嘲王歷陽不肯飮酒
李白
地白風色寒
하니雪花大如手
라라浪撫一張琴
하고虛栽五株柳
라空負頭上巾
하니오注+ 吾於爾何有 : 語에 何有於我哉리오하니라 太白이 謂旣不飮酒면 則虛負張琴五柳與葛巾耳라 
                        		
                        		
                        		
	                     		
			                       	
			                       	
	                     		
	                     		
		                        
                        	
                        	
                        	
                        	
                   			
                        	
                        	
                        	
                        	
	                       	
	                       	
	                       	
	                       	
							                       	
	                        
	                        
	                        	
	                        
	                        	
	                        
	                        
	                        
                        	
		                        
		                        
		                        
		                        
                        		
                        	
		                        
		                        
		                        
		                        	
		                        	
		                        
		                        
                        		
                        		
                        			
			                        
			                        	술마시기를 좋아하지 않는 王歷陽을 조롱하다
이백
땅은 희고 바람 기운 차가운데
눈꽃 크기 손바닥만 하네.
陶淵明이
잔의 술 마시지 않는 것 참 우습구려.
부질없이 거문고 하나 어루만지고
헛되이 버드나무 다섯 그루 심어 놓았네.
부질없이 머리 위의 頭巾 저버리니
내 그대에게 어쩌겠나.
注+《論語》에 “무엇이 나에게 있는가” 하였다. 李太白이 이르기를 “이미 술을 마시지 못하면 거문고 한 개와 버드나무 다섯 그루와 갈건을 헛되이 저버리는 것이다.” 하였다.이 시는《李太白集》23권에 실려 있다. 王歷陽이 누구인지는 분명히 알 수 없다. 다만 《唐書》 〈地理志〉에 “和州 歷陽郡에 歷陽縣이 있다.”고 하였으니, 왕역양은 歷陽縣令으로 王氏姓을 가진 이백의 친구인 듯하다. 시에 나오는 浪, 虛, 空 세 글자는 모두 왕역양이 술을 마시려 하지 않음을 조롱해서 한 말이다.
趙任道〈1585(선조 18)-1664(현종 5)〉의 《澗松集》2권에 ‘舟中에서 道夫와 술을 권하며 서로 해학을 하였는데, 道夫가 술을 마시려고 하지 않으므로 희롱하여 지었다’는 한 絶句가 보인다.
“忘憂亭 위에 사람은 이미 떠났고 망우정 아래에 물만 부질없이 흘러가네. 세상을 피해 신선을 배웠지만 오히려 이와 같으니 그대 지금 취하지 않고 무엇을 구하려 하는가.[忘憂亭上人已去 忘憂亭下水空流 逃世學仙猶若是 君今不醉欲何求]”
			                              
                        			
                        		
                        		
	                     		
			                       	
			                       	
	                     		
		                        
                        	
                        	
                   			
                   			
                   			
	                        
	                        
	                        	
	                        
	                        
	                        
	                        
	                        
	                        
	                        
	                        
	                        
	                        
	                        	
				                        
			                        		
			                        		
			                        		
			                        		
			                        		
			                                     
	                                           	
			                                    
			                                    	
			                                    
			                                    
			                                    	1
			                                        조왕력양불긍음주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