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公曰 何謂賢人注+公又問 如何是賢人잇고이니잇고 孔子曰 所謂賢人者注+子言 所謂賢人者 德不踰閑注+依德而行不過其法이라하고 行中規繩注+所行所爲 有規矩準繩이라하며 言足以法於天下而不傷於身注+其言可爲天下取法하여 言滿天下로되 無口過故不傷身이라하고
道足化於百姓而不傷於本注+其道可化民이로되 亦不害於身이라하며 富則天下無宛注+ 音苑이라注+雖富有而無積財하고 施則天下不病貧注+及其散施하야는 則天下無告貧者하니 此賢者也注+此之謂賢人이라니이다


애공이 물었다. “어떤 사람을 賢人이라고 합니까?”注+애공이 또 묻기를 “어떤 사람이 현인입니까?”라고 한 것이다. 공자가 대답하였다. “이른바 현인이란,注+공자가 이른바 현인이라는 사람은 다음과 같다고 말한 것이다. 은 법도를 넘지 않고注+덕에 의지하여 행실이 법도를 넘지 않는 것이다. 행실은 준칙에 맞으며,注+하는 행위가 이 있는 것이다. 말은 천하에 법이 될 만하면서도 몸을 상하지 않고注+그 말은 천하 사람들이 법으로 취할 만하여 말이 천하에 가득하지만 말실수가 없기 때문에 몸을 상하지 않는 것이다.
는 백성을 교화할 만하면서도 根本(몸)을 해치지 않으며,注+그 도는 백성을 교화시킬 만하지만 또한 몸을 해치지 않는 것이다. 부유함에도 천하에 쌓아둔注+頭註:(쌓다)은 음이 이다. 재물이 없고注+비록 부유하지만 축적한 재물이 없는 것이다. 施惠하면 천하 사람들이 가난함을 걱정하지 않으니,注+재물을 흩어서 시혜함에 미쳐서는 천하 사람 중에 가난을 고한 자가 없는 것이다. 이런 사람이 賢者입니다.”注+이런 사람을 현인이라고 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7-5 : 저본의 표제에 “賢人”이라고 되어 있다.
역주2 준칙 : 원문의 ‘規矩準繩’에서 規는 원을 만드는 기구이고, 矩(구)는 方形을 만드는 기구이며, 準은 測平器이고, 繩은 먹줄로, 표준이나 법도를 비유할 때 흔히 사용하는 표현이다. ≪孟子≫ 〈離婁 上〉에 “성인께서 자신의 시력을 최대한 활용하시고 거기에 그림쇠, 곱자, 수준기, 먹줄 같은 도구를 만들어 이어지게 하였기 때문에, 네모, 원, 수평, 직선을 그려서 이루 다 쓸 수 없게 되었다.[聖人旣竭目力焉 繼之以規矩準繩 以爲方員平直 不可勝用也]”라고 하였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