菱溪之石有六이러니 其四爲人取去하고 其一差小而尤奇하야 亦藏民家하고 其最大者는 偃然僵臥於谿側하니 以其難徙라 故得獨存이라
			                         
                        		
                        		
                        		
	                     		
			                       	
			                       	
	                     		
	                     		
		                        
                        	
                        	
                        	
                        	
                        		
                        			
                        			
			                        
			                        	 每歲寒霜落하야 水涸而石出이면 谿傍人見其可怪하야 往往祀以爲神이라
			                         
                        		
                        		
                        		
	                     		
			                       	
			                       	
	                     		
	                     		
		                        
                        	
                        	
                        	
                        	
                        		
                        			
                        			
			                        
                        		
                        		
                        		
	                     		
			                       	
			                       	
	                     		
	                     		
		                        
                        	
                        	
                        	
                        	
                        		
                        			
                        			
			                        
			                        	 唐
中
에 刺史李濆爲荇谿記云 水出
하야 西經
下
라하되 以地求之
하면 今無所謂荇谿者
라 
                        		
                        		
                        		
	                     		
			                       	
			                       	
	                     		
	                     		
		                        
                        	
                        	
                        	
                        	
                        		
                        			
                        			
			                        
                        		
                        		
                        		
	                     		
			                       	
			                       	
	                     		
	                     		
		                        
                        	
                        	
                        	
                        	
                        		
                        			
                        			
			                        
			                        	하니 淮人爲諱其嫌名
하야 以荇爲菱
이라하니 理或然也
라 
			                         
                        		
                        		
                        		
	                     		
			                       	
			                       	
	                     		
	                     		
		                        
                        	
                        	
                        	
                        	
                        		
                        			
                        			
			                        
			                        	谿傍若有遺址
하니 云故將
之宅
이니 石卽劉氏之物也
라하다 
                        		
                        		
                        		
	                     		
			                       	
			                       	
	                     		
	                     		
		                        
                        	
                        	
                        	
                        	
                        		
                        			
                        			
			                        
                        		
                        		
                        		
	                     		
			                       	
			                       	
	                     		
	                     		
		                        
                        	
                        	
                        	
                        	
                        		
                        			
                        			
			                        
                        		
                        		
                        		
	                     		
			                       	
			                       	
	                     		
	                     		
		                        
                        	
                        	
                        	
                        	
                        		
                        			
                        			
			                        
			                        	 金本武夫悍卒이어늘 而乃能知愛賞奇異하야 爲兒女子之好하니 豈非遭逢亂世하야 功成志得하야 驕於富貴之佚欲而然耶아
			                         
                        		
                        		
                        		
	                     		
			                       	
			                       	
	                     		
	                     		
		                        
                        	
                        	
                        	
                        	
                        		
                        			
                        			
			                        
			                        	 想其陂池臺榭에 奇木異草가 與此石稱하니 亦一時之盛哉인저
			                         
                        		
                        		
                        		
	                     		
			                       	
			                       	
	                     		
	                     		
		                        
                        	
                        	
                        	
                        	
                        		
                        			
                        			
			                        
                        		
                        		
                        		
	                     		
			                       	
			                       	
	                     		
	                     		
		                        
                        	
                        	
                        	
                        	
                        		
                        			
                        			
			                        
			                        	予感夫人物之廢興
하고 惜其可愛而反棄也
하야 乃以三牛曳置
하고 又索其小者
하야 得於白塔民朱氏
하야 遂立于亭之南北
하니 亭負城而近
일새 以爲滁人歲時嬉遊之好
라 
                        		
                        		
                        		
	                     		
			                       	
			                       	
	                     		
	                     		
		                        
                        	
                        	
                        	
                        	
                        		
                        			
                        			
			                        
			                        	夫物之奇者가 棄沒於幽遠則可惜이요 置之耳目則愛者不免取之而去라
			                         
                        		
                        		
                        		
	                     		
			                       	
			                       	
	                     		
	                     		
		                        
                        	
                        	
                        	
                        	
                        		
                        			
                        			
			                        
			                        	 嗟夫라 劉金者는 雖不足道나 然亦可謂雄勇之士니 其生平志氣가 豈不偉哉라
			                         
                        		
                        		
                        		
	                     		
			                       	
			                       	
	                     		
	                     		
		                        
                        	
                        	
                        	
                        	
                        		
                        			
                        			
			                        
			                        	 及其後世하야 荒烟零落하야 至於子孫泯沒而無聞이온 況欲長有此石乎아
			                         
                        		
                        		
                        		
	                     		
			                       	
			                       	
	                     		
	                     		
		                        
                        	
                        	
                        	
                        	
                        		
                        			
                        			
			                        
                        		
                        		
                        		
	                     		
			                       	
			                       	
	                     		
	                     		
		                        
                        	
                        	
                        	
                        	
                        		
                        			
                        			
			                        
			                        	 而好奇之士聞此石者는 可以一賞而足이니 何必取而去也哉아
			                         
                        		
                        		
                        		
	                     		
			                       	
			                       	
	                     		
	                     		
		                        
                        	
                        	
                        	
                        	
                        		
                        			
                        			
			                        
                        		
                        		
                        		
	                     		
			                       	
			                       	
	                     		
	                     		
		                        
                        	
                        	
                        	
                        	
                        		
                        			
                        			
			                        
			                        	 行文이 委曲幽妙하야 零零碎碎作文하니 歐陽公獨長이라
			                         
                        		
                        		
                        		
	                     		
			                       	
			                       	
	                     		
	                     		
		                        
                        	
                        	
                        	
                        	
                   			
                        	
                        	
                        	
                        	
	                       	
	                       	
	                       	
	                       	
							                       	
	                        
	                        
	                        	
	                        
	                        	
	                        
	                        	
	                        
	                        	
	                        
	                        	
	                        
	                        	
	                        
	                        	
	                        
	                        	
	                        
	                        	
	                        
	                        	
	                        
	                        	
	                        
	                        	
	                        
	                        	
	                        
	                        	
	                        
	                        	
	                        
	                        	
	                        
	                        	
	                        
	                        	
	                        
	                        	
	                        
	                        	
	                        
	                        	
	                        
	                        	
	                        
	                        	
	                        
	                        	
	                        
	                        	
	                        
	                        	
	                        
	                        	
	                        
	                        	
	                        
	                        	
	                        
	                        	
	                        
	                        	
	                        
	                        	
	                        
	                        	
	                        
	                        	
	                        
	                        	
	                        
	                        	
	                        
	                        	
	                        
	                        	
	                        
	                        	
	                        
	                        	
	                        
	                        	
	                        
	                        	
	                        
	                        	
	                        
	                        	
	                        
	                        
	                        
                        	
		                        
		                        
		                        
		                        
                        		
                        	
		                        
		                        
		                        
		                        	
		                        	
		                        
		                        
                        		
                        		
                        			
			                             
                        			
                        		
                        		
	                     		
			                       	
			                       	
	                     		
		                        
                        	
		                        
		                        
		                        
		                        
                        		
                        	
		                        
		                        
		                        
		                        	
		                        	
		                        
		                        
                        		
                        		
                        			
			                        
			                        	일은 그다지 긴요하지 않으나 도리어 절로 초연한 풍치風致가 있다.
			                              
                        			
                        		
                        		
	                     		
			                       	
			                       	
	                     		
		                        
                        	
		                        
		                        
		                        
		                        
                        		
                        	
		                        
		                        
		                        
		                        	
		                        	
		                        
		                        
                        		
                        		
                        			
			                        
			                        	능계菱溪의 돌은 여섯 개가 있었는데, 그중 네 개는 사람들이 가져가버렸고, 〈남은 두 개 중〉 하나는 조금 작으면서 더욱 기이하여 또한 민가民家에 보관하고 있고, 가장 큰 것은 편안하게 능계菱溪 곁에 누워 있으니 운반하기 어렵기 때문에 홀로 남아 있게 된 것이다.
			                              
                        			
                        		
                        		
	                     		
			                       	
			                       	
	                     		
		                        
                        	
		                        
		                        
		                        
		                        
                        		
                        	
		                        
		                        
		                        
		                        	
		                        	
		                        
		                        
                        		
                        		
                        			
			                        
			                        	 날씨가 추워져 서리가 내려 물이 말라 돌이 드러날 때마다 시냇가의 사람들이 괴이함을 보고서 왕왕 제사를 지내 신령한 것으로 삼았다.
			                              
                        			
                        		
                        		
	                     		
			                       	
			                       	
	                     		
		                        
                        	
		                        
		                        
		                        
		                        
                        		
                        	
		                        
		                        
		                        
		                        	
		                        	
		                        
		                        
                        		
                        		
                        			
			                        
			                        	능계菱溪는 도圖와 경經을 살펴보면 모두 수록되어 있지 않다. 
			                              
                        			
                        		
                        		
	                     		
			                       	
			                       	
	                     		
		                        
                        	
		                        
		                        
		                        
		                        
                        		
                        	
		                        
		                        
		                        
		                        	
		                        	
		                        
		                        
                        		
                        		
                        			
			                        
			                        	당唐 회창會昌 연간에 자사刺史 이분李濆이 〈행계기荇谿記〉를 지어 “물이 영양령永陽嶺에서 나와 서쪽으로 황도산皇道山을 경유하여 내려온다.”라고 하였는데, 그 지역에서 찾아보면 지금 이른바 행계荇溪라는 것은 없다. 
			                              
                        			
                        		
                        		
	                     		
			                       	
			                       	
	                     		
		                        
                        	
		                        
		                        
		                        
		                        
                        		
                        	
		                        
		                        
		                        
		                        	
		                        	
		                        
		                        
                        		
                        		
                        			
			                        
			                        	저주滁州 사람에게 물어보니 “능계菱溪가 바로 행계荇溪이다. 
			                              
                        			
                        		
                        		
	                     		
			                       	
			                       	
	                     		
		                        
                        	
		                        
		                        
		                        
		                        
                        		
                        	
		                        
		                        
		                        
		                        	
		                        	
		                        
		                        
                        		
                        		
                        			
			                        
			                        	양행밀楊行密이 회남淮南을 점거하였는데, 회남淮南 사람들이 그의 혐오스런 이름을 피하여 ‘행荇’자를 ‘능菱’자로 바꾸었다.”라고 하니 이치가 그럴듯하였다.
			                              
                        			
                        		
                        		
	                     		
			                       	
			                       	
	                     		
		                        
                        	
		                        
		                        
		                        
		                        
                        		
                        	
		                        
		                        
		                        
		                        	
		                        	
		                        
		                        
                        		
                        		
                        			
			                        
			                        	시냇가에 유허遺墟가 있으니 옛 장수 유금劉金의 집인데, 돌은 바로 유씨劉氏의 물건이었다고 한다. 
			                              
                        			
                        		
                        		
	                     		
			                       	
			                       	
	                     		
		                        
                        	
		                        
		                        
		                        
		                        
                        		
                        	
		                        
		                        
		                        
		                        	
		                        	
		                        
		                        
                        		
                        		
                        			
			                             
                        			
                        		
                        		
	                     		
			                       	
			                       	
	                     		
		                        
                        	
		                        
		                        
		                        
		                        
                        		
                        	
		                        
		                        
		                        
		                        	
		                        	
		                        
		                        
                        		
                        		
                        			
			                        
			                        	양행밀楊行密과 함께 합비合淝에서 거병擧兵하였으니, 36명의 영웅이라 불리는 사람 중에 유금劉金이 한 사람이다. 
			                              
                        			
                        		
                        		
	                     		
			                       	
			                       	
	                     		
		                        
                        	
		                        
		                        
		                        
		                        
                        		
                        	
		                        
		                        
		                        
		                        	
		                        	
		                        
		                        
                        		
                        		
                        			
			                        
			                        	유금劉金은 본래 씩씩한 무부武夫이자 용맹한 병사였는데, 이에 능히 기이한 것을 애상愛賞할 줄 알아서 아녀자들이 좋아할 거리가 되었으니 아마도 난세를 만나 공을 이루고 뜻을 얻어 부귀富貴에 대한 큰 욕심 탓에 교만해져 그렇게 된 것이 아니겠는가.
			                              
                        			
                        		
                        		
	                     		
			                       	
			                       	
	                     		
		                        
                        	
		                        
		                        
		                        
		                        
                        		
                        	
		                        
		                        
		                        
		                        	
		                        	
		                        
		                        
                        		
                        		
                        			
			                        
			                        	 못과 누대에 기이한 초목이 이 돌과 어우러져 있는 모습을 상상해보니 또한 당시의 성대한 풍경이었을 것이다.
			                              
                        			
                        		
                        		
	                     		
			                       	
			                       	
	                     		
		                        
                        	
		                        
		                        
		                        
		                        
                        		
                        	
		                        
		                        
		                        
		                        	
		                        	
		                        
		                        
                        		
                        		
                        			
			                        
			                        	 지금 유씨劉氏의 후손들은 흩어져 평민이 되었지만 아직도 능계菱溪 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저 인물의 흥폐에 대해 감회가 일고, 돌이 아낄 만한데 도리어 버려진 것을 애석하게 여겨 이에 세 마리의 소로 돌을 끌어다 유곡幽谷에 두고, 또 그 작은 돌을 찾아 백탑白塔에 사는 주씨朱氏에게서 얻어 마침내 정자의 남북에 세워두니, 정자는 성을 등지고 가까이 있기 때문에 저주滁州 사람들이 세시歲時로 노닐며 좋아하는 곳이 되었다.
			                              
                        			
                        		
                        		
	                     		
			                       	
			                       	
	                     		
		                        
                        	
		                        
		                        
		                        
		                        
                        		
                        	
		                        
		                        
		                        
		                        	
		                        	
		                        
		                        
                        		
                        		
                        			
			                        
			                        	사물 중에 기이한 것이 유원幽遠한 곳에 버려져 매몰되면 아까워할 만하고, 그것을 이목耳目에 띠는 곳에 놓아두면 좋아하는 사람이 가지고 가버림을 면치 못한다.
			                              
                        			
                        		
                        		
	                     		
			                       	
			                       	
	                     		
		                        
                        	
		                        
		                        
		                        
		                        
                        		
                        	
		                        
		                        
		                        
		                        	
		                        	
		                        
		                        
                        		
                        		
                        			
			                        
			                        	아, 유금劉金이란 자는 비록 말할 것이 못 되지만 또한 씩씩하고 용맹한 사내였으니 평생의 지기志氣가 어찌 크지 않았겠는가.
			                              
                        			
                        		
                        		
	                     		
			                       	
			                       	
	                     		
		                        
                        	
		                        
		                        
		                        
		                        
                        		
                        	
		                        
		                        
		                        
		                        	
		                        	
		                        
		                        
                        		
                        		
                        			
			                        
			                        	 후세에 이르러 몰락하고 쇠락하여 자손들이 민몰泯沒되어 알려짐이 없는 지경에 이르렀는데, 하물며 이 돌을 오래도록 소유하기를 바랄 수 있겠는가.
			                              
                        			
                        		
                        		
	                     		
			                       	
			                       	
	                     		
		                        
                        	
		                        
		                        
		                        
		                        
                        		
                        	
		                        
		                        
		                        
		                        	
		                        	
		                        
		                        
                        		
                        		
                        			
			                             
                        			
                        		
                        		
	                     		
			                       	
			                       	
	                     		
		                        
                        	
		                        
		                        
		                        
		                        
                        		
                        	
		                        
		                        
		                        
		                        	
		                        	
		                        
		                        
                        		
                        		
                        			
			                        
			                        	 그리고 이 돌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기이한 것을 좋아하는 선비는 한번 완상하면 그만일 것이니 굳이 가져갈 필요 있겠는가.
			                              
                        			
                        		
                        		
	                     		
			                       	
			                       	
	                     		
		                        
                        	
		                        
		                        
		                        
		                        
                        		
                        	
		                        
		                        
		                        
		                        	
		                        	
		                        
		                        
                        		
                        		
                        			
			                             
                        			
                        		
                        		
	                     		
			                       	
			                       	
	                     		
		                        
                        	
		                        
		                        
		                        
		                        
                        		
                        	
		                        
		                        
		                        
		                        	
		                        	
		                        
		                        
                        		
                        		
                        			
			                        
			                        	 “글을 짓는 것이 위곡委曲하고 유묘幽妙하여 자질구레한 일을 가지고 글을 지었으니 구양수歐陽脩만의 장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