        
		                        
		                        
		                        
                        		
                        	
		                        
		                        
		                        
		                        	
		                        	
		                        
		                        
                        		
                        		
                        			
			                             
                        			
                        		
                        		
	                     		
			                       	
			                       	
	                     		
		                        
                        	
		                        
		                        
		                        
		                        
                        		
                        	
		                        
		                        
		                        
		                        	
		                        	
		                        
		                        
                        		
                        		
                        			
			                        
			                        	서한西漢 이래로 태사공太史公 사마천司馬遷만을 유독 일컫는 것은 그 문장文章이 거침없이 치닫고 비분해 오열하듯 하여 정신을 쏟는 곳에 왕왕 문장을 엮고 서술함에 있어 오묘한 경지를 홀로 얻었기 때문이니, 비유하자면 소상瀟湘, 동정호洞庭湖 가에서 선희仙姬를 만났을 때 멀리서 볼 수는 있고 가까이 다가갈 수 없는 것과 같다.
			                              
                        			
                        		
                        		
	                     		
			                       	
			                       	
	                     		
		                        
                        	
		                        
		                        
		                        
		                        
                        		
                        	
		                        
		                        
		                        
		                        	
		                        	
		                        
		                        
                        		
                        		
                        			
			                        
			                        	수백 년이 지나서 한창려韓昌黎(韓愈)가 나타났으나 그는 문호를 따로 열었다.
			                              
                        			
                        		
                        		
	                     		
			                       	
			                       	
	                     		
		                        
                        	
		                        
		                        
		                        
		                        
                        		
                        	
		                        
		                        
		                        
		                        	
		                        	
		                        
		                        
                        		
                        		
                        			
			                        
			                        	그리고 또 3백 년이 지나 구양자歐陽子가 나타났다.
			                              
                        			
                        		
                        		
	                     		
			                       	
			                       	
	                     		
		                        
                        	
		                        
		                        
		                        
		                        
                        		
                        	
		                        
		                        
		                        
		                        	
		                        	
		                        
		                        
                        		
                        		
                        			
			                        
			                        	나는 그가 당대의 장상將相‧학사學士‧대부大夫 등의 묘지墓誌‧비표碑表를 찬술한 것과 《오대사五代史》에서 양梁‧당唐 두 시대의 본기本紀 및 기타 명신의 잡전雜傳 등을 찬술한 것을 읽어보았더니, 태사공과 거의 고하高下를 겨룰 만한 것이었다.
			                              
                        			
                        		
                        		
	                     		
			                       	
			                       	
	                     		
		                        
                        	
		                        
		                        
		                        
		                        
                        		
                        	
		                        
		                        
		                        
		                        	
		                        	
		                        
		                        
                        		
                        		
                        			
			                        
			                        	그런데도 구양자가 벗에게 보내 글을 논한 편지에서는 이러한 글들을 전혀 언급하지 않은 것은 무슨 까닭인가?
			                              
                        			
                        		
                        		
	                     		
			                       	
			                       	
	                     		
		                        
                        	
		                        
		                        
		                        
		                        
                        		
                        	
		                        
		                        
		                        
		                        	
		                        	
		                        
		                        
                        		
                        		
                        			
			                        
			                        	또 주소奏疏와 차자箚子 같은 글들은 자신의 뜻을 잘 개진하고 이해利害를 분별하여 오로지 임금을 감오感悟시키는 것으로 말하자면, 한漢나라에서는 조조晁錯‧가의賈誼에 비길 만하고 당唐나라에서는 위징魏徵‧육지陸贄에 비길 만하다. 
			                              
                        			
                        		
                        		
	                     		
			                       	
			                       	
	                     		
		                        
                        	
		                        
		                        
		                        
		                        
                        		
                        	
		                        
		                        
		                        
		                        	
		                        	
		                        
		                        
                        		
                        		
                        			
			                        
			                        	송宋 인종仁宗이 일찍이 조정 신하들에게 말하기를 “구양수처럼 뛰어난 사람을 어디에서 얻겠는가?” 한 것은 아마도 이 때문일 것이다.
			                              
                        			
                        		
                        		
	                     		
			                       	
			                       	
	                     		
		                        
                        	
		                        
		                        
		                        
		                        
                        		
                        	
		                        
		                        
		                        
		                        	
		                        	
		                        
		                        
                        		
                        		
                        			
			                        
			                        	서序‧기記‧서書‧논論 같은 글들도 비록 한창려의 영향을 받은 것이 많으나, 그 자태가 거침없이 나와 특유의 운치와 문란文瀾을 이루어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일창삼탄一唱三歎’에 여운이 끊이지 않게 한다.
			                              
                        			
                        		
                        		
	                     		
			                       	
			                       	
	                     		
		                        
                        	
		                        
		                        
		                        
		                        
                        		
                        	
		                        
		                        
		                        
		                        	
		                        	
		                        
		                        
                        		
                        		
                        			
			                        
			                        	내가 그래서 그의 글을 유독 좋아하여 망령되이 생각하기를 ‘세상의 문인 학사들 중 태사공의 뛰어난 경지를 얻은 이는 오직 구양자 한 사람뿐이다.’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 중 어떤 이는 나를 믿고, 어떤 이는 나를 믿지 못하며, 또 어떤 이는 구양자의 문장 중 속조俗調를 면치 못한 곳을 헐뜯기도 하였다.
			                              
                        			
                        		
                        		
	                     		
			                       	
			                       	
	                     		
		                        
                        	
		                        
		                        
		                        
		                        
                        		
                        	
		                        
		                        
		                        
		                        	
		                        	
		                        
		                        
                        		
                        		
                        			
			                             
                        			
                        		
                        		
	                     		
			                       	
			                       	
	                     		
		                        
                        	
		                        
		                        
		                        
		                        
                        		
                        	
		                        
		                        
		                        
		                        	
		                        	
		                        
		                        
                        		
                        		
                        			
			                        
			                        	그러한 곳이 참으로 있다 하더라도, 태사공이 중니仲尼의 제자弟子와 순리循吏에 대한 열전列傳을 쓴 곳에서 어찌 〈자객열전刺客列傳〉을 쓸 때와 같은 투로 글을 쓸 수 있었겠는가?
			                              
                        			
                        		
                        		
	                     		
			                       	
			                       	
	                     		
		                        
                        	
		                        
		                        
		                        
		                        
                        		
                        	
		                        
		                        
		                        
		                        	
		                        	
		                        
		                        
                        		
                        		
                        			
			                        
			                        	해와 달에도 오히려 포이抱珥가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내가 《당서唐書》‧《오대사五代史》를 읽고 따로 초본鈔本을 만들었는데, 이제 세상에 간행되어 있는 그 문집을 초록하되 황제에게 올린 서書‧소疏 6편을 첫머리에 싣고, 다음으로 차자箚子와 장狀 53편을 싣고, 다음으로 표表‧계啓 22편을 싣고, 다음으로 서書 25편을 싣고, 다음으로 논論 35편을 싣고, 다음으로 서序 31편과 전傳 2편을 싣고, 다음으로 기記 25편을 싣고, 다음으로 신도비명神道碑銘‧묘지명墓誌銘 47편을 싣고, 다음으로 묘표墓表‧제문祭文‧행장行狀 23편을 싣고, 다음으로 송頌‧부賦와 기타 잡문雜文 10편을 실어, 이를 정리하여 32권으로 만들었다.
			                              
                        			
                        		
                        		
	                     		
			                       	
			                       	
	                     		
		                        
                        	
		                        
		                        
		                        
		                        
                        		
                        	
		                        
		                        
		                        
		                        	
		                        	
		                        
		                        
                        		
                        		
                        			
			                             
                        			
                        		
                        		
	                     		
			                       	
			                       	
	                     		
		                        
                        	
		                        
		                        
		                        
		                        
                        		
                        	
		                        
		                        
		                        
		                        	
		                        	
		                        
		                        
                        		
                        		
                        			
			                        
			                        	조카 계桂는 일찍이 내가 구양공歐陽公의 서사敍事가 응당 태사공太史公 사마천司馬遷에 못지않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고 여기고, 또 나아와 말하기를 “구양공이 《오대사五代史》를 찬술하였는데, 당시 장상將相들은 모두 기국器局이 작은 사람들이라 말할 것이 못 되었습니다.
			                              
                        			
                        		
                        		
	                     		
			                       	
			                       	
	                     		
		                        
                        	
		                        
		                        
		                        
		                        
                        		
                        	
		                        
		                        
		                        
		                        	
		                        	
		                        
		                        
                        		
                        		
                        			
			                        
			                        	더구나 전쟁이 일어난 뒤로 예악禮樂이 붕괴되었기 때문에 그 문장에서 표현한 바가 이런 정도에 그쳤던 것입니다.
			                              
                        			
                        		
                        		
	                     		
			                       	
			                       	
	                     		
		                        
                        	
		                        
		                        
		                        
		                        
                        		
                        	
		                        
		                        
		                        
		                        	
		                        	
		                        
		                        
                        		
                        		
                        			
			                        
			                        	가사 태사공과 같이 석실石室의 책을 뽑아서 춘추전국시대 및 진秦‧초楚‧한漢 시대의 사실을 기록했다면 어찌 이런 정도에 그쳤겠습니까.
			                              
                        			
                        		
                        		
	                     		
			                       	
			                       	
	                     		
		                        
                        	
		                        
		                        
		                        
		                        
                        		
                        	
		                        
		                        
		                        
		                        	
		                        	
		                        
		                        
                        		
                        		
                        			
			                        
			                        	비유하자면 한 사람은 천자의 도서와 완염琬琰이 보관되어 있는 창고에 들어가 주이周彛‧한정漢鼎‧희준犧樽‧운뢰雲罍 등을 늘어놓고서 고대의 기물器物들을 박람하고, 
			                              
                        			
                        		
                        		
	                     		
			                       	
			                       	
	                     		
		                        
                        	
		                        
		                        
		                        
		                        
                        		
                        	
		                        
		                        
		                        
		                        	
		                        	
		                        
		                        
                        		
                        		
                        			
			                        
			                        	한 사람은 단지 부자의 방에 들어가 손으로 가리켜 볼 수 있는 것이 질그릇과 곡식뿐인 것과 같습니다.” 하기에 내가 “그렇다 그렇다.” 하였다.
			                              
                        			
                        		
                        		
	                     		
			                       	
			                       	
	                     		
		                        
                        	
		                        
		                        
		                        
		                        
                        		
                        	
		                        
		                        
		                        
		                        	
		                        	
		                        
		                        
                        		
                        		
                        			
			                             
                        			
                        		
                        		
	                     		
			                       	
			                       	
	                     		
		                        
                        	
		                        
		                        
		                        
		                        
                        		
                        	
		                        
		                        
		                        
		                        	
		                        	
		                        
		                        
                        		
                        		
                        			
			                        
			                        	세상에서 구양자歐陽子 저술의 전모를 보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이 책 외에 내가 비주批注한 《당서唐書》‧《오대사五代史》를 합하여 보아야 알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