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水仙花
黃庭堅(魯直)
俗呼爲金盞銀臺花是也
하니
水上盈盈步微月이라
是誰招此斷腸魂하여

含香體素欲傾城하니
이라
하니
出門一笑大江橫이라


수선화
황정견(노직)
수선화는 세속에서 金盞銀臺花라고 부르는 것이 이것이다.
물결을 능멸하는 神仙 버선에서 먼지 일어나니
물 위에 사뿐사뿐 희미한 달빛 아래 걷는 듯하네.
누가 이 애끓는 魂 불러다가
차가운 꽃 만들어 애절한 시름 붙였는가.
향기 머금은 흰 몸 城을 기울이려 하니
山礬花는 아우요 梅花는 형이라오.
앉아서 대함에 참으로 꽃에 번뇌 당하니
문 나가 한번 웃음에 큰 강 비껴 흐르누나.
賞析
이 시는《山谷詩注》15권에 실려 있는데, 제목이 ‘왕충도가 수선화 50가지를 보내왔으므로 흔연히 마음에 들어 시를 짓다[王充道送水仙花五十枝欣然會心爲之作詠]’로 되어 있다. 수선화를 신선에 비유하여 絶世의 아름다움을 찬미하였으며, 끝에는 ‘一笑大江橫’이라 하여 超脫하여 自得한 경지를 나타내었다.
宋時烈〈1607(선조 40)-1689(숙종 15)〉의《宋子大全》2권에 水仙花를 읊어 畏齋 李季周에게 부친 시가 있으며, 金昌業〈1658(효종 9)-1721(경종 1)〉의《老稼齋集》2권에도 수선화라는 제목의 시가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凌波仙子生塵襪 : 凌波仙이란 물결을 능멸하는 神仙이란 뜻으로 곧 水仙花의 이름을 빌어 神仙의 꽃임을 나타낸 것이다. 이 글은 曹植의〈洛神賦〉에 “물결을 능멸하여 가볍게 거니니, 비단 버선에서 먼지가 일어나네.[凌波微步 羅襪生塵]”한 내용을 인용하여 쓴 것이다.
역주2 種作寒花寄愁絶 : 金隆의《勿巖集》4권에 “絶은 極字와 같으니, 근심이 지극한 것이다.” 하였다.
역주3 山礬是弟梅是兄 : 山礬花는 일명 七里香花, 또는 鄭花라고도 하는데 매화보다 조금 늦게 피므로 아우라고 칭한 것이다.
역주4 坐對眞成被花腦 : 水仙花를 美人에 비유하여 이 꽃을 보고 있노라면 저절로 매료되어 번뇌를 이룬다고 말한 것이다. 原文의 成字는 별뜻이 없다고 한다.
동영상 재생
1 수선화 387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