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
정鄭나라 유길游吉이 가서 弔喪하고 또 송장送葬(會葬)하였다.
魏獻子使士景伯詰之曰 悼公之喪
에 子西弔
하고 子蟜送葬
注+在襄十五年이러니 今吾子
는 何故
注+弔葬共使 [附注] 林曰 貳 副也오
위헌자魏獻子가
유길游吉에게
사경백士景伯을 보내어
힐문詰問(責問)하기를 “
도공悼公의
상사喪事 때는
자서子西가 와서
조상弔喪하고
자교子蟜가 와서
송장送葬하였는데
注+양공襄公 15년에 있었다. , 이번에는 두 사람이 오지 않은 것은 어째서입니까?
注+한 사람이 조문사弔問使와 송장사送葬使를 겸한 것이다. [부주]林: 이貳는 부사副使이다. ”라고 물었다.
유길游吉이 대답하기를 “제후諸侯들이 진晉나라에 귀복歸服하는 것은 진晉나라에 예禮가 있기 때문입니다.
예禮는 소국小國이 대국大國을 섬기고 대국大國이 소국小國을 자애慈愛[字]하는 것을 이릅니다.
事大
는 在共其時命
注+隨時共所求 하고 字小
는 在恤其所無
라
대국大國을 섬기는
도리道理는 대국의
시명時命을 공경해 따르는 데 있고
注+때에 따라 대국大國이 요구要求에 이바지함이다. , 소국을 자애하는 도리는 소국의
소무所無(禮에 정한
인원人員을 갖추지 못함)를 가엾게 여기는 데 있습니다.
以敝邑居大國之間
으로 共其
과 與其備御不虞之患
이니 豈忘共命
注+言不敢忘共命 以所備御者多 不及辦之이리오
우리나라는
대국大國(晉‧
초楚) 사이에 끼어 있어, 대국에
직공職貢을 바치는 일과
의외意外의
환란患亂을
방비防備[備御]하는 일로 〈미처
예수禮數를 갖추지 못하였을 뿐이니〉 어찌
명命을 따라야 함을 잊었겠습니까?
注+명命을 공경히 받들어 따라야 함을 감히 잊지 않았으나, 방비防備에 관한 일이 많으므로 인해 미처 명命을 받들지 못하였다는 말이다.
先王之制
에 諸侯之喪
엔 士弔
하고 大夫送葬
하며 唯
에 於是乎使卿
이라
선왕先王의 제도制度에 제후諸侯의 상사喪事에는 사士가 조상弔喪하고 대부大夫가 송장送葬하며 오직 가호嘉好와 빙향聘享과 삼군三軍의 일에만 경卿을 보낸다고 하였습니다.
晉之喪事
에 敝邑之閒
이면 先君有所助執
矣
注+紼 索也 禮 送葬必執紼 [附注] 林曰 晉之有喪事 其遇鄭國閑暇之時 鄭之先君 亦有會葬于晉者矣어니와 注+不得如先王라
〈지난날〉
진晉나라의
상사喪事 때에 우리나라가 한가(泰平)하면
선군先君께서 직접 오시어
집불執紼을 도우신 적이 있었지만
注+불紼은 상여喪輿를 당기는 끈이다. 예禮에 “송장送葬하는 자는 반드시 불紼을 잡는다.”고 하였다. [부주]林: 진晉나라에 상사喪事가 있을 때 정鄭나라가 한가閑暇한 경우에는 정鄭나라의 선군先君도 진군晉君의 장사葬事에 회장會葬한 적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한가하지 못하면 비록
사士와
대부大夫도
예수禮數대로 보내지 못한 때도 있었습니다.
注+선왕先王의 예수禮數와 같이 할 수 없었다는 말이다.
注+慶 善也 謂善其君自行 하고 而
하며 明底其情
注+底 致也 [附注] 林曰 明致小國有無之情하야 하야 以爲禮也
니라
대국大國의 은혜는,
상례常禮보다
후厚하게 시행한 것은
찬미讚美[善]하고
注+경慶은 선善이니, 정군鄭君이 직접 온 것을 좋게 여겼다는 말이다. 예수禮數를 갖추지 못한 것은 책망하지 않고 우리나라의
실정實情을 밝게 살피고서
注+저底는 치致(精緻)이다. [부주]林: 소국小國의 유무有無의 실정實情을 밝게 앎이다. 예의禮儀를 갖춘 것만을 취하여 이를
예禮에 맞는다고 하신 점입니다.
靈王之喪
注+在襄二十九年에 我先君簡公在楚
하고 我先大夫印段實往
하니
영왕靈王의
상사喪事 때에
注+양공襄公 29년에 있었다. 우리
선군先君간공簡公께서
초楚나라에 가서 계셨으므로 〈
선군先君께서 직접 오실 수가 없어서〉 우리
선대부先大夫인단印段이 왔습니다.
敝邑之少卿也
注+少 年少也로되 王吏不討
는 恤所無也
라
인단印段은 우리나라의
소경少卿(下卿)이었는데도
注+소少는 나이가 젊음이다. 왕실王室의
관리官吏는
책망責望하지 않았으니, 이는 우리나라의
소무所無를 가엾게 여긴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대부大夫는 ‘너희 나라는 어찌하여 종전의
예禮를 따르지 않느냐?
注+합盍은 하불何不이다. ’고 나무라셨습니다.
종전에는 상례常禮보다 풍후豊厚한 때도 있었고 상례보다 감생減省한 때도 있었으니 어느 쪽을 따라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從其豐
이면 則寡君幼弱
이라 是以不共
하고 從其省
이면 則吉在此矣
니 唯大夫圖之
하라 注+傳言大叔之敏 하다
풍후한 쪽을 따르면 〈응당 우리 임금께서 직접 오셔야 하지만〉 우리 임금께서 아직 어리기 때문에 명을 받들 수 없고,
감생減省한 쪽을 따르면 〈
사士와
대부大夫도 보내지 않아야 하지만 그럴 수가 없어서
상경上卿인〉 나
유길游吉이 이곳에 온 것이니,
대부大夫는 깊이 헤아리기 바랍니다.”고 하니,
진인晉人이 더 이상
힐문詰問하지 못하였다.
注+전문傳文은 태숙太叔의 민첩敏捷함을 말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