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1)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老成典刑之見이라
臣伏見하야 漸違誓約하야 僭叛之迹 彰露已多하니 年歲之間 必爲邊患이라
國家禦備之計 先在擇人이니
而自以來 至今二十餘年 當時經用舊人 零落無幾하고 惟尙書戶部侍郞孫沔尙在
西事時 沔守環慶一路하니 其人磊落有智勇하되
但以未嘗出兵하고 又不遇敵이라 故未有臨陣破賊之功이나
然其養練士卒하고 招撫 恩信著於一方하야 至今邊人思之하니
雖世不乏材 朝廷方務推擇하니 若求曾經西事可用之人인댄 則臣謂無如沔者
沔今年雖七十이나 聞其心力不衰하야 飛鷹走馬 尙如平日이온
況所用者 取其智謀하고 藉其威信이라
前世老將彊起成功者多하니 沔雖中間曾以罪廢 棄瑕使過 正是用人之術이라
臣今欲乞朝廷 更加察訪하야 如沔實未衰羸어든 伏望聖慈 特賜獎用하면
庶於擇材難得之時 可備一方之寄
取進止하소서


06. 손면孫沔을 장려하고 기용할 것을 청하는 차자箚子
노성老成하여 전범典範이 되는 분의 견해이다.
신이 삼가 보건대 양조諒祚가 미치고 참람된 짓을 하여 점차 서약을 어겨 참람된 반역의 자취가 이미 많이 드러났으니, 한두 해 사이에 반드시 변방의 우환이 될 것입니다.
국가가 비어備禦하는 계책은 먼저 사람을 가려뽑는 데 있습니다.
경력慶曆 연간에 전쟁을 그만둔 뒤로 지금까지 20여 년 동안 당시에 기용했던 옛사람들이 세상을 떠나 얼마 남지 않았고, 오직 상서尙書 호부시랑戶部侍郞 손면孫沔만이 아직도 생존해 있습니다.
서하西夏가 반란한 사건이 일어났을 때 손면은 환경環慶 지역을 지키고 있었는데 그 사람됨이 헌걸차 지략과 용맹이 있었습니다.
다만 출병出兵해본 적이 없었고 게다가 적을 만나보지 않았기 때문에 진지陣地에 가서 적을 물리친 공로는 없습니다.
그러나 사졸을 훈련하고 변방의 오랑캐들을 위무慰撫하여 은혜와 신뢰가 한 지방에 드러나 지금까지도 변방 사람들이 그를 사모하고 있습니다.
비록 세상에 인재가 부족하진 않으나 조정이 바야흐로 인재를 추천해 선발하고 있으니, 만약 서하와의 전쟁을 겪은 사람 중 쓸 만한 이를 찾는다면 신은 손면만 한 사람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손면孫沔의 나이 비록 일흔이나 듣기로 그 마음과 힘이 쇠하지 않아 매를 날리고 말을 달리며 사냥하는 것이 아직도 여전하다고 합니다.
하물며 소용되는 것은 그 지모를 취하고 그 위신威信을 빌리는 것임에 있어서이겠습니까.
앞 시대, 노장으로 애써 기용되어 전공을 이룬 이가 많으니, 손면이 중간에 죄로 폐출된 적은 있지만 흠을 버리고 과오가 있는 사람을 부리는 것이 바로 사람을 쓰는 방법입니다.
신은 지금 바라건대 조정이 다시 잘 살피고 물어서 만약 손면이 아직도 쇠약하지 않다면, 삼가 바라옵건대 성상께서는 특별히 장려해 기용하소서.
그렇게 하시면 인재를 가려뽑기 어려운 이때에 한 방면을 맡길 수 있을 것입니다.
성상께서 결정하소서.


역주
역주1 乞獎用孫沔箚子 : 이 글은 仁宗 治平 2년(1065)에 지어졌다. 《英宗實錄》에도 이 글이 節錄되어 있는데, 孫沔이란 성명 앞에 ‘致仕’ 두 자가 더 있다. 孫沔은 자가 元規이며, 會稽 사람이다. 仁宗 때 秘書丞, 監察御史裏行 등을 역임하였다. 呂夷簡이 정권을 잡고 전횡하자 陝西轉運使로 있던 손면이 글을 올려 極諫하면서 옛날 간신인 張禹와 李林甫를 들어 여이간에 비유했다. 여이간은 그 글을 보고 이르기를 “원규(손면)의 약석과 같은 좋은 충고를 다만 십 년 늦게 들은 것이 한스럽다.” 하였다. 뒤에 歐陽脩는 그 사람됨과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西夏가 다시 도발할 기미를 보이자 그를 기용하라고 청하여 이 글을 올렸다.
역주2 諒祚猖狂 : 諒祚는 西夏의 임금 이름이다. 元昊에게는 원래 寧令受라는 태자가 있었다. 그런데 沒臧訛嚨의 여동생을 맞아들여 양조를 낳았다. 이에 寧令受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沒臧訛嚨이 진압하고, 원호가 죽은 다음 양조를 왕으로 추대하였다. 《續資治通鑑》에 “治平 2년(1065)에 서하의 임금이 改元하였다.” 하였는데, 바로 양조가 즉위한 것을 가리킨다.
역주3 慶曆罷兵 : 慶曆 4년(1044)에 宋나라와 西夏가 전쟁을 중지하고 화친을 의논하였다.
역주4 蕃夷 : 변방의 소수 민족들을 이르는 말이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