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定慧院海棠
蘇軾
院在黃州 〇 子瞻序云 寓居定惠院之東하니 雜花滿山이라 有海棠一株하니 土人不知貴也
江城地瘴蕃草木하니
只有名花苦幽獨이라
嫣然一笑竹籬間하니
桃李漫山總麤俗이라
也知造物有深意하여
故遣佳人在空谷이라
自然富貴出天姿하니
不待金盤薦華屋이라
朱脣得酒暈生臉하고
翠袖卷紗紅映肉이라注+朱脣得酒暈生臉 翠袖卷紗紅映肉 : 此二句 形容花之顔色 最妙
林深霧暗曉光遲하니
日暖風輕春睡足이라
雨中有淚亦悽慘이요
月下無人更淸淑이라
先生食飽無一事하여
散步逍遙自捫腹이라
不問人家與僧舍하고
拄杖敲門看脩竹이라
忽逢絶艶照衰朽하니
歎息無言揩病目이라
陋邦何處得此花
無乃好事移西蜀
寸根千里不易到
銜子飛來定鴻鵠이라
天涯流落俱可念이니
爲飮一樽歌此曲이라
明朝酒醒還獨來
那忍觸


定慧院의 해당화
소식
定慧院은 黃州에 있다.
〇 蘇子瞻의 序에 이르기를 “定慧院의 동쪽에 우거하니 이 꽃 저 꽃이 산에 가득하였다. 해당화 한 그루가 있었는데 그 지방 사람들은 이 꽃이 귀한 줄을 몰랐다.” 하였다.
江城이라 땅이 낮고 습하여 초목 무성한데
다만 유명한 꽃 외로움 견디고 이 산중에서 자라네.
방긋이 대나무 울타리 사이에 피어 있으니
桃李花 산에 널렸으나 모두 거칠고 속되구나.
또한 造物主가 깊은 뜻 있어
짐짓 佳人을 보내어 빈 골짝에 있게 함 아노라.
자연스러운 부귀의 모습 天姿에서 나왔으니
금쟁반에 담아 화려한 집에 올릴 필요 없다오.
붉은 입술에 술을 마셔 뺨이 붉게 달아오르는 듯
푸른 소매에 깁을 걷어 붉은 살이 비추는 듯하네.注+이 두 句는 꽃의 안색을 형용한 것이 가장 묘하다.
숲 깊고 안개 자욱해 새벽빛 더디니
햇빛 따뜻하고 바람 가벼워 봄잠 충분해라.
빗속에 눈물 흘리니 또한 처참하고
달 아래 사람 없으니 더욱 깨끗해라.
선생은 배불리 먹고 할 일 없어
산보하고 소요하며 스스로 배 문지른다오.
人家나 절간 따지지 않고
지팡이로 문 두드려 울창한 대나무 구경하네.
홀연히 아름다운 꽃 만나 늙은 이 몸 비추니
탄식하며 말없이 병든 눈 훔치노라.
누추한 고을 어느 곳에서 이런 꽃 얻었는가
好事家가 西蜀에서 옮겨 온 것 아닌가.
한 치의 뿌리도 천 리 멀리 오기 쉽지 않으니
씨를 머금고 날아온 것 분명 기러기와 고니리라.
天涯에 멀리 流落하는 신세 함께 생각할 만하니
위하여 한 잔 술 마시며 이 곡조 노래하노라.
내일 아침 술 깨어 다시 홀로 오면
눈처럼 꽃잎 어지럽게 질 것이니 어찌 차마 손대겠나.
賞析
이 시는《蘇東坡集》3책 11권에 실려 있는 바, 동파가 元豐 3년(1080) 2월 黃州로 좌천되어 定惠院에 寓居하면서 지은 것이다. 海棠花는 동파의 고향인 西蜀에서 나는 꽃으로, 산야에 만발한 桃李花와는 달리 세속에서는 보기 드문 꽃이다. 동파는 이 꽃을 자신에게 비유하여 자신의 淸絶함과 현재의 불우한 처지를 읊었다.
李滉〈1501(연산군 7)-1570(선조 3)〉의《退溪集》1권과 조선 成汝學의《鶴泉集》2권, 李選〈1632(인조 10)-1692(숙종 18)〉의《芝湖集》1권에 이 시에 次韻한 시가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雪落紛紛 : 金隆의《勿巖集》4권에 “꽃이 붉음을 말하면서 눈에 비유한 것은 그 색을 취한 것이 아니라 다만 꽃이 눈처럼 쉽게 사라짐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정혜원해당 668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