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戱作花卿歌
杜甫(子美)
成都猛將有花卿하니
學語小兒知姓名이라
勇如快鶻風火生하니注+勇如快鶻風火生 : 南史 曹景宗 謂所親曰 我昔在鄕里 騎快馬如龍하여 覺耳後生風하고 鼻尖出火하니 此樂 使人忘死라하니라
見賊唯多身始輕이라

하니

旣稱絶世無하니


장난삼아 지은 花卿의 노래
두보(자미)
成都의 맹장 중에 花卿이란 분 있으니
말 배우는 어린아이도 그의 이름 안다오.
용맹하기 날쌘 매와 같아 바람과 불 일으키며 달리니注+《南史》에 曹景宗이 친한 사람에게 이르기를 “내가 옛날 향리에 있을 적에 용처럼 잘 달리는 말을 타고 가니, 귀 뒤에서 바람이 나오고 콧구멍에서 불이 나오는 것을 느꼈는 바, 이 즐거움이 사람으로 하여금 죽음을 잊게 한다.” 하였다.
적을 많이 보아야 몸이 비로소 가벼워지네.
緜州의 副使인 段子璋이 모반하여 柘黃 옷 입으니
우리 花卿이 소탕하여 당일로 평정하였네.
段子璋의 해골 피로 범벅이 되었는데
손으로 들어 崔大夫에게 던져 주었다오.
李侯가 다시 節度使 되니
사람들은 우리 花卿이 세상에 다시 없는 장수라 말하네.
이미 세상에 다시 없는 인물이라 일컬어지니
天子께서 어찌 불러다가 京都를 지키게 하지 않으실까.
賞析
제목에 ‘戱作’이란 말을 쓴 것은 시의 마지막 두 구가 표면적으로는 花卿을 매우 칭찬한 듯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라 한다. 花卿은 花敬定으로, 이 시에 나오는 사건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上元 2년(761) 4월 梓州刺史 段子璋이 반란을 일으켜 東川節度使 李奐이 있던 緜州를 습격하여 스스로 梁王이라 칭하고 黃龍이라 改元하였으며 면주를 黃龍府로 개칭하고 百官을 설치하였다. 5월에 成都尹인 崔光遠이 부하 장수 花敬定을 이끌고 단자장을 공격하여 면주를 탈환하고 그를 잡아 목 베었다. 뒤에 화경정이 단자장을 죽이고 東蜀을 크게 약탈하자, 천자는 최광원이 군사들을 제대로 단속하지 못한 것에 분노하여 그를 파면시켰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화경정의 잘못은 말하지 않고 그가 용감하게 싸워 반란을 평정한 점을 주로 언급하였다.


역주
역주1 緜州副使著柘黃……手提擲還崔大夫 : 緜州副使는 段子璋을 가리키며 柘黃은 산뽕나무로 물들인 赤黃色으로 隋ㆍ唐 이래 帝王의 服色이 되었는 바, 곧 단자장이 면주에서 반란을 일으킨 것을 의미한다. 崔大夫는 成都尹으로 있던 崔光遠을 가리킨다.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緜州副使는 관직으로 말한 것이고 子璋은 이름으로 말한 것이니, 자연 중첩되지 않는다. 杜詩의 註를 살펴보건대 ‘崔光遠이 劍南節度使가 되었는데, 이때 段子璋이 반란을 일으키자, 東川節度使 李奐이 패주하여 최광원에게 의지하였다. 최광원의 牙將인 花卿이 단자장을 토벌하여 베어 죽였다.’ 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화경이 손으로 단자장의 해골을 들어 최광원에게 주었다고 말한 것이다. 還은 준다는 뜻이다.” 하였다. 金隆의 《勿巖集》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2 李侯重有此節度 : 李侯는 東川節度使로 있던 李奐을 가리킨다. 당시 李奐은 段子璋의 공격을 받고 成都로 도망해 있다가 花敬定이 반란을 평정하자, 다시 東川으로 돌아왔다. 李德弘은 “李奐이 이미 패주하여 절도사의 직책을 잃었는데, 花卿이 段子璋을 토벌하여 목을 베었으므로 이환이 다시 절도사의 직책을 보유하게 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勿巖集》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3 人道我卿絶世無 : 絶世無는 세상에 없는 장수라는 뜻으로, 李德弘은 “화경이 이미 반란을 평정한 뒤에 功을 믿고 포악하게 노략질하였는데 최광원이 이를 금지시키지 못하였다. 여기에서 말한 다시 없는 장수라는 것은 화경을 비판하여 풍자한 것이다.” 하였다. 金隆의《勿巖集》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
역주4 天子何不喚取守京都 : 京都는 洛陽인데, 당시 安祿山의 장수인 史思明이 낙양을 점거하고 있었는 바, 이것을 말하려는 것이 본의였으므로 제목에 戱作이라 하였다.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