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明妃曲
王安石(介甫)
元帝後宮人旣多하여 不得常見이라 乃使畵工毛延壽 圖其形하고 按圖召幸하니 宮人 皆賂畵工하여 多者 十萬金이요 少者 不減五萬이라 王嬙 字昭君이니 自恃其貌하고 獨不與하다 及匈奴入朝 選宮人配之할새 昭君 以圖當行이라 入辭 光彩動人하여 竦動左右하니 天子重信外國하여 悔恨不及하다 窮究其事하여 毛延壽竟棄市하니라 〇 晉避司馬昭諱 故改昭君爲明妃하니라
明妃初出漢宮時
淚濕春風鬢脚垂
低回顧影無顔色이나
尙得君王不自持

意態由來畵不成하니
當年枉殺毛延壽
一去心知更不歸하니
可憐著盡漢宮衣
寄聲欲問塞南事
只有年年鴻雁飛
佳人萬里傳消息하니
好在莫相憶이라
君不見咫尺
이라


명비곡
왕안석(개보)
元帝는 후궁이 많아 항상 볼 수가 없었다. 마침내 화공인 毛延壽로 하여금 후궁들의 얼굴을 그리게 하고 그림을 보고서 불러 총애하니, 궁녀들이 모두 화공에게 뇌물을 주어 많게는 십만금이었고 적어도 오만금에 밑돌지 않았다. 王嬙은 字가 昭君인데 스스로 자신의 빼어난 용모를 믿고 홀로 화공에게 뇌물을 주지 않았다. 흉노가 입조하자 궁녀들을 뽑아 시집보내었는데 소군이 그림에 의거하여 시집가게 되었다. 들어가 황제에게 하직할 적에 용모가 아름다워 광채가 사람들에게 진동하여 좌우를 놀라게 하니, 天子는 외국과의 신의를 중하게 여겨 후회하고 한스러워하였으나 미칠 수가 없었다. 이 일을 끝까지 규명하여 모연수는 마침내 죽음을 당하고 시신이 버려졌다.
〇 晉나라는 司馬昭의 諱를 피하였으므로 昭君을 고쳐 明妃라 하였다.
明妃가 처음 漢나라 궁궐 나갈 때에
봄바람에 눈물 젖은 귀밑머리 늘어져 있었네.
배회하며 그림자 돌아보아 안색이 없었으나
오히려 君王은 스스로 心神 유지할 수 없었다오.
돌아와서는 丹靑의 솜씨 괴이하게 여겼으니
눈에 들어온 것 평소 일찍이 없던 미인이었다오.
뜻과 태도는 예로부터 그릴 수 없으니
당년에 헛되이 毛延壽 죽였네.
한번 가면 다시 돌아오지 못할 줄 알았으니
가련하게도 漢나라 궁중의 옷 모두 입고 갔다네.
소식 전하여 변방 남쪽의 일 묻고자 하나
다만 해마다 기러기만 날 뿐이었다오.
佳人이 만리에서 소식 전해오니
氈城에서 잘 지내니 서로 생각하지 말라 하였네.
그대는 보지 못했나 지척의 長門宮에 阿嬌 유폐한 것
人生의 失意는 남북의 구별 없다오.


역주
역주1 歸來却怪丹靑手 入眼平生未曾有 : 金隆의《勿巖集》4권에 “이 구는 종전에는 怪字와 眼字를 모두 毛延壽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모연수가 그동안 그린 자신의 그림 솜씨를 괴이하게 여겼으니, 평소 자신의 눈에 들어온 여인 중에 일찍이 王昭君처럼 아름다운 미인이 없었다. 그러므로 미인을 그리고자 하였으나 그릴 수가 없음을 이른 것’이라고 풀이하였다. 그러나 지금 내가 다시 자세히 살펴보니, 이 설명은 온당치 못하다. 군왕이 왕소군을 본 뒤에 화가인 모연수가 곱고 미운 것을 마음대로 조작한 것에 노하였다. 이에 임금의 마음이 놀라고 탄식하여 평소 눈에 들어온 미인이 많았지만 일찍이 이와 같은 사람은 없었음을 이른 것이다. 이 뜻이 자못 前者의 설보다 낫다. ‘歸來’는 실제로 여기에 왔다는 것이 아니라 이 뒤로부터의 뜻이다. ‘怪’는 성내고 책망한다는 뜻이다.” 하였다.
역주2 氈城 : 毛氈을 쳐서 城처럼 만든 것으로 곧 匈奴가 머무는 곳을 이른다.
역주3 長門閉阿嬌 : 長門은 漢代의 宮殿 이름인데, 孝武皇帝의 陳皇后가 거처하였다. 진황후는 小字가 阿嬌인데 후에 총애를 잃고 쓸쓸하게 장문궁에 거처하다가 司馬相如를 통해 문장으로 武帝를 깨우쳐 다시 총애를 받았다. 이후로 총애를 잃고 쓸쓸하게 거처하는 여자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武帝가 어려서 누구에게 장가들고 싶느냐고 묻자, 阿嬌를 가리키며 “만약 阿嬌를 아내로 삼으면 金屋을 지어 살게 하겠다.”고 하였다 한다.《漢武故事》
역주4 人生失意無南北 : 失意를 得意로 인용한 곳이 여러 곳에 보인다. 이 경우 ‘인생은 뜻만 얻으면 남과 북이 상관 없다’는 의미로, 徐居正의《東人詩話》와 아래에 보이는 辛夢參의〈明妃曲〉詩序에는 모두 ‘得意’로 표기되었음을 밝혀둔다.
동영상 재생
1 명비곡 570
동영상 재생
2 명비곡 466
동영상 재생
3 명비곡 265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