草木鳥獸之爲物과 衆人之爲人이 其爲生雖異나 而爲死則同하야 一歸於腐壞澌盡泯滅而已나
			                         
                        		
                        		
                        		
	                     		
			                       	
			                       	
	                     		
	                     		
		                        
                        	
                        	
                        	
                        	
                        		
                        			
                        			
			                        
			                        	 而衆人之中에 有聖賢者가 固亦生且死於其間이로되 而獨異於草木鳥獸衆人者는 雖死而不朽하고 逾遠而彌存也라
			                         
                        		
                        		
                        		
	                     		
			                       	
			                       	
	                     		
	                     		
		                        
                        	
                        	
                        	
                        	
                        		
                        			
                        			
			                        
                        		
                        		
                        		
	                     		
			                       	
			                       	
	                     		
	                     		
		                        
                        	
                        	
                        	
                        	
                        		
                        			
                        			
			                        
			                        	修於身者는 無所不獲이요 施於事者는 有得有不得焉이요 其見於言者는 則又有能有不能也니라
			                         
                        		
                        		
                        		
	                     		
			                       	
			                       	
	                     		
	                     		
		                        
                        	
                        	
                        	
                        	
                        		
                        			
                        			
			                        
			                        	 施於事矣면 不見於言이라도 可也니 自詩書史記所傳으로 其人豈必皆能言之士哉아
			                         
                        		
                        		
                        		
	                     		
			                       	
			                       	
	                     		
	                     		
		                        
                        	
                        	
                        	
                        	
                        		
                        			
                        			
			                        
			                        	 修於身矣
면 而不施於事
하고 不見於言
이라도 亦可也
니 로되 이나 
                        		
                        		
                        		
	                     		
			                       	
			                       	
	                     		
	                     		
		                        
                        	
                        	
                        	
                        	
                        		
                        			
                        			
			                        
			                        	하고 而後世更百千歲
에 亦未有能及之者
하니 其不朽而存者
가 固不待施於事
온 況於言乎
아 
			                         
                        		
                        		
                        		
	                     		
			                       	
			                       	
	                     		
	                     		
		                        
                        	
                        	
                        	
                        	
                        		
                        			
                        			
			                        
			                        	予讀班固藝文志
와 하고 見其所列
하니 自三代秦漢以來
로 著書之士
가 多者至百餘篇
이요 少者猶三四十篇
이니 
                        		
                        		
                        		
	                     		
			                       	
			                       	
	                     		
	                     		
		                        
                        	
                        	
                        	
                        	
                        		
                        			
                        			
			                        
			                        	 其人을 不可勝數로되 而散亡磨滅하야 百不一二存焉이라
			                         
                        		
                        		
                        		
	                     		
			                       	
			                       	
	                     		
	                     		
		                        
                        	
                        	
                        	
                        	
                        		
                        			
                        			
			                        
			                        	 予竊悲其人文章麗矣요 言語工矣나 無異草木榮華之飄風과 鳥獸好音之過耳也라
			                         
                        		
                        		
                        		
	                     		
			                       	
			                       	
	                     		
	                     		
		                        
                        	
                        	
                        	
                        	
                        		
                        			
                        			
			                        
                        		
                        		
                        		
	                     		
			                       	
			                       	
	                     		
	                     		
		                        
                        	
                        	
                        	
                        	
                        		
                        			
                        			
			                        
			                        	 而忽焉以死者가 雖有遲有速이나 而卒與三者로 同歸於泯滅하니 夫言之不可恃也가 蓋如此라
			                         
                        		
                        		
                        		
	                     		
			                       	
			                       	
	                     		
	                     		
		                        
                        	
                        	
                        	
                        	
                        		
                        			
                        			
			                        
			                        	 今之學者가 莫不慕古聖賢之不朽하되 而勤一世以盡心於文字間者하니 皆可悲也니라
			                         
                        		
                        		
                        		
	                     		
			                       	
			                       	
	                     		
	                     		
		                        
                        	
                        	
                        	
                        	
                        		
                        			
                        			
			                        
			                        	東陽徐生이 少從予學爲文章하야 稍稍見稱於人이러니 旣去而與群士試於禮部하야 得高第하니 由是知名이라
			                         
                        		
                        		
                        		
	                     		
			                       	
			                       	
	                     		
	                     		
		                        
                        	
                        	
                        	
                        	
                        		
                        			
                        			
			                        
                        		
                        		
                        		
	                     		
			                       	
			                       	
	                     		
	                     		
		                        
                        	
                        	
                        	
                        	
                        		
                        			
                        			
			                        
			                        	 予欲摧其盛氣而勉其思也라 故於其歸에 告以是言이라
			                         
                        		
                        		
                        		
	                     		
			                       	
			                       	
	                     		
	                     		
		                        
                        	
                        	
                        	
                        	
                        		
                        			
                        			
			                        
                        		
                        		
                        		
	                     		
			                       	
			                       	
	                     		
	                     		
		                        
                        	
                        	
                        	
                        	
                   			
                        	
                        	
                        	
                        	
	                       	
	                       	
	                       	
	                       	
							                       	
	                        
	                        
	                        	
	                        
	                        	
	                        
	                        	
	                        
	                        	
	                        
	                        	
	                        
	                        	
	                        
	                        	
	                        
	                        	
	                        
	                        	
	                        
	                        	
	                        
	                        	
	                        
	                        	
	                        
	                        	
	                        
	                        	
	                        
	                        	
	                        
	                        	
	                        
	                        	
	                        
	                        	
	                        
	                        	
	                        
	                        	
	                        
	                        	
	                        
	                        	
	                        
	                        	
	                        
	                        	
	                        
	                        	
	                        
	                        	
	                        
	                        	
	                        
	                        	
	                        
	                        	
	                        
	                        	
	                        
	                        	
	                        
	                        	
	                        
	                        	
	                        
	                        	
	                        
	                        	
	                        
	                        	
	                        
	                        	
	                        
	                        	
	                        
	                        	
	                        
	                        	
	                        
	                        
	                        
                        	
		                        
		                        
		                        
		                        
                        		
                        	
		                        
		                        
		                        
		                        	
		                        	
		                        
		                        
                        		
                        		
                        			
			                        
			                        	05. 남쪽으로 돌아가는 서무당徐無黨을 보내는 서문
			                              
                        			
                        		
                        		
	                     		
			                       	
			                       	
	                     		
		                        
                        	
		                        
		                        
		                        
		                        
                        		
                        	
		                        
		                        
		                        
		                        	
		                        	
		                        
		                        
                        		
                        		
                        			
			                        
			                        	구양공歐陽公이 문장 짓는 것을 몹시 좋아하다가 만년에 깨달은 것이 이와 같았다.
			                              
                        			
                        		
                        		
	                     		
			                       	
			                       	
	                     		
		                        
                        	
		                        
		                        
		                        
		                        
                        		
                        	
		                        
		                        
		                        
		                        	
		                        	
		                        
		                        
                        		
                        		
                        			
			                        
			                        	 우리들은 평생 문장을 지으면서 스스로 즐기기를 좋아하니 깊이 반성해야 할 것이다.
			                              
                        			
                        		
                        		
	                     		
			                       	
			                       	
	                     		
		                        
                        	
		                        
		                        
		                        
		                        
                        		
                        	
		                        
		                        
		                        
		                        	
		                        	
		                        
		                        
                        		
                        		
                        			
			                        
			                        	초목草木과 조수鳥獸 등의 동식물과 중인衆人 같은 평범한 사람들은 그 삶의 양상은 비록 다르지만 죽는다는 점은 같아서 한결같이 부패하여 다 없어지며 사라지는 데로 돌아갈 뿐이다.
			                              
                        			
                        		
                        		
	                     		
			                       	
			                       	
	                     		
		                        
                        	
		                        
		                        
		                        
		                        
                        		
                        	
		                        
		                        
		                        
		                        	
		                        	
		                        
		                        
                        		
                        		
                        			
			                        
			                        	 그러나 중인衆人 가운데 성현聖賢이라는 분들이 본래 또한 중인衆人 사이에서 살고 죽지만 초목草木‧조수鳥獸‧중인衆人과 홀로 다른 점은 비록 몸은 죽더라도 자취는 불후不朽하고 오래될수록 더욱 보존된다는 것이다.
			                              
                        			
                        		
                        		
	                     		
			                       	
			                       	
	                     		
		                        
                        	
		                        
		                        
		                        
		                        
                        		
                        	
		                        
		                        
		                        
		                        	
		                        	
		                        
		                        
                        		
                        		
                        			
			                        
			                        	 그 성현聖賢이 되는 까닭은 몸을 닦아 덕德을 세우며 일을 시행하여 공功을 세우며 훌륭한 말을 드러내어 후세에 남겨주기 때문이니, 이 세 가지가 불후不朽하여 오래도록 보존될 수 있는 이유이다.
			                              
                        			
                        		
                        		
	                     		
			                       	
			                       	
	                     		
		                        
                        	
		                        
		                        
		                        
		                        
                        		
                        	
		                        
		                        
		                        
		                        	
		                        	
		                        
		                        
                        		
                        		
                        			
			                        
			                        	몸을 닦아 덕德을 세우는 자는 얻지 못하는 것이 없고, 일을 시행하여 공功을 세우는 자는 얻을 수도 있고 얻지 못할 수도 있으며, 훌륭한 말을 드러내어 후세에 남겨주는 자는 말을 잘하는 경우도 있고 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일을 시행하여 덕德을 세우면 훌륭한 말을 드러내어 후세에 남겨주지 않더라도 괜찮으니, 《시경詩經》‧《서경書經》과 사기史記에 전해지는 이들을 살펴보건대, 그 사람들이 어찌 반드시 모두 말을 잘하는 선비였겠는가.
			                              
                        			
                        		
                        		
	                     		
			                       	
			                       	
	                     		
		                        
                        	
		                        
		                        
		                        
		                        
                        		
                        	
		                        
		                        
		                        
		                        	
		                        	
		                        
		                        
                        		
                        		
                        			
			                        
			                        	몸을 닦아 덕德을 세우면 일을 시행하여 공功을 세우지 않고 훌륭한 말을 드러내어 후세에 남겨주지 않더라도 역시 괜찮으니, 공자孔子의 제자弟子 가운데 정사政事에 능한 이가 있고 언어言語에 능한 이가 있었지만 안회顔回와 같은 이는 누추한 골목에 있으면서 팔을 굽혀 베고 굶주려 누워 있을 뿐이었으며, 사람들과 무리 지어 있을 때에는 마치 어리석은 사람처럼 말없이 하루를 보냈다.
			                              
                        			
                        		
                        		
	                     		
			                       	
			                       	
	                     		
		                        
                        	
		                        
		                        
		                        
		                        
                        		
                        	
		                        
		                        
		                        
		                        	
		                        	
		                        
		                        
                        		
                        		
                        			
			                        
			                        	 그렇지만 그 당시부터 여러 제자가 모두 그를 추존推尊하여 감히 바라보며 다가갈 수 없다고 여겼고 후세에 수천 년을 지나도록 또한 아직껏 그의 경지에 다가갈 수 있는 이가 없으니, 그 불후不朽하여 오래도록 보존됨이 진실로 일을 시행하여 공功을 세우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는데 하물며 훌륭한 말을 드러내어 후세에 남겨줄 것이 있겠는가.
			                              
                        			
                        		
                        		
	                     		
			                       	
			                       	
	                     		
		                        
                        	
		                        
		                        
		                        
		                        
                        		
                        	
		                        
		                        
		                        
		                        	
		                        	
		                        
		                        
                        		
                        		
                        			
			                        
			                        	내가 반고班固의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와 당唐나라의 사고서목四庫書目을 읽고 거기에 나열된 것을 보니 삼대三代와 진秦‧한漢에서부터 이후로 책을 저술한 사람이, 많은 이는 백여 편에 이르고 적은 이도 3, 4십 편이 되었다.
			                              
                        			
                        		
                        		
	                     		
			                       	
			                       	
	                     		
		                        
                        	
		                        
		                        
		                        
		                        
                        		
                        	
		                        
		                        
		                        
		                        	
		                        	
		                        
		                        
                        		
                        		
                        			
			                        
			                        	 이런 사람들을 이루 헤아릴 수가 없지만 흩어져 사라지고 닳아 없어져서 백에 한둘도 보존되지 못하였다.
			                              
                        			
                        		
                        		
	                     		
			                       	
			                       	
	                     		
		                        
                        	
		                        
		                        
		                        
		                        
                        		
                        	
		                        
		                        
		                        
		                        	
		                        	
		                        
		                        
                        		
                        		
                        			
			                        
			                        	 나는 혼자 그 사람의 문장이 아름답고 언어가 공교롭지만 초목草木의 화사한 꽃이 바람에 흩날리며 조수鳥獸의 아름다운 소리가 귀를 스쳐지나가는 것과 다름이 없음을 서글퍼하였다.
			                              
                        			
                        		
                        		
	                     		
			                       	
			                       	
	                     		
		                        
                        	
		                        
		                        
		                        
		                        
                        		
                        	
		                        
		                        
		                        
		                        	
		                        	
		                        
		                        
                        		
                        		
                        			
			                        
			                        	한창 그가 심력心力을 쏟을 적의 노고가 또한 어찌 중인衆人들이 이익을 좇아 급급하고 분주한 경우와 다르겠는가.
			                              
                        			
                        		
                        		
	                     		
			                       	
			                       	
	                     		
		                        
                        	
		                        
		                        
		                        
		                        
                        		
                        	
		                        
		                        
		                        
		                        	
		                        	
		                        
		                        
                        		
                        		
                        			
			                        
			                        	 문득 어느 사이에 죽는 것이 비록 느리고 빠른 차이가 있지만 결국에는 초목草木‧조수鳥獸‧중인衆人 세 가지와 함께 똑같이 사라지는 데로 귀결되니, 말에 의지할 수 없음이 대체로 이와 같다.
			                              
                        			
                        		
                        		
	                     		
			                       	
			                       	
	                     		
		                        
                        	
		                        
		                        
		                        
		                        
                        		
                        	
		                        
		                        
		                        
		                        	
		                        	
		                        
		                        
                        		
                        		
                        			
			                        
			                        	 지금 배우는 자들은 옛 성현의 불후不朽를 사모하면서도 한 세상 동안 부지런히 노력하여 문자文字 사이에 마음을 다하지 않는 자가 없으니, 이는 모두 슬퍼할 만하다.
			                              
                        			
                        		
                        		
	                     		
			                       	
			                       	
	                     		
		                        
                        	
		                        
		                        
		                        
		                        
                        		
                        	
		                        
		                        
		                        
		                        	
		                        	
		                        
		                        
                        		
                        		
                        			
			                        
			                        	동양東陽의 서생徐生이 어려서부터 나에게서 문장 짓는 것을 배워 차츰차츰 사람들에게 일컬어졌는데, 떠나간 뒤 그가 여러 선비와 함께 예부禮部에서 과거科擧를 보아 높은 순위로 급제하니 이 때문에 이름이 알려졌다.
			                              
                        			
                        		
                        		
	                     		
			                       	
			                       	
	                     		
		                        
                        	
		                        
		                        
		                        
		                        
                        		
                        	
		                        
		                        
		                        
		                        	
		                        	
		                        
		                        
                        		
                        		
                        			
			                        
			                        	 그의 문장이 날로 진전하여 마치 물이 솟아오르고 산이 솟아나온 듯하였다.
			                              
                        			
                        		
                        		
	                     		
			                       	
			                       	
	                     		
		                        
                        	
		                        
		                        
		                        
		                        
                        		
                        	
		                        
		                        
		                        
		                        	
		                        	
		                        
		                        
                        		
                        		
                        			
			                        
			                        	 나는 그의 성한 기운을 꺾고 그가 자신을 돌아보기를 권면하고자 하므로 그가 돌아갈 때에 이런 말을 해준다.
			                              
                        			
                        		
                        		
	                     		
			                       	
			                       	
	                     		
		                        
                        	
		                        
		                        
		                        
		                        
                        		
                        	
		                        
		                        
		                        
		                        	
		                        	
		                        
		                        
                        		
                        		
                        			
			                        
			                        	 그러나 나도 본디 문장을 짓기 좋아하는 자이니 또한 이를 통해 내 자신도 경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