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登金陵鳳凰臺
李白
在保寧寺後 宋元嘉中 王顗見異鳥集于山하니 時謂鳳凰이라하여 遂起臺하니라
鳳凰臺上鳳凰遊러니
鳳去臺空江自流
吳宮注+吳宮 : 孫權 始都金陵하고 國號吳라하니라花草埋幽徑이요
晉代注+晉代 : 晉宗室瑯琊王睿都金陵하니 是爲東晉이라衣冠成古丘

總爲浮雲能蔽日하니
長安不見使人愁


金陵의 봉황대에 오르다
이백
鳳凰臺는 보령사 뒤에 있다. 南朝 宋나라 元嘉年間에 王顗가 이상한 새가 산에 앉아 있는 것을 보았는데, 당시 사람들이 鳳凰이라 이르고는 마침내 봉황대를 지었다.
鳳凰臺 위에 봉황새 놀더니
봉황새 떠나가 대는 비었는데 강물만 절로 흐르누나.
吳나라 궁궐의注+孫權이 처음 金陵에 도읍하고 국호를 吳라 하였다. 화초 그윽한 길에 묻혔고
晉代注+晉나라 宗室인 낭야왕 司馬睿가 금릉에 도읍하니, 이것이 東晉이다.의 衣冠 古冢 이루었네.
세 산은 靑天 밖에 반쯤 떨어져 있고
두 물은 白鷺洲 가운데 두고 나누어졌네.
모두 뜬구름이 태양 가리고 있으니
長安을 볼 수 없어 사람 시름겹게 하여라.
賞析
이 시는《李太白集》21권에 실려 있다. 玄宗이 이백을 총애하여 관직을 제수하려 하였으나 楊貴妃와 高力士 등의 저지로 결국 등용되지 못하였다. 이를 안 이백이 휴가를 청하고 장안을 떠나 사방을 周遊하며, 崔宗之와 함께 採石江에서 배를 타고 金陵의 鳳凰臺에 올라 逐臣의 신세를 생각하여 지은 것이다. 元나라 方回는《瀛奎律髓》에서 “이태백의 이 시는 崔顥의〈黃鶴樓〉시와 흡사하여 格律과 氣勢에 있어 우열을 논하기 어렵다. 이 시는 봉황대로 제목을 삼았으나 봉황대를 읊은 것은 고작 起語 2句에 불과할 뿐이고, 아래 6구는 곧 臺에 올라 관망한 내용이다. 3ㆍ4구는 古人을 보지 못함을 서글프게 여긴 것이요, 5~8구는 오늘의 경치를 읊고 帝都를 보지 못함을 개탄한 것이다.” 하였다. 劉會孟은《唐詩訓解》에서 “그의 雄偉한 표현[開口雄偉]과 꾸밈이 없음[脫落雕飾]은 모두 말할 것이 없지만 만약 끝의 두 구가 없었다면 또한 반드시 최호의〈황학루〉시보다 뛰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라고 평하였다.
李德弘〈1541(중종 36)-1596(선조 29)〉은《艮齋集》續集 4권에 “諷諭, 謳吟, 嗟歎, 憫惻한 끝에 小人이 속이고 엄폐하여 자기로 하여금 도성을 떠나 流落하게 하여 임금을 그리워하나 만날 수 없다는 뜻을 함축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보는 것이 시를 제대로 보는 것이 된다. ‘總’字가 이 시의 오묘한 부분이다.” 하였다.
李玄錫〈1647(인조 25)-1703(숙종 29)〉의《游齋集》2권에 이 시를 모방하여 지은 시가 있으므로 아래에 소개한다.
“천리 먼 금릉에 영락하여 떠도니 층대에서 술에 취해 흘러가는 물 굽어보네.…… 길에 묻힌 시든 꽃에 고국이 희미하고 구름 사이로 새어나온 달빛 모래섬에 비추누나. 서풍이 부는데 가을 강가에서 노 두드리니 끝없는 물결은 만고의 수심이라오.[千里金陵落拓遊 層臺一醉俯淸流……埋徑殘花迷故國 漏雲新月印滄洲 西風鼓枘秋江上 無限煙波萬古愁]”
이 외에 宋寅〈1516(중종 11)-1584(선조 17)〉의《頤庵遺稿》1권에도〈鳳凰臺口占〉이라는 제목의 시가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三山半落靑天外 二水中分白鷺洲 : 三山은 江蘇省 江寧縣에 있는 산으로 세 봉우리가 연해 있어 이름한 것이고, 二水는 秦淮河가 金陵에서 두 갈래로 나뉘어 한 갈래는 城안으로 들어가고 한 갈래는 城을 감돌므로 말한 것이다.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세 산은 金陵에 있는 鍾山, 石頭山, 東山 등의 산을 말하고 두 물은《方輿志》를 살펴보건대 ‘白鷺洲는 강 가운데에 있다.’ 하였으니, 洲는 물 가운데에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이다. 이는 반드시 큰 강이 이곳에 이르러 두 갈래로 갈라지기 때문에 백로주라고 이름한 것이지 별도로 두 물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등금릉봉황대 449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