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5)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景仁 初名茂章이니 少從楊行密하야 起淮南하다
景仁爲將 驍勇剛悍하고 質略無威儀하야 臨敵 務以身先士卒하니 行密壯之하다
하야 攻王師範于靑州어늘 師範乞兵於行密하니 行密遣景仁하야 以步騎七千으로 救師範하다
師範以兵背城爲兩柵이어늘 友寧夜擊其一柵하니 柵中告急하야 趣景仁出戰이로되 景仁按兵不動이라 友寧已破一柵하고 連戰不已하다
遲明 景仁度友寧兵已困하고 乃出戰大敗之하야 遂斬友寧하고 以其首 報行密하다
是時 梁太祖方攻鄆州라가 聞子友寧死하고 以兵二十萬으로 倍道而至
景仁閉壘示怯이라가 伺梁兵怠하야 毁柵而出하야 驅馳疾戰이러니 戰酣 退坐하야 召諸將飮酒하고 已而復戰이라
太祖登高望見之라가 得靑州降人하야 問飮酒者爲誰오하니 曰 王茂章也 太祖歎曰 使吾得此人爲將이면 天下不足平也라하다
梁兵又敗하니 景仁軍還이어늘 梁兵急追之하니 景仁度不可走하고 遣裨將李虔裕하야 以衆一旅 設覆於山下以待之하고 留軍不行하고 解鞍而寢이라
虔裕疾呼曰 追兵至矣리니 宜速走 虔裕以死遏之라한대 景仁曰 吾亦戰於此也라하야늘
虔裕三請하니 景仁乃行而虔裕卒戰死하다 梁兵以故不能及而景仁得全軍以歸하다
景仁事行密하야 爲潤州團練使러니 行密死 子渥自宣州入立하고 以景仁으로 代守宣州
渥已立 反求宣州故時物커늘 景仁惜不與하니 渥怒하야 以兵攻之
景仁奔于하니 鏐表景仁領宣州節度使하다 梁太祖素識景仁하야 乃遣人召之하니
景仁間道歸梁할새 仍以爲寧國軍節度使하고 加同中書門下平章事하다 久之 未有以用하야 使參宰相班하야而已
四年 以景仁爲北面招討使하고 將韓勍李思安等兵伐趙하야 行至魏州
言太陰虧하니 不利行師라하다 太祖亟召景仁等還이라가 已而 復遣之하다
景仁已去 太祖思術者言하야 馳使者止景仁於魏以待 景仁已過邢洺일새 使者及之 景仁不奉詔하고 進營於柏鄕하다
元年正月庚寅 日有食之어늘 崇政使敬翔白太祖曰 兵可憂矣니이다 太祖爲之하다
하다 景仁歸訴於太祖하니
라하고 乃罷景仁就第라가 後數月 悉復其官爵하다
末帝立 以景仁爲淮南招討使하야 使攻廬壽하니 軍過獨山할새 山有楊行密祠 景仁再拜號泣而去하다
하야 梁兵敗走어늘 景仁殿而力戰이라 以故 梁兵不甚敗하다 景仁歸京師하야 病疽卒하니 贈太尉하다


08. 王景仁傳記
王景仁廬州 合肥 사람이다. 초명은 茂章이니 젊은 시절 楊行密을 따라 淮南에서 起兵하였다.
왕경인은 장수로서 지휘할 때 용맹하고 굳세며 질박하고 소탈하여 威儀를 내세우지 않아 적을 맞닥뜨렸을 때 힘써 병졸들보다 앞장서니 양행밀이 장하게 여겼다.
太祖가 조카 朱友寧을 보내 靑州에서 王師範을 공격하자 왕사범이 楊行密에게 援兵을 청하니, 양행밀이 王景仁을 보내 步兵騎兵 7천 명을 거느리고 왕사범을 구원하게 하였다.
왕사범이 군대를 거느리고 성을 등지고서 두 營柵을 만들었는데 주우녕이 한밤에 그중 한 영책을 격파하니, 영책 안에서 急報를 알리면서 왕경인에게 出戰하라고 재촉하였으나 왕경인은 군대를 주둔시킨 채 움직이지 않았다. 주우녕은 한 영책을 격파하고 나서 연이어 싸우면서 그치지 않았다.
새벽에 왕경인은 주우녕의 군대가 이미 지쳤으리라 판단하고 비로소 출전하여 크게 물리치고서, 마침내 주우녕을 斬首하고 그 머리를 가지고 양행밀에게 보고하였다.
이때 太祖가 바야흐로 鄆州를 공격하다가 조카 朱友寧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군대 20만 명을 거느리고 곱절로 빨리 행군하여 당도하였다.
그러자 王景仁營壘를 닫고 겁을 먹은 듯한 모습을 보여주다가 나라 군대가 해이해진 틈을 엿보고서 營柵을 허물고 나와 내달려서 급히 전투하였는데, 전투가 한창인 와중에 물러나 앉아 장수들을 불러 함께 술을 마시고 잠시 뒤에 다시 전투하였다.
태조가 높은 곳에 올라 이 모습을 바라보다가 靑州의 투항한 병사를 데려와서 술을 마시는 자가 누구냐고 물으니 그가 王茂章이라고 대답하였다. 태조가 탄식하기를 “만약 내가 이 사람을 얻어 장수로 삼는다면 천하를 평정하는 게 어렵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나라 군대가 또 패하자 왕경인의 군대가 돌아가거늘 나라 군대가 급히 추격하니 왕경인은 달아날 수 없음을 헤아리고, 副將 李虔裕를 보내 한 부대의 군사들을 거느리고 산 아래 매복하여 적군을 기다리게 하고는 군대를 멈춰 행군하지 않고 말안장을 풀고서 잠을 잤다.
그러자 이건유가 큰소리로 외치기를 “추격병이 이를 것이니 급히 달아나야 합니다. 제가 죽는 한이 있더라도 추격병을 막겠습니다.”라고 하자, 왕경인이 말하기를 “나 역시 여기서 싸울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건유가 세 번이나 거듭 청하니 왕경인이 그제야 길을 나섰고 이건유는 결국 戰死하였다. 나라 군대가 이 때문에 그를 따라잡지 못하여 왕경인이 군대를 보전하여 回軍할 수 있었다.
王景仁楊行密을 섬겨 潤州團練使가 되었는데 양행밀이 죽자 아들 楊渥宣州에서 들어와 자리를 잇고 왕경인이 자기를 대신하여 선주를 지키게 하였다.
양악이 자리를 잇고 나서 선주에 본래 있던 물건을 돌이켜 구하였는데, 왕경인이 아까워하며 주지 않으니 양악이 노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그를 공격하였다.
왕경인이 錢鏐에게 달아나니 전류는 왕경인을 表奏하여 宣州節度使를 맡게 하였다. 太祖가 평소부터 왕경인을 알고 있어 이에 사람을 보내 그를 부르니,
왕경인이 사잇길을 따라 달아나 나라에 투항하기에 이어 寧國軍節度使로 삼고 同中書門下平章事를 더하여 제수하였다. 그런데 오래도록 그를 쓸 곳이 없어 宰相의 반열에 참여하여 朝請을 받들게 할 뿐이었다.
開平 4년(910)에 王景仁北面招討使로 삼고 韓勍李思安 등의 군대를 거느리고 趙州를 토벌해서 행군하여 魏州에 이르렀을 때,
司天監이 말하기를 “달이 이지러졌으니 출병하는 데 이롭지 않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太祖는 급히 왕경인 등에게 回軍하라고 불렀다가 이윽고 다시 출정하게 하였다.
왕경인이 떠난 뒤에 태조가 術者의 말을 생각하고서 使者를 급히 보내 왕경인을 위주에서 만류하여 기다리게 하였다. 그런데 왕경인이 벌써 邢州洺州를 지나갔기에 사자가 도착하자 왕경인은 詔命을 받들지 않고 전진하여 柏鄕營寨를 세웠다.
乾化 元年(911) 正月 庚寅日日食이 일어났는데, 崇政使 敬翔이 태조에게 아뢰기를 “이번 토벌이 걱정스럽습니다.”라고 하였다. 태조는 이로 인해 밤늦게야 밥을 먹을 정도로 고심하였다.
이날에 왕경인이 나라 군대와 전투하여 백향에서 크게 패하였다. 왕경인이 돌아와 태조에게 고충을 토로하니,
태조가 말하기를 “나 또한 잘 알고 있다. 한경‧이사안이 그대가 客人이라고 輕視하면서 그대의 지휘를 따르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하고, 왕경인을 파면하여 집으로 돌아가도록 하였다가 몇 개월 뒤에 그 官爵을 모두 회복하여 주었다.
末帝가 즉위하자 王景仁淮南招討使로 삼고서 廬州壽州를 공격하게 하니, 군대가 獨山을 지나갈 때 산에 楊行密의 사당이 있는지라 왕경인이 再拜하고 號哭하고서 떠났다.
霍山에서 전투하여 나라 군대가 敗走하였는데 왕경인이 후미를 지키며 힘써 싸웠다. 이런 연유로 나라 군대가 크게 패하지는 않았다. 왕경인이 京師에 돌아와 종기가 나서 하니 太尉에 추증하였다.


역주
역주1 王景仁傳 : 王景仁(?~? 本名이 茂章으로 廬州 合淝 사람이다. 왕경인의 列傳은 ≪舊五代史≫ 卷23 〈梁書 第23 列傳13〉과 ≪新五代史≫ 卷23 〈梁臣傳 第11〉에 실려 있다.
歐陽脩는 여타 열전들과 달리 ≪구오대사≫에 4백여 자 정도로 수록되어 있던 왕경인의 傳記를 오히려 7백여 자로 편폭을 늘려 기술하였는데, 늘어난 편폭의 대부분은 ≪구오대사≫에 거론되어 있지 않은 왕경인과 後梁 太祖 사이의 일화를 서술하는 것으로 채워져 있다.
구체적으로 들어보면, 글의 앞부분에서 후량 태조가 조카 朱友寧(?~903 보내 靑州의 王師範을 공격하자, 왕경인이 왕사범을 구하려고 援軍으로 가서 梁軍과 전투하는 모습을 묘사한 부분이다. 특히 용맹한 왕경인의 모습을 보고 태조가 그를 꼭 휘하에 두고 싶다고 한 발언은 이후 그가 후량의 客將이 되어 활약하게 된 張本으로써 이를 통해 독자들은 이후 왕경인에 대한 태조의 知遇와 후량 장수들의 輕視를 이해할 수 있다.
왕경인은 十國 가운데 하나인 吳國의 太祖 楊行密과 同鄕으로, 그의 휘하 장수로 있다가 양행밀의 아들 楊渥이 자리를 계승하자 906년에 오국을 떠나 역시 십국 가운데 하나인 吳越國의 錢鏐(전류) 밑으로 들어간다. 이후 후량 태조를 위해 여러 차례 활약하였으나 결국 柏鄕에서 晉軍에 패하였고 末帝 때에는 霍山(霍丘 朱瑾과의 전투에서 패한 뒤 얼마 못 가 病死하였다.
한편 왕경인의 마지막 전투였던 霍丘 전투를 놓고 ≪구오대사≫와 ≪신오대사≫에서 모두 왕경인이 후퇴하는 梁軍의 後尾를 맡아 양군이 크게 패하지 않을 수 있었다고 서술하였는데, 이에 대해 ≪구오대사≫의 주석에서는 ≪梁史≫에서 왕경인을 위해 그가 大敗한 사실을 忌諱한 것이라는 ≪九國志≫ 〈朱景傳〉의 내용을 인용하여 두 史書의 서술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주2 廬州合肥人也 : ≪舊五代史≫와 ≪新五代史≫에는 ‘肥’가 모두 ‘淝’로 되어 있다.
역주3 梁太祖遣子友寧 : ≪五代史纂誤≫ 卷上에 “지금 살펴보건대, 〈家人傳〉에 朱友寧은 바로 梁 太祖의 형 朱存의 아들이라고 하였고, 이후에 中書省에서 上議할 때도 모두 皇姪이라고 하였으니, 지금 여기에서 아들이라고 명명한 것은 착오이다.[今按家人傳 友寧乃梁祖兄存之子 其後中書上議 亦皆謂之皇姪 今此以子名之 誤也]”라고 하였다. 이에 따라 ‘子’의 번역을 ‘조카’라고 하였다.
역주4 錢鏐(류) : 852~932. 字는 具美, 小字는 婆留로, 杭州 臨安 사람이다. 五代十國 시기 吳越國을 세운 사람이다. 錢鏐는 唐末에 董昌을 따라 鄕里를 지켜 반란군을 막으니 여러 차례 승진하여 鎭海軍節度使가 되었다가, 뒤에 동창이 唐나라를 배반하여 稱帝하자 詔命을 받들어 동창을 토벌하고 鎭東軍節度使를 더하였다. 그는 杭州를 비롯한 兩浙 13州를 점거하여 唐‧後梁‧後唐으로부터 越王‧吳王‧吳越王‧吳越國王에 봉해졌다.
역주5 朝請 : 諸侯가 봄에 천자에게 조회하는 것을 朝라 하고, 가을에 조회하는 것을 請이라 한 데서 온 말이다. 참고로, 정기적으로 조회에 참여하는 것을 奉朝請이라 하는데, 퇴직한 대신이나 황실과 외척에게 봉조청의 명의를 주어 조회에 참가하도록 하였다.
역주6 開平 : 後梁 太祖의 연호(907~910.
역주7 司天監 : 司天은 天象을 관찰하여 曆數를 考定하는 일을 하는 것으로, 司天監은 天文‧曆數의 일을 관장하는 관청을 가리킨다.
역주8 乾化 : 後梁 太祖의 연호(911~914.
역주9 旰(간)食 : 宵衣旰食의 준말로, 날이 새기 전에 일어나 옷을 입고 해가 진 후 늦게야 저녁을 먹는다는 뜻인바, 帝王이 政事에 부지런한 것을 이른다.
역주10 乾化元年正月庚寅……大敗於柏鄕 : ≪五代史纂誤≫ 卷上에 “지금 살펴보건대, 〈梁太祖紀〉에서는 ‘乾化 元年(911) 봄 正月 丁亥日에 王景仁이 晉人과 柏鄕에서 싸워 패배하였다.’라고 하였고, 또 〈司天攷〉에서는 ‘건화 원년 봄 정월 丙戌日 초하루에 日食이 있었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史書에 기록한 것은 두 가지 일로 日食과 戰敗이다. 그런데 지금 〈사천고〉에서는 ‘정월 병술일 초하루에 일식이 있었다.’고 하였고, 〈本紀〉에서는 ‘정월 정해일에 戰敗하였다.’고 썼는데, 〈王景仁傳〉에서는 ‘正月 庚寅日에 일식이 있었는데 이날 전패하였다.’고 하여, 세 군데서 기록한 것이 모두 같지 않으니 어느 것이 맞는지 모르겠다. 게다가 그 사이에 병술일과 경인일은 서로 닷새가 차이 나는데 모두 일식을 기록하였으니 이는 심한 착오이다.[今按梁太祖紀云 乾化元年春正月丁亥 王景仁及晉人 戰于柏鄕 敗績 又司天攷云 乾化元年春正月丙戌朔 日有食之 然則史之所紀者 二事 日食與戰敗也 今司天攷則云 正月丙戌朔日食 本紀則書正月丁亥戰敗 而景仁傳則書正月庚寅日食 是日戰敗 三者所書皆不同 未知何者爲是 再其間丙戌庚寅相距五日 而皆書日食 此爲甚誤也]”라고 하였는데, ≪卄二史考異≫ 권62에 “살펴보건대, 〈사천고〉에 ‘이해 정월 병술일 초하루에 日食이 있었다.’고 하였고, ≪五代會要≫에 ‘後梁 開平 5년 정월 병술일 초하루에 일식이 있었다.’고 하였으니 바로 건화 원년이다. ≪資治通鑑≫의 長曆으로 미루어보면 정월 초하루는 마땅히 병술일인데 여기서 庚寅日이라고 하면서 ‘朔’을 쓰지 않았으니 모두 잘못이다.[按司天攷 是年正月丙戌朔 日有食之 五代會要 梁開平五年正月丙戌朔 日食 卽乾化元年也 以通鑑長曆推之 正月朔合是丙戌 此云庚寅 而不書朔 皆失之]”라고 하고, 또 “살펴보건대, 〈梁本紀〉에 정월 정해일에 王景仁이 晉人과 백향에서 싸워 패하였다고 하였으니, 庚寅日도 아니고 日蝕이 일어난 날도 아니다. ≪五代會要≫ 〈月蝕篇〉을 살펴보니, ‘정월 2일에 唐 莊宗에게 백향에서 패하였다.’고 하였으니, 〈本紀〉에서 정해일이라고 한 것이 옳다. 그런데 吳蘭庭은 ≪五代史纂誤≫에서 역시 이 두 일을 거론하면서도 의심하고서 결단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특별히 考證하여 바로잡는다.[按梁本紀正月丁亥 景仁及晉人戰於柏鄕 敗績 則非庚寅 亦非日蝕之日 考五代會要月蝕篇云 正月二日爲唐莊宗敗於柏鄕 則紀書丁亥日爲是矣 吳氏纂誤亦擧此二事而疑而未決 故特攷正之]”라고 하였다.
역주11 景仁歸訴於太祖……輕汝爲客而不從節度爾 : ≪舊五代史≫에는 “晉나라 군대와 柏鄕에서 싸워 王師가 패하니 太祖가 몹시 노하여 그를 私第에 拘留하였다. 그렇지만 兩浙의 元勳이 천거하였고 뒷날 戰功을 바치게 하려고 하여 다만 平章事를 떼고 兵權을 내려놓게만 하였다.[與晉軍戰於柏鄕 王師敗績 太祖怒甚 拘之私第 然以兩浙元勳所薦 且欲收其後效 止落平章事 罷兵柄而已]”라고 하여, ≪新五代史≫의 내용과 조금 다르다.(≪舊五代史考異≫)
역주12 戰于霍山……景仁殿而力戰 : ≪五代史纂誤≫ 卷上에 “지금 살펴보건대, 〈楊隆演世家〉에는 바로 ‘徐溫이 王景仁과 霍丘에서 싸웠다.’고 하였으니, 霍山이 아니다.[今按楊隆演世家 乃是徐溫與景仁戰于霍丘 非霍山也]”라고 하였고, 그 주석에 “살펴보건대, 薛居正의 ≪舊五代史≫ 및 ≪資治通鑑≫에는 모두 ‘霍丘’로 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역주13 霍山 : 安徽省 天柱山의 별칭으로, 漢 武帝가 衡山이 너무 멀다고 하여 천주산에 岳祠를 옮기니 이후로 俗人들이 南岳이라고 하였다. 灊縣의 남쪽에 있는데 廬江에 속한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5)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