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襄陽歌
李白(太白)
落日欲沒峴山西하니注+落日欲沒峴山西 : 晉羊祜卒 百姓 於峴山建碑하니 望其碑者莫不流涕 因名爲墮淚碑라하니라
接䍦花下迷注+倒著(착)接䍦花下迷 : 晉山簡 每至高陽習家池하여 飮輒大醉하고 歸歌曰 山公時一醉하여 逍遙高陽池 日暮倒載歸하여 酩酊無所知 時時騎白馬하고 倒著白接䍦 擧鞭謝葛强하니 何如幷州兒오하니라
襄陽小兒齊拍手하고
攔街爭唱白銅鍉注+白銅鍉 : 樂府 有銅鍉歌하니 釋云 胡人歃血之器 韻府 作鞮하니 革履連脛이니 卽今靴라하니 恐非
傍人借問笑何事
山翁醉似泥

鸚鵡杯
百年三萬六千日
一日須傾三百杯
遙看漢水鴨頭綠하니
恰似葡萄初醱醅
此江若變作春酒
壘麴便築糟丘臺
하고
笑坐金鞍歌
車傍側掛一壺酒하니
鳳笙龍管行相催
咸陽市上嘆黃犬注+咸陽市上嘆黃犬 : 秦李斯臨刑 嘆曰 安得復牽黃犬하여 遊東門하여 逐狡兎乎
何如月下傾
君不見晉朝

淚亦不能爲之墮
心亦不能爲之哀
淸風明月不用一錢買하니
玉山自倒非人推注+玉山自倒非人推 : 晉嵇康 醉倒하면 人謂如玉山之將頹라하니라
이여
李白與爾同死生이라
今安在
江水東流猿夜聲이라


양양가
이백(태백)
석양이 峴山 서쪽에 지려 하는데注+晉나라 羊祜가 죽자 백성들이 峴山에 碑를 세우니, 이 비를 바라보는 자는 눈물을 흘리지 않는 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인하여 ‘墮淚碑’라고 하였다.
술 취해 접리 거꾸로 쓰고 꽃 아래에 혼미하네.注+晉나라 山簡은 언제나 高陽의 習家池에 이르러 술을 마시고 크게 취하여 돌아오면서 노래하기를 “山公이 때로 한 번 취하여 高陽의 못에 소요하네. 날이 저물자 수레에 드러누운 채 돌아와 술에 취하여 아는 바가 없네. 때때로 백마를 타고 거꾸로 쓴다오. 채찍을 들어 葛强에게 사례하니 幷州의 아이들과 어떠한가.” 하였다.
襄陽의 小兒들 일제히 손뼉 치며
길거리 막고 다투어 白銅鍉注+《樂府》에〈銅鍉歌〉가 있는데 해석하기를 “鍉는 오랑캐들이 맹세할 때에 피를 마시는 그릇이다.” 하였다.《韻府》에는 鞮로 되어 있는데 註에 “정갱이까지 올라오는 가죽 신발이니, 바로 지금의 靴이다.” 하였는데, 이는 잘못인 듯하다. 부르누나.
옆사람 무슨 일로 웃느냐고 물으니
山翁이 취하여 泥蟲과 같음 우습다네.
노자의 술 국자와 앵무의 잔으로
백년 삼만 육천 일에
하루에도 모름지기 삼백 잔은 기울여야 하네.
멀리 漢水 바라보니 오리 머리처럼 푸르러
흡사 포도주가 처음 발효하는 것 같구나.
이 강물 만약 변하여 봄술 되게 한다면
쌓인 누룩으로 곧 糟丘의 누대 쌓으리라.
금안장의 駿馬와 小妾 바꾸고는
웃으며 금안장에 앉아 落梅歌 부르누나.
수레 곁에 한 병의 술 기울여 걸어놓으니
봉황 모양 笙簧과 용그린 피리로 가면서 서로 재촉하네.
咸陽의 시장에서 黃犬을 한탄함이注+秦나라 李斯가 처형될 때에 탄식하기를 “어떻게 하면 다시 누런 개를 끌고 東門에서 놀아 교활한 토끼를 잡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어찌 달 아래에서 금술잔 기울임만 하겠는가.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晉나라 羊公의 한 조각 비석이
용머리와 거북좌대 깨져 떨어지고 이끼만 끼어 있네.
눈물도 이 때문에 떨어뜨릴 수 없고
마음도 이 때문에 슬퍼할 수 없다오.
淸風明月은 一錢도 주고 살 필요 없으니
玉山이 절로 무너졌고 사람이 떠민 것 아니라오.注+晉나라 嵇康이 술에 취하여 쓰러지면 사람들은 “玉山이 장차 무너지려는 것과 같다.” 하였다.
舒州의 술 국자와 力士의 술 양푼이여
李白은 이것들과 死生을 함께하리라.
襄王의 雲雨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강물은 동쪽으로 흘러가고 원숭이는 밤에 슬피 우누나.
賞析
이 시는《李太白集》7권에 실려 있다. 李白은 원래 襄陽에 잠시 살았는데, 사람은 간데 없고 터만 남아 있는 이곳의 옛 유적을 빌어 인생은 짧으니 及時行樂하자는 자신의 생각을 십분 말한 것이다. 襄陽에는 晉나라 羊祜의 墮淚碑와 山簡이 술에 취해 다녔던 習家池가 있는데, 이것을 모두 詩材로 삼았다. 시의 내용 중에 “淸風明月不用一錢買 玉山自倒非人推”는 특히 재미있는 구이다. ‘玉山倒’는《世說新語》14권에 보이는 내용으로 술에 취한 모습을 묘사한 것인데, ‘玊山自倒’라 하여 네 글자로 만들고 그 아래에 ‘非人推’라는 세 글자를 넣음으로써 참신하게 만들었다. 歐陽修는 바로 이 구절에 대하여 “太白의 橫放을 엿볼 수 있으니, 그가 千古를 놀라게 한 이유가 본래 여기에 있지 않겠는가.”라고 평하였다.


역주
역주1 : 착
역주2 笑殺(쇄)山翁醉似泥 : 殺는 煞로도 쓰는 바 ‘매우’라는 뜻이고 山翁은 晉나라의 名士인 山簡을 가리키며, 泥는 南海에 산다는 뼈 없는 벌레로 물에 있을 때에는 살아 움직이지만 물이 없는 곳에서는 진흙덩이와 같다고 한다.
역주3 : 쇄
역주4 鸕鶿杓 : 가마우지 모양으로 생긴 술국자, 또는 가마우지의 목처럼 자루가 긴 술국자라 한다.
역주5 金鞍駿馬換小妾 : 後魏 사람 曹彰은 준마를 보면 기어이 사야만 직성이 풀렸는데, 주인이 말을 아껴 팔지 않으면 愛妾과 바꾸었다고 한다.《獨異志》
臺本에 ‘喚’자로 되어 있으나 本集에는 ‘千金駿馬換小妾’으로 되어 있는 바, 本集을 따라 ‘換’자로 바로잡았다.
역주6 落梅 : 악곡의 이름으로 옛날 羌笛의 樂曲인 落梅花曲을 이른다.
역주7 金罍 : 구름과 우레의 모양을 그린 금술잔을 이른다.
역주8 羊公一片石 : 晉나라 羊祜의 추모비를 이른다. 양호는 荊州諸軍事都督으로 襄陽에 주둔하였는데 그가 죽은 후 그 部가 峴山에 속하게 되었다. 백성들에게 많은 은혜를 베풀었으므로 생전에 그가 노닐던 땅에 비석과 사당을 세워 매년 제사를 지냈는데, 보는 자들이 모두 그를 사모하여 눈물을 흘리므로 杜預가 墮淚碑란 이름을 붙였다.《北堂書鈔》
역주9 龜龍剝落生苺苔 : 본집에는 ‘龜龍’이 ‘龜頭’로 되어 있다.
역주10 舒州杓力士鐺 : 舒州 同安郡에서 생산되는 술 국자와 발에 力士의 얼굴을 새긴 술이나 차를 데우는 가마솥 모양의 그릇이다.
역주11 襄王雲雨 : 楚나라 襄王이 宋玉과 함께 雲夢의 臺에 올라가 高唐의 경치를 구경하였다. 구름 기운이 서려 있는 것을 보고 王이 무슨 기운이냐고 묻자, 송옥이 “전에 先王께서 고당에서 노닐다가 巫山의 선녀를 만나 雲雨의 情을 나누었습니다. 그 선녀가 헤어지면서 ‘저는 巫山의 남쪽에 사는데 아침에는 떠다니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됩니다.’ 하였는데 바로 그 떠다니는 구름 기운입니다.”라고 하였다.《文選》〈高唐賦序〉에 의하면 先王 즉 楚 懷王이 선녀와 만난 것인데, 여기서는 襄王의 故事로 되어있다.
동영상 재생
1 양양가 571
동영상 재생
2 양양가 624
동영상 재생
3 양양가 792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