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夏日李公見訪
杜甫
李炎 爲太子家令이라 一本云李家令見訪이라
遠林暑氣薄하니
公子過我遊
貧居類村塢하니
僻近城南樓
傍舍頗淳朴하여
所願亦易求
隔屋問西家호되
借問有酒
牆頭過濁醪하여
展席俯長流
淸風左右至하니
客意已驚秋
巢多衆鳥鬪
葉密鳴蟬稠
苦遭此物聒하니
孰語吾廬幽
水花晩色靜하니

預恐樽中盡하여
更起爲君謀注+預恐樽中盡 更起爲君謀 : 荷花淸潔 猶淸人之神思 只恐樂有餘而盃不足이라 故云云이라


여름날에 李公이 방문해 주다
두보
李炎이 太子家令이 되었다. 一本에는 “李家令이 방문해 주다.”라고 되어 있다.
먼 숲에 더운 기운 엷은데
公子가 나를 방문하여 왔네.
가난한 거처 마을의 언덕과 비슷해
궁벽하게 城 남쪽 누대에 가까이 있다오.
이웃집은 자못 순박하여
원하는 바 구하기 쉽네.
담 넘어 서쪽 집에 묻되
혹시 술 있느냐고 물었더니
담장 위로 濁酒 넘겨 주어
자리 펴고 길게 흘러가는 물 굽어보며 마신다오.
시원한 바람 좌우에서 불어오니
손님의 마음 이미 가을인가 놀라네.
둥지가 많으니 뭇새들 다투고
잎이 빽빽하니 우는 매미 많구나.
이 사물들의 시끄러움 괴로이 만나니
누가 내 집이 그윽하다 말하는가.
연꽃이 저녁빛에 조용하니
거의 손님을 만류하여 머물게 할 수 있네.
미리 술동이에 술이 다할까 두려워하여
다시 일어나 그대 위해 주선하노라.注+연꽃의 청결함은 깨끗한 사람의 정신과 생각 같으니, 다만 즐거움은 유여하나 술잔이 부족할까 두려우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賞析
이 시는《杜少陵集》3권에 실려 있는 바, 天寶 13년(754) 長安에서 지은 것이다. 李公은 李炎으로 宗室인 蔡王 李房의 아들이다. 이때 太子家令으로 있었는데, 여름 어느 날 이공의 방문을 받고는 그와 함께 서로 對酌하면서 즐기는 흥취를 읊은 것이다.


역주
역주1 : 否
역주2 庶足充淹留 : 充은 ‘감당하다’, 또는 ‘충족하다’의 뜻으로 보인다. 李德弘의 《艮齋集》續集 4권에 “充은 갖춤[備]과 같고 淹留는 객을 만류하여 더 머물게 하는 것이다. 집이 가난하여 손님을 대접할 것은 없고 오직 연꽃 경치만이 족히 손님을 만류하여 떠나지 못하게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 시에서는 ‘充’字가 가장 좋다.”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하일이공견방 490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