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春秋左氏傳(1)

춘추좌씨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춘추좌씨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經]十有七年春正月丙辰 公會齊侯紀侯盟于黃注+黃 齊地하다
[經]二月丙午 公會邾儀父盟注+邾 魯地 稱字 義與蔑盟同 二月無丙午 丙午 三月四日也 日月必有誤하다
[經]夏五月丙午 及齊師戰于奚注+奚 魯地 皆陳曰戰 [附注] 林曰 此齊魯交兵之始 齊魯之兵 始於奚而終於하다
[經]六月丁丑 蔡侯封人卒注+十一年 大夫盟于折하다
[經]秋八月 蔡季 自陳歸于蔡注+季 蔡侯弟也 言 爲陳所納하다
[經]癸巳 葬蔡桓侯注+無傳 稱侯 三月而葬 速하다
[經]及宋人衛人 伐邾하다
[經]冬十月朔 日有食之注+甲乙者 歷之紀也 晦朔者 日月之會也 日食不可以不存晦朔 晦朔須甲乙而可推 故日食必以晦朔日爲例하다
[傳]十七年春 盟于黃하니 平齊紀 且謀衛故也注+齊欲滅紀 衛逐其君
[傳]及邾儀父盟于趡하니 尋蔑之盟也注+蔑盟 在隱元年
[傳]夏 及齊師戰于奚하니 疆事也注+爭疆界也
於是齊人侵魯疆하니 疆吏來告한대
公曰 疆埸之事 愼守其一注+[附注] 林曰 謹守其一定之疆界하야 而備其不虞注+虞 度也 不度(탁) 猶不意也하고 姑盡所備焉이라가 事至而戰이니 又何謁焉注+齊背盟而來 公以信待 故不書侵伐
[傳]蔡桓侯卒하니 蔡人召蔡季于陳하다
蔡季自陳歸于蔡注+桓侯無子 故召季而立之 季內得國人之望 外有諸侯之助 故書字 以善得衆 稱歸 以明外納라하니 蔡人嘉之也注+嘉之 故以字告
[傳]伐邾하니 宋志也注+邾宋爭疆 魯從宋志 背趡之盟
[傳]冬十月朔 日有食之하니 不書日注+[附注] 林曰 不書甲乙之日 官失之也注+[附注] 林曰 日官失其甲乙之日
天子有日官하고 諸侯有日御注+日官日御 典歷數者하니 日官居卿以底日 禮也注+日官 天子掌歷者 不在六卿之數 而位從卿 故言居卿也 底 平也 謂平歷數 日御不失日하야 以授百官于朝注+日官平歷以班諸侯 諸侯奉之 不失天時 以授百官니라
[傳]初 鄭伯將以高渠彌爲卿한대 昭公惡之하야 固諫이나 不聽하다
昭公立 懼其殺己也하야 辛卯 弑昭公而立公子亹注+公子亹 昭公弟하다
君子謂昭公知所惡矣로다 公子達注+公子達 魯大夫曰 高伯其爲戮乎인저
已甚矣注+復 重也 本爲昭公所惡 而復弑君 重爲惡也 [附注] 林曰 高伯 卽高渠彌로다


17년 봄 정월 병진일에 환공桓公제후齊侯기후紀侯와 회합하여 에서 결맹하였다.注+나라 땅이다.
2월 병오일에 환공桓公의보儀父에서 결맹하였다.注+나라 땅이다. 를 칭한 것은 은공隱公원년元年결맹結盟를 칭한 뜻과 같다. 2월에는 병오일이 없고, 병오일은 3월 4일이니, 날과 달에 틀림없이 오류誤謬가 있다.
여름 5월 병오일에 나라 군대와 에서 전쟁하였다.注+나라 땅이다. 양군兩軍이 모두 을 친 뒤에 전투戰鬪하는 것을 ‘’이라 한다.[부주]林: 이것이 교전交戰한 시초이다. 의 교전은 의 전쟁이 처음이고 애릉艾陵의 전쟁이 마지막이다.
6월 정축일에 채후蔡侯봉인封人하였다.注+환공桓公 11년 나라 대부와 에서 결맹하였다.
가을 8월에 채계蔡季나라에서 나라로 돌아갔다.注+채후蔡侯의 아우이다. ‘’라고 말한 것은 나라에 의해 들여보내졌기 때문이다.
계사일에 채환후蔡桓侯를 장사 지냈다.注+이 없다. ‘’라고 칭한 것은 아마도 오류誤謬인 듯하다. 3개월 만에 장사지냈으니, 너무 빨랐다.
나라가 송인宋人위인衛人과 함께 를 토벌하였다.
겨울 10월 초하루에 일식日食이 있었다.注+갑을甲乙(干支)은 을 기록하는 법이고, 회삭晦朔(그믐과 초하루)은 해와 달이 만나는 시기이니, 일식에는 회삭晦朔을 기록하지 않아서는 안 되고, 회삭晦朔에는 반드시 갑을甲乙이 있어야 추산推算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식에는 반드시 회삭을 기록하는 것을 로 삼는다.
17년 봄에 환공이 제후齊侯기후紀侯에서 결맹結盟하였으니, 이는 나라와 나라를 화평和平시키고, 또 나라의 일을 모의하기 위함이었다.注+나라는 나라를 토멸討滅하고자 하고, 나라는 그 임금을 축출하였기 때문이다.
환공이 의보儀父에서 결맹結盟하였으니 이는 에서 맺은 맹약盟約을 거듭 다지기 위함이었다.注+의 결맹은 은공隱公원년元年에 있었다.
여름 5월에 나라 군대와 에서 전쟁하였으니, 이는 국경분쟁國境紛爭이었다.注+경계境界를 다툰 것이다.
이때 제인齊人나라의 국경을 침범하니, 국경을 지키는 관리官吏가 와서 고하였다.
그러자 환공桓公이 말하기를 “강역疆埸의 일은 우리 쪽 경계境界를 조심해 지켜注+[부주]林: 삼가 일정한 경계를 지키는 것이다. 불우不虞사태事態대비對備하고,注+는 헤아림이니, 부도不度불의不意와 같다. 우선 대비에 힘을 다하였다가 사건이 발생하면 전쟁하는 것이니, 무엇 때문에 와서 지시指示를 청하느냐.”고 하였다.注+나라가 맹약을 저버리고 쳐들어왔으나, 환공이 신의信義로써 상대하였기 때문에 ‘침벌侵伐’이라고 기록하지 않은 것이다.
채환후蔡桓侯하니 채인蔡人나라에 가 있는 채계蔡季를 불러 들였다.
“가을에 채계蔡季나라에서 나라로 돌아왔다.”라고 하였으니,注+환후桓侯에게 아들이 없기 때문에 를 불러 들여 임금으로 세운 것이다. 가 안으로는 국인國人신망信望을 얻고, 밖으로는 제후諸侯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에 를 기록하여 대중의 마음을 얻은 것을 칭찬하고, ‘’라고 칭하여 외국外國이 들여보낸 것임을 밝혔다. 이는 채인蔡人이 그를 아름답게 여겨서 를 기록해 나라에 통고하였기 때문이다.注+그를 아름답게 여겼기 때문에 를 써서 통고한 것이다.
나라가 를 토벌하였으니, 이는 나라의 뜻을 따른 것이다.注+국경國境을 다투자 나라는 의 맹약을 저버리고 나라의 뜻에 따라 를 친 것이다.
겨울 10월 초하루에 일식이 있었는데, 일진日辰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注+[부주]林: 갑을甲乙(干支)로 날짜를 기록하지 않은 것이다. 사관史官이 잊고 기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注+[부주]林: 일관日官이 날짜의 갑을을 잊은 것이다.
천자天子에게는 일관日官이 있고 제후에게는 일어日御가 있으니,注+일관日官일어日御역수曆數를 맡은 자이다. 일관日官의 위치에 있으면서 역법曆法추산推算하여 을 만드는 것이 이고,注+일관日官천자天子 나라의 역수曆數를 맡은 자로 육경六卿에 끼지는 못하지만 지위가 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의 위치에 있다고 한 것이다. 이니 역수曆數추산推算하여 을 만드는 것이다. 일어日御매일每日간지干支를 잊지 않고 조정에서 백관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注+일관日官역수曆數추산推算을 만들어서 제후에게 나누어 주면 제후는 그 을 받들어 천시天時를 잊지 않고 백관에게 알려 준다는 말이다.
당초에 정백鄭伯고거미高渠彌으로 삼으려 하자 소공昭公이 그를 미워하여 굳이 간하였으나 정백은 듣지 않았다.
뒤에 소공이 즉위하자 고거미高渠彌소공昭公이 자기를 죽일까 두려워하여 신묘일에 소공을 시해弑害하고 공자公子注+공자公子소공昭公의 아우이다.를 임금으로 세웠다.
이에 대하여 군자는 “소공은 미워할 상대를 알았다.”고 하였고, 공자公子注+공자公子나라 대부이다.은 “고백高伯은 아마도 주륙誅戮될 것이다.
자기를 미워한 원한을 보복한 것이 너무 심하였다.”고 하였다.注+는 거듭이다. 본래 소공昭公의 미움을 받은 데다가 다시 임금을 시해弑害하였으니, 거듭 을 저지른 것이다.[부주]林: 고백高伯은 바로 고거미高渠彌이다.


역주
역주1 : 대본에는 ‘予’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于’로 바로잡았다.
역주2 艾陵 : 艾陵의 전쟁은 哀公 11년에 보인다.
역주3 : 成公 18년 傳에 “出奔한 사람을 諸侯가 도와 本國으로 들여보내어 임금이 되게 하는 것을 ‘歸’라 한다.”라고 하였다.
역주4 蓋誤謬 : 제후의 죽음에는 그 爵位를 들어 기록하고, 葬事에는 諡號를 들어 公이라고 기록하는 것이 禮인데, 이곳에서만 ‘侯’라고 하였기 때문에 誤謬인 듯하다고 한 것이다.
역주5 復惡 : 杜注는 ‘復惡’을 거듭 악행을 저지른 것으로 해석하였으나, 譯者는 자기를 미워한 원한을 보복한 뜻으로 번역하였다. 杜注의 해석을 따르면 復惡을 ‘부악’으로 읽어야 하고, 譯文을 따르면 ‘복오’로 읽어야 한다.

춘추좌씨전(1) 책은 2019.05.2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