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古柏行
杜甫
孔明廟前有老柏하니
柯如靑銅根如石이라
霜皮溜雨四十圍하고
黛色參天二千尺이라
君臣已與時際會하니
樹木猶爲人愛惜이라
雲來氣接巫峽長이요
月出寒通이라
하니
同閟宮이라
崔嵬枝榦郊原古
이라
落落雖得地
冥冥孤高多烈風이라
扶持自是神明力이요
正直元因造化功이라
大廈如傾要梁棟인댄
萬牛回首丘山重이라
不露文章世已驚하니

苦心未免容螻蟻
香葉終經宿鸞鳳이라
志士幽人莫怨嗟하라
古來材大難爲用이라


오래 묵은 측백나무에 대한 노래
두보
孔明의 사당 앞에 늙은 측백나무 있으니
가지는 靑銅 같고 뿌리는 돌 같다오.
서리 맞은 껍질에 빗물 적시니 사십 아름이나 되고
검푸른 잎 하늘을 찌를 듯 이천 척이나 된다오.
군주와 신하 이미 時運과 만나니
나무도 오히려 사람들에게 아낌을 받누나.
구름이 오니 기운은 巫峽을 연하여 길고
달이 나오니 차가움은 雪山을 통하여 희어라.
생각하니 어제 길이 錦亭의 동쪽 돌아왔는데
先主와 武侯 한 사당에 있었다오.
높은 가지와 줄기에 郊原이 예스럽고
窈窕한 丹靑에 창문 비어 있네.
낙락히 서리고 걸터앉아 비록 제자리 얻었으나
무성한 가지와 잎 孤高하여 매서운 바람 많이 맞으리라.
부지함은 자연 神明의 힘이요
바르고 곧음은 원래 造化의 공에 인하였네.
큰집이 만일 기울어져 棟梁이 필요할진댄
만 마리 소도 머리 돌리며 丘山처럼 무겁게 여기리라.
文章에 드러내어 말하지 않아도 세상에서 이미 놀래니
베어감 사양하지 않으나 누가 능히 운반할까.
속이 썩어 땅강아지와 개미 용납함 면치 못하나
향기로운 잎 끝내 난새와 봉황이 자고 갔으리라.
志士와 幽人들 원망하고 한탄하지 마오
예로부터 재목이 크면 쓰여지기 어려웠네.
賞析
이 시는《杜少陵集》15권에 실려 있는 바, 蘷州(四川省 奉節縣)의 諸葛亮의 祠堂 앞에 있는 늙은 측백나무를 보고 노래한 것으로 大曆 元年(766)에 지은 것이다.《成都記》에 “諸葛公의 사당은 先主(劉備)의 廟 근처에 있는데, 古宅의 城 서쪽 先主의 사당 서쪽이 바로 武侯의 사당이다. 사당 앞에 두 그루의 큰 측백나무가 있는데 오래되고 커서 사랑할 만하므로, 杜子美가 이 行을 지어 재주는 있으나 쓰여지지 못함을 서글퍼한 것이다.” 하였다. 제갈량은 字가 孔明, 號가 臥龍, 시호가 武侯로, 그의 뛰어난 인품과 지략, 그리고 자신을 돌보지 않는 충성심으로 말미암아 그를 예찬한 시와 글이 많으며, 본서의 後集에 실려 있는〈出師表〉는 후대 수많은 志士들의 눈물을 자아내게 하는 명문으로 유명하다.
柳方善〈1388(우왕 14)-1443(세종 25)〉의《泰齋集》3권에 古柏을 읊은 시가 있다.
“홀로 빈 언덕에 서 있는 늙은 가지 길기도 하여라. 하늘이 특이한 물건을 냈으니 어찌 심상하겠는가. 고운 자태를 가지고 어찌 도리화와 다투겠는가. 다만 곧은 마음 보존하여 설상을 업신여기네. 추운 날씨인들 어찌 천년의 푸름을 바꾸겠는가. 성긴 그늘이지만 사시의 서늘함을 변치 않네. 재목이 커서 끝내 쓰여지기 어렵다고 말하지 마오. 일찍이 명당에 들어가 동량이 되었다네.[獨立空原老幹長 天生異物豈尋常 寧將艶態爭桃李 但保貞心傲雪霜 寒色肯移千載翠 疎陰不變四時凉 莫言材大終難用 曾入明堂作棟樑]”


역주
역주1 雪山 : 四川省 松潘縣 남쪽에 있는 岷山의 主峰을 이르는 바, 지금은 靈寶頂이라고 칭한다.
역주2 憶昨路繞錦亭東 : 錦亭은 成都에 있는 정자의 이름이다.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元註(《集千家註分類杜詩》)에 黃氏(黃鶴)와 趙氏(趙次公)는 모두 이 시가 夔州에서 지은 것이라고 하였다. 武侯의 사당이 成都에도 있고 夔州에도 있는데, 두 사당에 모두 측백나무가 있는 바, 이 시는 杜子美가 기주에 막 이르러 무후의 사당을 보고는 마침내 성도에서 본 것을 떠올리며 이 시를 지었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錦亭은 성도에 있다.” 하였다. 金隆의《勿巖集》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3 先主武侯 : 先主는 劉備를 가리키고, 武侯는 諸葛亮의 시호이다.
역주4 窈窕丹靑戶牖空 : 窈窕는 깊고 그윽한 것으로, 窈窕丹靑은 사당의 채색을 가리킨 것이다.
역주5 盤踞 : 龍盤虎踞의 줄임말로 측백나무가 땅에 뿌리를 내린 모습이 마치 용이 서린 듯 호랑이가 걸터앉은 듯 굳세고도 거대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6 未辭剪伐誰能送 : 李德弘은 “이 측백나무는 베어져 쓰임을 마다하지 않으나 누가 능히 가져다가 쓸 수 있겠는가 라고 말한 것이다.” 하였다. 金隆은 “送은 遣字의 뜻이다.” 하였다.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