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之有天下國家者가 其興亡治亂이 未始不以德이요 而自戰國秦漢以來로 鮮不以兵이라 夫兵豈非重事哉아
			                         
                        		
                        		
                        		
	                     		
			                       	
			                       	
	                     		
	                     		
		                        
                        	
                        	
                        	
                        	
                        		
                        			
                        			
			                        
			                        	然其因時制變하야 以苟利趨便하야 至於無所不爲로되
			                         
                        		
                        		
                        		
	                     		
			                       	
			                       	
	                     		
	                     		
		                        
                        	
                        	
                        	
                        	
                        		
                        			
                        			
			                        
			                        	而考其法制
하얀 雖可用於一時
나 而不足施於後世者多矣
요 惟唐立
하야 頗有足稱焉
이라 
                        		
                        		
                        		
	                     		
			                       	
			                       	
	                     		
	                     		
		                        
                        	
                        	
                        	
                        	
                        		
                        			
                        			
			                        
			                        	蓋古者兵法起於井田이러니 自周衰로 王制壞而不復하고 至於府兵하얀 始一寓之於農이요 其居處敎養畜材待事動作休息이 皆有節目하니 雖不能盡合古法이나 蓋得其大意焉이라
			                         
                        		
                        		
                        		
	                     		
			                       	
			                       	
	                     		
	                     		
		                        
                        	
                        	
                        	
                        	
                        		
                        			
                        			
			                        
                        		
                        		
                        		
	                     		
			                       	
			                       	
	                     		
	                     		
		                        
                        	
                        	
                        	
                        	
                        		
                        			
                        			
			                        
			                        	至其後世하야 子孫驕弱하야 不能謹守하야 屢變其制하니 夫置兵은 所以止亂이러니 及其弊也하얀 適足爲亂이요 又其甚也엔 至困天下以養亂하야 而遂至於亡焉이라
			                         
                        		
                        		
                        		
	                     		
			                       	
			                       	
	                     		
	                     		
		                        
                        	
                        	
                        	
                        	
                        		
                        			
                        			
			                        
                        		
                        		
                        		
	                     		
			                       	
			                       	
	                     		
	                     		
		                        
                        	
                        	
                        	
                        	
                        		
                        			
                        			
			                        
			                        	其始盛時
에 有府兵
하고 府兵後廢而爲
하고 彉騎又廢
에 而
之兵
이 盛矣
러니 
                        		
                        		
                        		
	                     		
			                       	
			                       	
	                     		
	                     		
		                        
                        	
                        	
                        	
                        	
                        		
                        			
                        			
			                        
			                        	及其末也하얀 强臣悍將이 兵布天下하고 而天子亦自置兵於京師하니 曰禁軍이라
			                         
                        		
                        		
                        		
	                     		
			                       	
			                       	
	                     		
	                     		
		                        
                        	
                        	
                        	
                        	
                        		
                        			
                        			
			                        
			                        	其後天子弱하고 方鎭彊하야 而唐遂以亡滅者는 措置之勢使然也라
			                         
                        		
                        		
                        		
	                     		
			                       	
			                       	
	                     		
	                     		
		                        
                        	
                        	
                        	
                        	
                        		
                        			
                        			
			                        
			                        	若乃將卒營陣車騎器械征防守衛凡兵之事는 不可以悉記요 記其廢置得失終始治亂興滅之迹하야 以爲後世戒云이라
			                         
                        		
                        		
                        		
	                     		
			                       	
			                       	
	                     		
	                     		
		                        
                        	
                        	
                        	
                        	
                   			
                        	
                        	
                        	
                        	
	                       	
	                       	
	                       	
	                       	
							                       	
	                        
	                        
	                        	
	                        
	                        	
	                        
	                        	
	                        
	                        	
	                        
	                        	
	                        
	                        	
	                        
	                        	
	                        
	                        	
	                        
	                        	
	                        
	                        	
	                        
	                        	
	                        
	                        	
	                        
	                        	
	                        
	                        	
	                        
	                        	
	                        
	                        	
	                        
	                        	
	                        
	                        	
	                        
	                        	
	                        
	                        	
	                        
	                        	
	                        
	                        	
	                        
	                        	
	                        
	                        	
	                        
	                        	
	                        
	                        	
	                        
	                        	
	                        
	                        	
	                        
	                        	
	                        
	                        	
	                        
	                        	
	                        
	                        	
	                        
	                        	
	                        
	                        	
	                        
	                        	
	                        
	                        	
	                        
	                        
	                        
                        	
		                        
		                        
		                        
		                        
                        		
                        	
		                        
		                        
		                        
		                        	
		                        	
		                        
		                        
                        		
                        		
                        			
			                             
                        			
                        		
                        		
	                     		
			                       	
			                       	
	                     		
		                        
                        	
		                        
		                        
		                        
		                        
                        		
                        	
		                        
		                        
		                        
		                        	
		                        	
		                        
		                        
                        		
                        		
                        			
			                        
			                        	구양공歐陽公이 서사敍事를 하는 곳에 왕왕 태사공太史公 사마천司馬遷의 골수骨髓를 얻었다.
			                              
                        			
                        		
                        		
	                     		
			                       	
			                       	
	                     		
		                        
                        	
		                        
		                        
		                        
		                        
                        		
                        	
		                        
		                        
		                        
		                        	
		                        	
		                        
		                        
                        		
                        		
                        			
			                        
			                        	그가 지은 《신당서新唐書》 및 《오대사단론五代史短論》에도 모두 태사공의 풍도가 있다.
			                              
                        			
                        		
                        		
	                     		
			                       	
			                       	
	                     		
		                        
                        	
		                        
		                        
		                        
		                        
                        		
                        	
		                        
		                        
		                        
		                        	
		                        	
		                        
		                        
                        		
                        		
                        			
			                             
                        			
                        		
                        		
	                     		
			                       	
			                       	
	                     		
		                        
                        	
		                        
		                        
		                        
		                        
                        		
                        	
		                        
		                        
		                        
		                        	
		                        	
		                        
		                        
                        		
                        		
                        			
			                             
                        			
                        		
                        		
	                     		
			                       	
			                       	
	                     		
		                        
                        	
		                        
		                        
		                        
		                        
                        		
                        	
		                        
		                        
		                        
		                        	
		                        	
		                        
		                        
                        		
                        		
                        			
			                             
                        			
                        		
                        		
	                     		
			                       	
			                       	
	                     		
		                        
                        	
		                        
		                        
		                        
		                        
                        		
                        	
		                        
		                        
		                        
		                        	
		                        	
		                        
		                        
                        		
                        		
                        			
			                        
			                        	당唐나라 병사 제도가 세 차례 변화된 것이 마치 손바닥처럼 환하다.
			                              
                        			
                        		
                        		
	                     		
			                       	
			                       	
	                     		
		                        
                        	
		                        
		                        
		                        
		                        
                        		
                        	
		                        
		                        
		                        
		                        	
		                        	
		                        
		                        
                        		
                        		
                        			
			                        
			                        	옛날에 천하와 국가를 소유한 이는 그 흥망興亡과 치란治亂이 덕德에서 비롯되지 않은 적이 없었고, 전국시대戰國時代와 진秦‧한시대漢時代 이래로는 병사에서 비롯되지 않은 적이 드무니, 저 병사가 어찌 중요한 일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때에 따라 기변機變을 제어制御하여 이익을 탐내고 편리함을 좇아 하지 못하는 짓이 없는 데에 이르렀다.
			                              
                        			
                        		
                        		
	                     		
			                       	
			                       	
	                     		
		                        
                        	
		                        
		                        
		                        
		                        
                        		
                        	
		                        
		                        
		                        
		                        	
		                        	
		                        
		                        
                        		
                        		
                        			
			                        
			                        	그 법제를 살펴보건대 비록 한때에는 쓸 만하나 후세에 시행하지 못할 것들이 많았고, 오직 당唐나라는 부병제府兵制를 세워 자못 칭찬할 만한 것이 있다.
			                              
                        			
                        		
                        		
	                     		
			                       	
			                       	
	                     		
		                        
                        	
		                        
		                        
		                        
		                        
                        		
                        	
		                        
		                        
		                        
		                        	
		                        	
		                        
		                        
                        		
                        		
                        			
			                        
			                        	옛날에 병법兵法은 정전井田에서 시작되었는데 주周나라가 쇠미해진 뒤로 왕제王制가 무너져 회복되지 못하였고, 부병府兵으로 말하자면 처음에는 오로지 병兵을 농農에다 넣었고 그 거처와 육성, 인재를 길러 일에 대비하는 법, 일을 하고 휴식하는 것들에 모두 절목이 있었으니, 비록 모두 고법古法에 합치하지는 않으나 대개 그 대의大意에 맞았습니다.
			                              
                        			
                        		
                        		
	                     		
			                       	
			                       	
	                     		
		                        
                        	
		                        
		                        
		                        
		                        
                        		
                        	
		                        
		                        
		                        
		                        	
		                        	
		                        
		                        
                        		
                        		
                        			
			                        
			                        	이것이 고조高祖와 태종太宗 시대가 융성했던 까닭입니다.
			                              
                        			
                        		
                        		
	                     		
			                       	
			                       	
	                     		
		                        
                        	
		                        
		                        
		                        
		                        
                        		
                        	
		                        
		                        
		                        
		                        	
		                        	
		                        
		                        
                        		
                        		
                        			
			                        
			                        	후세에 이르러서는 자손들이 교만하고 나약하여 삼가 지키지 못하여 그 제도를 누차 바꾸었으니, 대저 병력兵力을 두는 것은 난亂을 그치게 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폐단이 생김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난亂이 되기에 알맞을 뿐이고, 게다가 심한 경우에 이르러서는 천하를 곤궁하게 하여 난亂을 길러서 마침내 망하는 데 이르렀습니다.
			                              
                        			
                        		
                        		
	                     		
			                       	
			                       	
	                     		
		                        
                        	
		                        
		                        
		                        
		                        
                        		
                        	
		                        
		                        
		                        
		                        	
		                        	
		                        
		                        
                        		
                        		
                        			
			                        
			                        	대개 당唐나라가 천하를 다스린 지 2백여 년에 병사의 대세大勢가 세 차례 변하였다.
			                              
                        			
                        		
                        		
	                     		
			                       	
			                       	
	                     		
		                        
                        	
		                        
		                        
		                        
		                        
                        		
                        	
		                        
		                        
		                        
		                        	
		                        	
		                        
		                        
                        		
                        		
                        			
			                        
			                        	처음 융성할 때에 부병府兵을 두었고, 부병府兵이 뒤에 폐지되자 확기彉騎를 시행하였고, 확기彉騎가 또 폐지되자 방진方鎭의 병제兵制가 흥성하였다.
			                              
                        			
                        		
                        		
	                     		
			                       	
			                       	
	                     		
		                        
                        	
		                        
		                        
		                        
		                        
                        		
                        	
		                        
		                        
		                        
		                        	
		                        	
		                        
		                        
                        		
                        		
                        			
			                        
			                        	그러다가 당나라 말엽에 이르러 강성强盛한 신하臣下와 호한豪悍한 장수將帥가 천하에 병사를 펼쳐놓았고, 천자 역시 경사京師에 스스로 병사를 배치하니 명칭이 금군禁軍이다.
			                              
                        			
                        		
                        		
	                     		
			                       	
			                       	
	                     		
		                        
                        	
		                        
		                        
		                        
		                        
                        		
                        	
		                        
		                        
		                        
		                        	
		                        	
		                        
		                        
                        		
                        		
                        			
			                        
			                        	그 뒤에 천자天子가 약해지고 방진方鎭이 강해졌으니, 당나라가 마침내 멸망한 것은 조치한 형세가 그렇게 만든 것이다.
			                              
                        			
                        		
                        		
	                     		
			                       	
			                       	
	                     		
		                        
                        	
		                        
		                        
		                        
		                        
                        		
                        	
		                        
		                        
		                        
		                        	
		                        	
		                        
		                        
                        		
                        		
                        			
			                        
			                        	저 장졸將卒, 영진營陣, 거기車騎, 기계器械, 정방征防, 수위守衛 등과 같은 병사에 관한 제반 사항을 일일이 다 기록할 수는 없고, 폐치廢置의 득실得失과 치란흥멸治亂興滅 전말의 자취를 기록하여 후세의 경계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