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戱韋偃爲雙松圖歌
杜甫
天下幾人畵古松

絶筆長風起纖末하니
滿堂動色嗟神妙
兩株하고
屈鐵交錯廻高枝

松根胡僧憩寂寞하니
厖眉皓首無住이라
偏袒右肩注+偏袒右肩 : 西域事佛之禮露雙脚하니
葉裏松子僧前落이라
韋侯韋侯數相見하니
이라
已令拂拭光凌亂하니
請公放筆爲直幹이라注+請公放筆爲直幹 : 韋偃 松枝不作直幹이라 故戱之云이라


장난삼아 韋偃이 그린 雙松圖를 노래함
두보
천하에 몇 사람이나 老松을 잘 그리는가
畢宏은 이미 늙었고 韋偃은 젊다네.
붓을 놓자 긴 바람이 가는 붓끝에서 일어나니
가득한 사람들 낯빛 변하며 신묘함을 감탄하네.
두 그루 소나무는 이끼 낀 껍질 처참하게 갈라졌고
굽은 쇠가 뒤엉킨 듯 높은 가지에 감겨져 있네.
흰 줄기는 썩은 뼈대 꺾여 龍虎가 죽은 듯하고
검은 잎은 太陰에 들어 우레와 비가 드리운 듯하여라.
소나무 뿌리에는 胡僧이 적막히 쉬고 있으니
긴 눈썹 흰 머리에 마음도 정처 없다오.
오른쪽 어깨 드러내고注+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것은 서역에서 부처를 섬기는 禮이다. 두 발도 맨발인데
솔잎 속의 솔방울 중 앞에 떨어지네.
韋侯여! 韋侯여! 우리 자주 만나니
내게 한 필의 좋은 東絹이 있어
소중히 여김 錦繡段 못지 않다오.
이미 잘 털고 닦음에 빛이 현란하니
부디 그대는 붓을 대어 곧은 줄기의 소나무 그려 주게.注+韋偃이 소나무 가지를 그릴 적에 곧은 가지를 그리지 않았으므로 희롱한 것이다.
賞析
이 시는《杜少陵集》9권에 실려 있는 바, 上元 元年(760)에 韋偃이 그린〈雙松圖〉를 보고 그 절묘함을 찬미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畢宏已老韋偃少 : 畢宏은 唐나라 大曆 연간에 給事中을 지냈으며 老松을 잘 그려 유명하였고, 韋偃은 唐나라 때 少監을 지냈는데 山水와 人物을 잘 그렸고 특히 松石에 뛰어났다.
역주2 慘裂苔蘚皮 : 慘裂은 껍질이 깊숙이 찢겨짐을 나타낸 것으로, 李德弘의《艮齋集》 續集 4권에 “慘字를 쓴 것이 가장 좋다.” 하였다.
역주3 白摧朽骨龍虎死 黑入太陰雷雨垂 : 李德弘은 “소나무의 흰 줄기는 용과 호랑이가 죽어서 썩은 뼈대가 꺾여져 있는 듯하고 검푸른 잎은 우레와 비가 내려서 太陰에 들어간 듯함을 말한 것이니, 이는 古松이 黑白色의 기괴한 형상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하였다.
역주4 : 착
역주5 我有一匹好東絹 重之不減錦繡段 : 東絹은 비단의 명산지인 東川 陵州에서 나오는 鵞溪絹이며 錦繡段은 수놓은 좋은 비단이다.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