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徐子[ㅣ] 曰 仲尼ㅣ 亟稱於水曰 水哉水哉여시니 何取於水也ㅣ시니잇고
孟子[ㅣ] 曰 原泉[이] 混混야 不舍晝夜야 盈科而後[에] 進야 放乎四海니 有本者[ㅣ] 如是라 是之取爾시니라
集註
原泉은 有原之水也라 混混은 湧出之貌라 不舍晝夜는 言常出不竭也라 盈은 滿也요 科는 坎也니 言其進以漸也라 放은 至也라 言 水有原本여 不已而漸進여 以至于海니 如人有實行이면 則亦不已而漸進여 以至于極也니라
苟爲無本이면 七八月之間애 雨集야 溝澮[ㅣ] 皆盈이나(나) 其涸也() 可立而待也ㅣ니 故[로] 聲聞過情을 君子[ㅣ] 恥之니라
集註
集은 聚也라 澮는 田間水道也라 涸은 乾也라 如人無實行而暴得虛譽면 不能長久也라 聲聞은 名譽也라 情은 實也라 恥者는 恥其無實而將不繼也라 林氏曰 徐子之爲人이 必有躐等干譽之病이라 故로 孟子以是答之시니라 ○ 鄒氏曰 孔子之稱水는 其旨微矣어늘 孟子獨取此者는 自徐子之所急者로 言之也라 孔子嘗以聞達로 告子張矣시니 達者는 有本之謂也요 聞은 則無本之謂也라 然則學者其可以不務本乎아
18. 맹자의 제자 서자(徐子)가 말하였다. “중니(仲尼)께서 자주 물을 일컬어 말씀하시기를 ‘물이여, 물이여!’ 하셨으니, 물의 어떤 점을 높이 사신 것입니까?”
[언해] 徐셔子ㅣ 오 仲中尼니ㅣ 조 水슈에 稱야 샤 水슈여 水슈여 시니 므서슬 水슈에 取시니잇고
[James Legge] The disciple Hsü said, 'Chung-nî often praised water, saying, "0 water! 0 water!" What did he find in water to praise?'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근원이 좋은 물은 철철 넘쳐서 밤낮으로 쉬지 않고 흘러[不舍晝夜], 구덩이를 만나면 구덩이를 채운 뒤에 앞으로 나아가[盈科而後進] 사해(四海)에까지 이른다네. 근원이 있는 것은 이와 같으니, 이 점을 높이 사신 것일세.
[언해] 孟子ㅣ 샤 原원泉쳔이 混혼混혼야 晝듀夜야를 舍샤티 아니야 科과에 盈 後후에 進진야 四海예 放니 本본이 인 者쟈ㅣ 이 디라 이를 取시니라
[James Legge] Mencius replied, 'There is a spring of water; how it gushes out! It rests not day nor night. It fills up every hole, and then advances, flowing onto the four seas. Such is water having a spring! It was this which he found in it to praise.
만일 근본이 없다면 7, 8월 사이에는 빗물이 모여서 도랑이 모두 가득차지만, 그것이 마르는 것은 서서도 기다릴 수 있네. 그러므로 명성이 실제보다 지나치는 것을 군자는 부끄러워하네.”
[언해] 진실로 本본이 업스면 七칠八팔月월ㅅ 間간에 雨우ㅣ 集집야 溝구와 澮회ㅣ 다 盈나 그 涸확욤 可가히 셔셔 기들올 꺼시니故고로 聲聞문이 情에 過과욤을 君군子ㅣ 恥티니라
[James Legge] 'But suppose that the water has no spring.-- In the seventh and eighth when the rain falls abundantly, the channels in the fields are all filled, but their being dried up again may be expected in a short time. So a superior man is ashamed of a reputation beyond his mer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