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0-1 問 必有事焉注+孟子公孫丑上篇曰 必有事焉而勿正이라하니라 當用敬否잇가
是涵養一事 必有事焉 須用集義 只知用敬이요 不知集義 却是都無事也니라
孟子言養氣注+孟子公孫丑篇曰 我善養吾浩然之氣라하니라曰 必有事焉이라하시고 又曰 是集義注+同篇曰 又曰 是集義所生者 非義襲而取之也라하니라注+孟子本註曰 集義 猶言積善이니 蓋欲事事皆合於義也所生者라하시니 人之所爲 皆合於義하야 自反無愧 此浩然之氣 所以生也
敬者 存心而已 若不集義 安得謂之必有事焉이리오
[張伯行 註] 此程子恐人以敬爲專是主靜하야 而流爲寂守之學也
或問必有事焉 當用敬否잇가하니 是疑孟子言必有事者 或是當用敬以持之 便是有所事也
程子言敬者
主一無適이니 乃是涵養一邊事
有事雖不離敬이나 而必有事焉者 須用集義工夫
蓋隨事合宜하야 積累以獲此心裁制之安 方是有事 若只知用敬하야 空洞洞把持在此하고 不知就事物上하야 體察其所當然之理 卻是都無一事也 何以言必有事乎
60-2 又問 義莫是中理否잇가
中理 在事注+按 所以中者 非吾心之裁制乎 然理在事上故 曰 中理在事라하니라하고 在心하니라
義者 吾心之裁制 中理者 合乎事理之宜也
故有在事在心之別이니라


60-1 “반드시 일삼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注+맹자孟子》〈공손추公孫丑 상편上篇〉에 이르기를 “반드시 일삼음이 있으나 효과를 미리 기대하지 말라.” 하였다. 은 마땅히 을 써야 합니까?” 하고 묻자, 〈명도선생明道先生이〉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함양涵養하는 한 가지 일이요 ‘반드시 일삼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모름지기 집의集義(의로운 일을 축적함)를 써야 하니, 다만 을 쓸 줄만 알고 집의集義할 줄을 모른다면 이는 모두 일삼음이 없는 것이다.”
맹자孟子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르는 것을 말씀하면서注+맹자孟子》〈공손추公孫丑 상편上篇〉에 이르기를 “나는 나의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잘 기른다.” 하였다. “반드시 일삼음이 있어야 한다.” 하였고, 또 말씀하기를 “이(浩然之氣)는 로운 일을 축적하여 생겨나는 것이다.”注+맹자孟子》의 같은 에 또 이르기를 “이것은 를 많이 축적하여 생기는 것이다. 가 하루 아침에 엄습하여 갑자기 취하는 것이 아니다.” 하였다.注+맹자孟子》의 본주本註에 “집의集義적선積善이라는 말과 같으니, 일마다 모두 에 합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였다. 하였으니, 사람의 행하는 바가 모두 의리義理에 부합하여 스스로 돌아보아 부끄러움이 없으면 이 호연지기浩然之氣가 생겨나는 것이다.
은 마음을 보존할 뿐이니, 만약 집의集義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반드시 일삼음이 있다고 이를 수 있겠는가.
[張伯行 註] 이는 정자程子가 사람들이 을 오로지 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여겨서 고요히 지키는 학문으로 흐를까 두려워한 것이다.
혹자或者가 묻기를 “‘필유사언必有事焉’은 마땅히 을 써야 합니까?’” 하였으니, 이는 맹자孟子가 말씀한 ‘필유사必有事’라는 것이 혹 을 써서 지켜야 하니, 이것이 곧 ‘일삼는 바가 있는 것인가’ 하고 의심한 것이다.
이에 정자程子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이라는 것은 주일무적主一無適이니 바로 함양하는 쪽의 일이다.
일삼음이 있는 것이 비록 을 떠나지는 않으나 ‘반드시 일삼음이 있다’는 것은 모름지기 집의공부集義工夫를 써야 한다.
일에 따라 마땅하게 하여 이것을 많이 쌓아 이 마음의 재제裁制하는 편안함을 얻는 것이 바야흐로 일삼음이 있는 것이니, 만약 다만 을 쓸 줄만 알아 부질없이 잡아서 여기에 두고, 사물상事物上에 나아가서 그 소당연所當然의 이치를 체찰體察할 줄 모른다면 이는 도리어 한 가지 일도 없는 것이니, 어찌 반드시 일삼음이 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또다시 묻기를 “는 이치에 맞는 것이 아닙니까?” 하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이치에 맞음은 일에 있고,注+살펴보건대 이치에 맞는 것이 내 마음의 재제裁制가 아니겠는가. 그러나 이치는 일에 있으므로 이치에 맞는 것이 일에 있다고 말한 것이다.는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다.”
는 내 마음의 재제裁制이고 이치에 맞음은 사리事理의 마땅함에 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에 있고 마음속에 있는 구별이 있는 것이다.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