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1-1 坎 維心亨이라
故行이면 有尙注+ 習坎 有孚 維心亨하니 行有尙이라한대 陽實在中하니 爲中有孚信이라 維心亨 維其心誠一故 能亨通이라 至誠 可以通金石, 蹈水火 何險難之不可亨也리오 行有尙 謂以誠一而行이면 則能出險하야 有可嘉尙이니 謂有功也 ○ 維心亨 按 程傳曰 維其心誠一故 能亨通이라하니 此以誠一爲重이요 橫渠曰 所以心通者 知有義理而已라하사 以不疑爲重하시니 程張語意不同이니라이라하니 外雖積險이나 苟處之 心亨不疑하면 則雖難이나 必濟而往有功也
坎爲重險이라
故曰積險이라
二五以剛居中이라 故外雖有積險이나 其中心 自亨通而無所疑懼也 心亨而無疑 則可以出險矣리라
61-2 今水臨萬仞之山 要下卽下하야 無復凝滯之在前注+ 張子全書 作坎하니라하나니 惟知有義理而已 則復何回避리오
所以心通이니라
〈易說 下同〉
以坎象而言이라
人於義理 苟能信之篤하고 行之決하야 如水之就下하면 則沛然而莫禦리니 何往而不心亨注+按 語雖好 而釋本文則不襯이니라리오


61-1 〈횡거선생橫渠先生이 말씀하였다.〉
감괘坎卦는 마음 때문에 형통하다.
그러므로 ‘가면 가상함이 있다.’注+단사彖辭〉에 “습감習坎은 정성이 있어 마음이 전일하게 형통亨通하니, 가면 가상嘉尙함이 있을 것이다.” 하였는데, 《역전易傳》에 “양실陽實이 가운데에 있으니, 가운데(心中)에 부신孚信이 있는 것이 된다. 유심형維心亨은 마음이 성실하고 한결같기 때문에 형통할 수 있는 것이다. 지성至誠금석金石을 관통하고 물과 불속에도 뛰어들 수 있으니, 어떤 험난함인들 형통하지 못하겠는가. 행유상行有尙은 성실함과 한결같은 마음으로 간다면 험함을 벗어나 가상嘉尙할 만함이 있음을 이르니, 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유심형維心亨은 살펴보건대 정이천程伊川의 《역전易傳》에는 “그 마음이 성실하고 한결같기 때문에 능히 형통할 수 있는 것이다.” 하였으니 이는 성실하고 한결같음을 중시한 것이요, 횡거橫渠는 “마음이 통하는 까닭은 의리義理가 있음을 알 뿐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여 의심하지 않음을 중시하였으니, 정자程子장자張子가 말씀한 뜻이 똑같지 않다.
하였으니, 밖은 비록 험함이 쌓여 있으나 만일 대처함에 마음이 형통하여 의심하지 않으면 비록 어려우나 반드시 구제하여 가면 공이 있는 것이다.
감괘坎卦중험重險(험이 거듭함)이 된다.
그러므로 험함이 쌓였다고 한 것이다.
이효二爻오효五爻양강陽剛으로 에 거하였으므로 밖에 비록 험함이 쌓여 있으나 중심中心이 스스로 형통하여 의심하고 두려워하는 바가 없는 것이니, 마음이 형통하여 의심이 없으면 험함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61-2 지금 물이 만 길의 에 임하여 내려가고자 하면 즉시 내려가 다시는 막히는 것이 앞에 있지 않으니,注+가 《장자전서張子全書》에는 으로 되어 있다. 오직 의리義理가 있음을 알 뿐이면 다시 어찌 회피하겠는가.
이 때문에 마음이 형통한 것이다.”
〈《횡거선생역설橫渠先生易說》에 보인다. 이하도 같다.〉
이는 감괘坎卦을 가지고 말씀한 것이다.
사람이 의리義理에 있어서 만일 믿기를 독실하게 하고 행하기를 과단하게 하여 물이 아래로 흘러가듯이 한다면 패연沛然하여 막지 못할 것이니, 어디를 간들 마음이 형통하지 않겠는가.注+살펴보건대 ‘어디를 간들 마음이 형통하지 않겠는가.’는 말은 비록 좋으나 본문本文을 해석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