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春秋左氏傳(6)

춘추좌씨전(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춘추좌씨전(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經]十年春王正月이라
[經]夏 齊欒施來奔注+嗜酒好內 以取敗亡 故書名하다
[經]秋七月 季孫意如叔弓仲孫貜帥師伐莒注+三大夫皆卿 故書之 季孫爲主 二子從之 [附注] 林曰 舍中軍矣 曷爲書 三卿帥師 四分公室 叔弓爲意如也 內取邑 悉書也 於是取郠不書 取邑不足詳也 由是定六年取鄭匡不書 哀元年取晉不書하다
[經]戊子 晉侯彪卒注+五同盟 하다
[經]九月 叔孫婼如晉하여 葬晉平公注+三月而葬 速하다
[經]十有二月甲子 宋公成卒注+十一同盟也 無冬 史闕文 하다
[傳]十年春王正月 有星出于婺女注+客星也 不書 非孛 하다
鄭裨竈言於子産曰 七月戊子 晉君將死리라
今玆歲在顓頊之虛注+歲 歲星也 顓頊之虛 謂玄枵 하고 姜氏任氏實守其地注+姜 齊姓 任 薛姓 齊薛二國 守玄枵之地
居其어늘 而有妖星焉하니 注+客星居玄枵之維首 邑姜 齊大公女 晉唐叔之母 星占 婺女爲旣嫁之女 織女爲處女 邑姜 齊之旣嫁女 妖星在婺女 齊得歲 故知禍歸邑姜
邑姜 晉之妣也
注+二十八宿 面七
戊子逢公以登하니 星斯於是乎出注+逢公 殷諸侯居齊地者 逢公將死 妖星出婺女 時非歲星所在 故齊自當禍 而以戊子日卒 [附注] 林曰 登 卒也이라 注+爲晉侯彪卒傳 [附注] 林曰 我推其禍福 晉宜當之 是以譏晉也 하노라
[傳]齊惠欒高氏皆耆酒注+欒高二族 皆出惠公 [附注] 林曰 卽子雅子尾之後하고 信內多怨注+說婦人言 故多怨하며 彊於陳鮑氏而惡之注+惡陳鮑 [附注] 林曰 欒高二族强盛 過於陳鮑二家 惡陳鮑二家所爲하다
有告陳桓子注+[附注] 林曰 有或人告於陳無宇曰 子旗子良將攻陳鮑라하고 亦告鮑氏하다
桓子授甲하고 而如鮑氏타가 注+欲及子良醉故驅告鮑文子이나 遂見文子注+文子 鮑國하니 則亦授甲矣러라
使視二子注+二子 子旗子良하니 則皆將飮酒러라
桓子曰 彼雖不信注+彼 傳言者이나 聞我授甲이면 則必逐我리니 及其飮酒也하야 先伐諸ᄂ저
陳鮑方睦하야 遂伐欒高氏하다
子良曰 先得公이면 陳鮑焉往注+欲以公自輔助 [附注] 林曰 陳鮑失公 其將安往 言必敗也이리오하고 遂伐虎門注+欲入公不聽 故伐公門 [附注] 林曰 書虎 故曰虎門 하다
晏平仲端委立于虎門之外注+端委 朝服하야 四族召之로되 無所往注+四族 欒高陳鮑하니
其徒曰 助陳鮑乎 曰何善焉注+言無善義可助
助欒高乎 曰庸愈乎注+罪惡不差於陳鮑
然則歸乎 曰君伐하니 焉歸注+[附注] 林曰 君旣受伐 復安所歸리오
公召之而後入하다
公卜使王黑以靈姑銔率한대하다
請斷三尺焉而用之注+王黑 齊大夫 靈姑銔 公旗名 斷三尺 不敢與君同 [附注] 林曰 公卜使王黑以公旗帥師 得吉兆 王黑請斷靈姑銔三尺 하다
五月庚辰 戰于稷注+稷 祀后稷之處하야 欒高敗어늘 又敗諸莊注+莊 六軌之道하니
國人追之하야 又敗諸鹿門注+鹿門 齊城門하다
欒施高彊來奔注+高彊不書 非卿하니 陳鮑分其室하다
晏子謂桓子호대 必致諸公하라
德之主也
讓之謂懿德이니라
凡有血氣 皆有爭心이라
故利不可强注+不可强取이오 思義爲愈 利之本也注+[附注] 林曰 行義則有自然之利 是利之本也
蘊利生孼注+蘊 畜也 孼 妖害也이니 姑使無蘊乎ᄂ저
可以滋長注+[附注] 林曰 可以益長其利이리라 桓子盡致諸公하고 而請老于莒注+莒 齊邑하다
桓子召子山注+子山子商子周 襄三十一年 子尾所逐群公子하야 私具幄幕器用從者之衣屨注+私具 不告公 하고 而反棘焉注+棘 子山故邑 齊國西安縣東有戟里亭하고 子商亦如之하야 而反其邑하고 子周亦如之하야 而與之夫于注+子周本無邑 故更與之 濟南於陵縣西北有于亭하고 反子城子公公孫捷注+三子 八年子旗所逐하야 而皆益其祿하고 凡公子公孫之無祿者 私分之邑注+桓子以己邑分之하고 國之貧約孤寡者 私與之粟하고
曰 詩云 라하니 能施也注+詩大雅 言文王能布陳大利 以賜天下 行之周徧
桓公是以霸注+齊桓公 亦能施以致霸하니라
公與桓子莒之旁邑하니注+讓不受하다
穆孟姬爲之請高唐하니 陳氏始大注+穆孟姬 景公母 傳言陳氏所以興하니라
[傳]秋七月 平子伐莒하야 取郠注+郠 莒邑 取郠不書 公見討於平丘 魯諱之 하다
獻俘注+[附注] 林曰 獻莒俘于大廟할새 始用人於注+以人祭殷社 [附注] 林曰 魯有殷社 所謂兩社是也하다
臧武仲在齊하야 聞之하고
周公其不饗魯祭乎ᄂ저
周公饗義어늘 魯無義注+[附注] 林曰 臧武仲 卽臧孫紇 時出奔在齊 魯殺人以祭 是爲無義로다
詩曰 德音孔昭하야 注+詩小雅 佻 偸也 言明德君子必愛民 [附注] 林曰 視民如傷 不敢偸薄라하니라
佻之謂甚矣어늘 而壹用之하니 將誰福哉注+壹 同也 同人於畜牲
[傳]戊子 晉平公卒注+如裨竈之言하다
鄭伯如晉하야 及河 晉人辭之하니 游吉遂如晉注+禮 諸侯不相弔 故辭하다
九月 叔孫婼齊國弱宋華定衛北宮喜鄭罕虎許人曹人莒人邾人滕人薛人杞人小邾人如晉하니 葬平公也注+經不書諸侯大夫者 非盟會
鄭子皮將以幣行注+見新君之贄 한대 子産曰 喪焉用幣리오
用幣 必百兩注+載幣用車百乘이오 百兩이면 必千人이라
千人至라도 將不行注+行 用也 [附注] 林曰 將以喪故 不得見新君而用之이니 不行이면 必盡用之注+不得見新君 將自費用盡리라
注+言千人之費不可數 [附注] 林曰 言小國能當幾千人之費而不滅亡哉 子皮固請以行하다
旣葬 諸侯之大夫欲因見新君하다
叔孫昭子曰 非禮也라호대 弗聽하니 叔向辭之曰 大夫之事畢矣注+送葬禮畢어늘 而又命로다
孤斬焉在衰絰之中注+旣葬未卒哭 故猶服斬衰 하야 其以嘉服見이면 則喪禮未畢이오 其以喪服見이면 是重受弔也
大夫將若之何리오하니 皆無辭以見注+[附注] 林曰 皆無辭以求見하다
子皮盡用其幣하고하야 謂子羽曰 非知之實難이라 將在行之注+言不患不知 患不能行 로다
夫子知之矣로되 我則不足注+言己由子産之戒 旣知其不可 而遂行之 是我之不足이라
書曰 欲敗度하고 縱敗禮注+逸書라하니 我之謂矣로다
夫子知度與禮矣로되 我實縱欲하야 而不能自克也注+欲因喪以慶新君 故縱而行之 不能自勝로다
昭子至自晉하니 大夫皆見하다
高彊見而退注+高彊 子良 하니 昭子語諸大夫曰
爲人子不可不愼也哉ᄂ저
昔慶封亡 子尾多受邑이로되 而稍致諸君注+[附注] 林曰 慶封亡 在襄二十八年 子尾 高彊之父 多受賜邑 而稍稍致其邑以歸於公하니 君以爲忠이라하야 而甚寵之하니라
將死 疾于公宮注+在公宮被疾 하니 輦而歸하며 君親推之注+推其車而送之로되
其子不能任이라
是以在此注+[附注] 林曰 不能任當其父之祿爵 是以出奔而在於此 니라
忠爲令德이로되 其子弗能任하야 罪猶及之하니 注+[附注] 林曰 以見爲人子難以不謹愼 리오
喪夫人之力하고 棄德하야 以及其身하니 不亦害乎注+夫人 謂子尾 曠 空也 [附注] 林曰 子良不謹 喪失子尾之忠力
詩曰 라하니 其是之謂乎注+詩小雅 言禍亂不在他 正當己身 以喩高彊身自取此禍 ᄂ저
[傳]冬十二月 宋平公卒하다
元公惡寺人柳하야 欲殺之注+元公 平公大子佐也 하다
及喪 柳熾炭于位注+以溫地 라가 將至則去之注+使公坐其處 하다
比葬 又有寵注+言元公好惡無常하다


10년 봄 주왕周王정월正月이다.
여름에 나라 난시欒施(子旗)가 나라로 도망 왔다.注+술을 즐기고 여색女色을 좋아하여 패망敗亡자취自取하였기 때문에 에 이름을 기록한 것이다.
가을 7월에 계손의여季孫意如(平子)‧숙궁叔弓중손확仲孫貜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나라를 쳤다.注+대부大夫가 모두 이기 때문에 에 이 일을 기록한 것이다. 계손季孫이 주장하니 두 사람이 따른 것이다. [부주]林: 중군中軍철폐撤廢[舍]하였는데 무엇 때문에 이를 기록하였는가? 세 이 거느린 군대는 〈중군中軍철폐撤廢하고서〉 공실公室의 군대를 넷으로 나누어 〈계씨季氏가 2을 차지하고 맹손孟孫(仲孫)과 숙손叔孫이 각각 1씩 차지한 군대이기 때문이다.〉 숙궁叔弓의여意如를 위해 토벌討伐한 것이다. 나라[內]가 〈타국他國의〉 한 것은 모두 기록하였다. 그런데 이때 경읍郠邑을 취한 것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한 것은 자세히 기록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공定公 6년에 나라의 광읍匡邑을 취한 것을 기록하지 않고, 애공哀公원년元年나라의 극포棘蒲를 취한 것을 기록하지 않았다.
무자일戊子日진후晉侯하였다.注+나라와 다섯 차례 동맹同盟하였다.
9월에 숙손야叔孫婼나라에 가서 진평공晉平公장사葬事회장會葬하였다.注+석 달 만에 장사 지냈으니 너무 빨랐다.
12월 갑자일甲子日송공宋公하였다.注+열한 차례 동맹하였다. 〈‘동십유이월冬十有二月’로 기록해야 하는데〉 ‘’字가 없는 것은 사관史官이 글자를 빠뜨린 것이다.
10년 봄 주왕周王정월正月객성客星무녀婺女(女宿)에 출현出現하였다.注+객성客星이다. 이를 에 기록하지 않은 것은 혜성彗星[孛]이 아니기 때문이다.
나라 비조裨竈자산子産에게 말하기를 “7월 무자일戊子日진군晉君이 죽을 것입니다.
금년今年세성歲星현효玄枵[顓頊之虛]에 있는데注+세성歲星이다. 전욱지허顓頊之虛현효玄枵를 이른다. 강씨姜氏(齊)와 임씨任氏(薛)가 실로 그 분야分野의 땅을 지키고 있습니다.注+나라의 이고, 나라의 이다. 나라와 나라가 현효玄枵분야分野의 땅을 지키고 있다.
여수女宿가 그 성차星次[維]의 수위首位에 있는데 그곳에 요성妖星출현出現하였으니, 이는 읍강邑姜에게 재화災禍예고豫告한 것입니다.注+객성客星현효玄枵수위首位(女宿)에 머물러 있은 것이다. 읍강邑姜나라 태공太公의 딸이고 나라 당숙唐叔모친母親이다. 성점星占무녀婺女는 이미 출가出嫁한 딸로 여기고, 직녀織女처녀處女로 여긴다. 읍강邑姜나라에서 이미 출가出嫁한 딸이다. 요성妖星무녀婺女출현出現하였으나 나라는 세성歲星이 머물러 있는 곳이어서 도움을 받기 때문에 읍강邑姜의 후손에게 돌아갈 것을 안 것이다.
읍강邑姜나라의 선비先妣입니다.
하늘은 (宿)로 성차星次(星位)를 나눕니다(다스립니다).注+이십팔수二十八宿사면四面에 각각 칠수七宿분포分布하였다는 말이다.
무자일戊子日봉공逢公이 죽었는데 그때에도 객성客星이 이곳에 출현出現하였으니注+봉공逢公은왕조殷王朝제후諸侯나라 땅에 주거住居한 자이다. 봉공逢公이 죽으려 할 때 무녀婺女요성妖星출현出現하였다. 이때에는 세성歲星나라 분야分野에 있지 않았기 때문에 나라가 직접 를 당하여 무자일戊子日봉공逢公이 죽은 것이다. [부주]林: (죽음)이다. , 나는 이로써 진군晉君이 죽을 것을 압니다.”注+진후晉侯의 배경이다. [부주]林: 내가 〈성상星象을 보고서〉 그 화복禍福추구追究해 보니 나라가 아마도 그 를 당할 듯하다. 그러므로 나라를 나무란 것이라는 말이다. 고 하였다.
나라 혜공惠公후손後孫난씨欒氏(子旗)와 고씨高氏(子良)는 모두 술을 즐기고注+난씨欒氏고씨高氏족속族屬은 모두 혜공惠公에게서 나왔다. [부주]林: 자기子旗자량子良은 바로 자아子雅자미子尾후예後裔이다. 부녀자婦女子의 말을 믿으므로 원망怨望하는 사람이 많았으며注+부인婦人의 말을 좋아하기 때문에 원망怨望하는 사람이 많다. , 세력勢力진씨陳氏포씨鮑氏보다 강성强盛하면서도 진씨陳氏포씨鮑氏를 미워하였다.注+진씨陳氏포씨鮑氏를 미워한 것이다. [부주]林: 난씨欒氏고씨高氏종족種族강성强盛함이 진씨陳氏포씨鮑氏보다 지나쳤으므로 진씨陳氏포씨鮑氏양가兩家행위行爲를 미워한 것이다.
여름에 어떤 자가 진환자陳桓子에게注+[부주]林: 어떤 사람이 진무우陳無宇에게 고한 것이다. 자기子旗자량子良진씨陳氏포씨鮑氏공격攻擊하려 합니다.”고 하고, 또 포씨鮑氏에게도 이렇게 하였다.
진환자陳桓子가병家兵에게 무장武裝[授甲]하게 하고, 본인은 일을 협의協議하기 위해 포씨鮑氏의 집으로 가다가 도중途中에서 술에 취해 말을 달리는 자량子良을 보았으나注+자량子良이 술에 취한 기회에 미쳐 자량子良을 치고자 하였기 때문에 달려가서 포문자鮑文子에게 한 것이다. , 마침내 가서 포문자鮑文子를 만나 보니注+문자文子포국鮑國이다. 그 역시 가병家兵무장武裝시키고 있었다.
이들은 사람을 보내어 자기子旗자량子良동정動靜을 살피게 하였더니注+두 사람은 자기子旗자량子良이다. , 두 사람은 모두 〈연회宴會를 열어〉 술을 마실 준비를 하고 있었다.
진환자陳桓子가 말하기를 “저 자(子旗와 자량子良진씨陳氏포씨鮑氏공격攻擊하려 한다는 말을 한 자)의 말이 사실이 아니라 하더라도注+피인彼人은 〈자기子旗자량子良진씨陳氏포씨鮑氏를 치려 한다는〉 말을 한 자이다. 우리가 가병家兵무장武裝시켰다는 말을 들으면 저들은 반드시 우리를 추격追擊할 것이니, 저들이 술을 마실 때에 미쳐 우리가 먼저 저들을 칩시다.”고 하였다.
이때 진씨陳氏포씨鮑氏화목和睦하였으므로 드디어 함께 난씨欒氏고씨高氏공격攻擊하였다.
그러자 자량子良은 “우리가 먼저 임금의 도움을 얻는다면 진씨陳氏포씨鮑氏가 어디로 가겠는가?”注+임금이 자기들을 돕게 하고자 한 것이다. [부주]林: 진씨陳氏포씨鮑氏가 임금의 지지支持를 잃는다면 장차 어디로 가겠는가? 반드시 패망敗亡할 것이라는 말이다. 라고 하고서 드디어 호문虎門공격攻擊하였다.注+공궁公宮으로 들어가고자 하였으나 이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문公門을 공격한 것이다. [부주]林: 침문寢門에 호랑이를 그렸기 때문에 그 을 ‘호문虎門’이라 한다.
안평중晏平仲조복朝服(端委)을 입고 호문虎門 밖에 서서注+단위端委조복朝服이다., 네 가족家族이 서로 불렀으나 아무에게도 가지 않았다.注+사족四族난씨欒氏고씨高氏진씨陳氏포씨鮑氏이다.
시종侍從이 “진씨陳氏포씨鮑氏를 도우시렵니까?” 라고 묻자, 안평중晏平仲은 “무슨 선행善行이 있기에 그들을 돕겠느냐?”注+그들에게는 도와줄 만한 선행善行이 없다는 말이다. 고 하였다.
시종侍從이 다시 “그렇다면 난씨欒氏고씨高氏를 도우시렵니까?”라고 묻자, 안평중晏平仲은 “그들인들 진씨陳氏포씨鮑氏보다 나은 게 뭐 있느냐?”注+죄악罪惡와 다를 게 없다는 말이다. 고 하였다.
시종侍從이 다시 “그렇다면 집으로 돌아가시겠습니까?”라고 묻자, 안평중晏平仲은 “임금님께서 공격을 당하고 계신데 어찌 돌아갈 수 있느냐?”注+[부주]林: 임금님이 이미 공격을 받고 계시니 다시 어디로 돌아가겠느냐는 말이다. 고 하였다.
안평중晏平仲경공景公이 부른 뒤에 침문寢門 안으로 들어갔다.
경공景公왕흑王黑으로 하여금 영고비靈姑銔를 가지고 군대를 지휘指揮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는지에 대해 점을 치니 하였다.
왕흑王黑영고비靈姑銔의 길이를 석 자 잘라내고서 사용하기를 청하였다.注+왕흑王黑나라 대부이다. 영고비靈姑銔제경공齊景公이다. 석 자를 자른 것은 감히 임금과 같은 길이의 기를 사용할 수 없어서이다. [부주]林: 제경공齊景公왕흑王黑으로 하여금 경공景公를 가지고 군대를 통솔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는지에 대해 점을 쳐서 점괘占卦를 얻자, 왕흑王黑영고비靈姑銔의 길이 석 자를 자르기를 청한 것이다.
5월 경진일庚辰日에서注+후직后稷제사祭祀하는 직단稷檀이 있는 곳이다. 전투戰鬪하여 난씨欒氏고씨高氏패배敗北시키고, 또 에서 패배敗北시켰다.注+은 수레 여섯 채가 나란히 달릴 수 있는 넓은 가도街道의 이름이다.
국인國人이 그들을 추격追擊하여 또 녹문鹿門에서 패배敗北시켰다.注+녹문鹿門나라 성문城門이다.
난시欒施고강高彊나라로 도망해 오니注+고강高彊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이 아니기 때문이다. , 진씨陳氏포씨鮑氏가 그들의 가산家産을 나누어 가졌다.
안자晏子(晏平仲)가 진환자陳桓子에게 이르기를 “그 가산家産을 반드시 임금님께 바치십시오.
겸양謙讓덕행德行의 근본입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겸양謙讓미덕美德이라 하는 것입니다.
혈기血氣를 가진 모든 사람은 다 이익을 쟁취爭取하려는 마음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익은 강취强取해서는 안 되고注+강취强取(强奪)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도의道義가 남보다 낫기를 생각해야 하니 도의道義는 이익의 근본입니다.注+[부주]林: 도의道義를 행하면 자연히 이로움이 있으니, 도의道義가 바로 이익利益의 근본이라는 말이다.
재리財利축적蓄積하면 재앙災殃이 생기게 마련이니注+저축貯蓄이고, 요해妖害이다. 우선은 재리財利가 쌓이지 않게 하십시오.
그러면 앞으로 이익이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注+[부주]林: 그 이익을 더욱 늘릴 수 있다는 말이다. 고 하니, 진환자陳桓子는 나누어 가진 가산家産을 다 제경공齊景公에게 바치고, 벼슬에서 물러나 거읍莒邑에서 노년老年을 보내기를 청하였다.注+나라 이다.
진환자陳桓子자산子山을 불러注+자산子山자상子商자주子周양공襄公 31년에 자미子尾축출逐出공자公子들이다.사적私的으로 장막帳幕기용器用종자從者들의 의복衣服과 신발을 준비하게 하고서注+사적私的으로 준비하게 한 것은 제경공齊景公에게 하지 않은 것이다. 극읍棘邑을 그에게 돌려주고注+은 본래 자산子山봉읍封邑이다. 나라 서안현西安縣 동쪽에 극리정戟里亭이 있다. , 자상子商에게도 그렇게 하게 하고서 그의 봉읍封邑을 돌려주고, 자주子周에게도 그렇게 하게 하고서 그에게 부우夫于를 주고注+자주子周에게는 원래 봉읍封邑이 없었기 때문에 다시 그에게 봉읍封邑을 준 것이다. 제남濟南어릉현於陵縣 서북쪽에 우정于亭이 있다. , 자성子城자공子公공손公孫귀국歸國시켜注+세 사람은 소공昭公 8년에 자기子旗축출逐出한 사람들이다. 모두 녹봉祿俸을 올려주고, 공자公子공손公孫으로 녹봉祿俸이 없는 자들에게는 자기의 봉읍封邑을 나누어 주고注+진환자陳桓子가 자기의 봉읍封邑을 나누어 준 것이다. , 국내國內빈약貧弱고과孤寡(홀아비와 홀어미)에게는 자기의 곡식穀食을 나누어 주었다.
그리고 말하기를 “《시경詩經》에 ‘이익을 분배分配해 사람들에게 주었기 때문에 나라를 창조創造하였다.’고 하였으니 이는 시혜施惠를 잘하였기 때문이다.注+는 《시경詩經》 〈대아大雅문왕편文王篇〉의 시구詩句이다. 문왕文王이 능히 대리大利포진布陳(布施)하여 천하天下 사람들에게 주는 일을 두루 행하였다는 말이다.
환공桓公도 이렇게 함으로써 패자霸者가 된 것이다.”注+제환공齊桓公포시布施함으로써 패자霸者가 될 수 있었다는 말이다. 고 하였다.
제경공齊景公진환자陳桓子에게 거읍莒邑 주변의 을 주니 사양하였다.注+사양하고 받지 않은 것이다.
목맹희穆孟姬진환자陳桓子를 위해 고당高唐을 주기를 청하니 진씨陳氏가 비로소 강대强大해졌다.注+목맹희穆孟姬제경공齊景公모친母親이다. 전문傳文진씨陳氏흥성興盛하게 된 원인原因을 말한 것이다.
가을 7월에 계평자季平子나라를 쳐서 경읍郠邑하였다.注+나라 이다. 경읍郠邑을 취한 것을 에 기록하지 않은 것은 소공昭公이 〈경읍郠邑한 일로 13년에〉 평구平丘회합會合에서 성토聲討를 당하였기 때문에 나라가 이를 숨긴 것이다.
승전勝戰하고 돌아와 태묘太廟에〉 부로俘虜를 바칠 때注+[부주]林: 나라에서 잡은 부로俘虜태묘太廟에 바친 것이다. 비로소 박사亳社에 사람을 희생犧牲으로 썼다.注+사람을 은사殷社에 희생으로 쓴 것이다. [부주]林: 나라에 은사殷社가 있으니, 민공閔公 2년 에 이른바 ‘양사兩社’가 이것이다.
장무중臧武仲나라에서 이 소식을 듣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주공周公은 아마도 나라의 제사祭祀흠향歆饗하지 않을 것이다.
주공周公도의道義에 맞는 제사祭祀흠향歆饗할 것인데, 나라가 도의道義를 무시했으니 말이다.注+[부주]林: 장무중臧武仲은 바로 장손흘臧孫紇이다. 이때 출분出奔하여 나라에 있었다. 나라가 사람을 죽여 제사祭祀 지낸 것이 바로 도의道義를 무시한 것이다.
시경詩經》에 ‘덕음德音(道德에 맞는 말)이 매우 밝아서, 백성에게 보여주어 투박偸薄(苟且)하지 않게 하네.’注+는 《시경詩經》 〈소아小雅녹명편鹿鳴篇〉의 시구詩句이다. (苟且함)이다. 밝은 을 가진 군자君子는 반드시 백성을 사랑한다는 말이다. [부주]林: 백성 보기를 상처 입은 자를 보듯이 애처롭게 여기고 감히 투박偸薄하게 대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라고 하였다.
투박偸薄한 것도 심하다고 할 수 있는데 사람과 우양牛羊동일同一하게 여겨 희생犧牲으로 썼으니 장차 어찌[誰]을 받을 수 있겠는가?”注+이니, 사람을 축생畜生동일同一하게 여겼다는 말이다.
무자일戊子日진평공晉平公하였다.注+〈금년 정월正月에 ‘7월 무자일戊子日진군晉君이 죽을 것이다.’고 한〉 비조裨竈의 말과 같이 되었다.
정백鄭伯이 〈조상弔喪하기 위해〉 나라에 가기 위해 길을 떠나 황하黃河에 당도하였을 때 진인晉人사절謝絶하니, 〈정백鄭伯은 되돌아오고〉 유길游吉만이 드디어 나라로 갔다.注+제후諸侯끼리는 서로 조문弔問하지 않는 것이 이다. 그러므로 사절謝絶한 것이다.
9월에 숙손야叔孫婼나라 국약國弱나라 화정華定나라 북궁희北宮喜나라 한호罕虎허인許人조인曹人거인莒人주인邾人등인滕人설인薛人기인杞人소주인小邾人나라에 갔으니, 이는 진평공晉平公장례葬禮회장會葬하기 위함이었다.注+에 〈나라에 간〉 제후諸侯대부大夫들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맹회盟會가 아니기 때문이다.
나라 자피子皮(罕虎)가 〈나라에 조문弔問 가면서 신군新君알현謁見할 때 바칠〉 예폐禮幣를 가지고 가려 하자注+신군新君알현謁見할 때 바칠 폐백幣帛이다., 자산子産이 말하기를 “상사喪事예폐禮幣가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예폐禮幣를 가지고 가려면 반드시 수레 백냥百兩이 필요하고注+예폐禮幣를 싣고 가려면 수레 백승百乘을 사용해야 한다는 말이다. 백냥百兩이면 사람 1천 명이 필요합니다.
1천 명이나 되는 사람이 예폐禮幣를 가지고 가더라도 아마 신군新君알현謁見하는 거행擧行할 수 없을 것이니注+이다. [부주]林: 아마 상고喪故로 인해 신군新君알현謁見할 수 없어서 그 예폐禮幣를 사용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말이다. , 거행擧行하지 못한다면 반드시 그 예폐禮幣를 다 비용費用으로 쓰고 말 것입니다.注+신군新君알현謁見하지 못한다면 장차 스스로의 비용費用으로 다 쓰게 될 것이라는 말이다.
1천 명이 예폐禮幣를 가지고 가는 일을 몇 차례 반복한다면 나라가 하지 않겠습니까?”注+1천 인이 낭비浪費하는 일을 자주 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부주]林: 작은 나라로서 몇 천 명의 비용을 담당하고서 멸망滅亡하지 않을 수 있겠느냐는 말이다. 라고 하였으나, 자피子皮는 굳이 청하여 예폐禮幣를 가지고 갔다.
장사葬事를 마친 뒤에 제후諸侯대부大夫들은 이 기회期會를 이용해 나라 신군新君알현謁見코자 하였다.
숙손소자叔孫昭子가 “가 아니다.”고 하였으나 그들은 듣지 않으니, 숙향叔向사절謝絶하는 진소공晉昭公의 말을 하기를 “대부大夫들의 일이 끝났는데도注+장송葬送한 것으로 대부大夫가 끝났다는 말이다. 또 나에게 서로 만나자고 하십니다 그려.
내가 비통悲痛상중喪中에 있으면서注+장사葬事가 끝났으나 아직 졸곡卒哭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상복喪服을 입은 것이다. 만약[其]길복吉服을 입고 여러분을 만나 본다면 상례喪禮가 아직 끝나지도 않았는데 〈길복吉服을 입는 비례非禮를 범하는 것이고〉 만약 상복喪服을 입고서 여러분을 만나 본다면 이는 거듭 조문弔問을 받는 것입니다.
대부大夫들은 장차 어찌하겠습니까?”라고 하니, 대부大夫들은 모두 알현謁見을 요구하는 말을 하지 못하였다.注+[부주]林: 모두 알현謁見요구要求하는 말이 없었다.
자피子皮는 그 예폐禮幣를 다 쓰고 돌아와서 자우子羽(公孫 )에게 이르기를 “아는 것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어려움은 아마도 하는 데 있는 듯하다.注+알지 못하는 것이 걱정이 아니라 능히 행하지 못하는 것이 걱정이라는 말이다.
부자夫子(子産을 이름)는 그것을 알고서 나에게 일러 주었으나 내가 부족不足하여 그 말을 따르지 못하였다.注+내가 자산子産경계警戒[由]해 그렇게 하는 것이 옳지 않음을 알고도 드디어 그렇게 실행實行하였으니, 이것이 나의 부족不足함이라는 말이다.
서경書經》에 ‘욕심이 법도法度파괴破壞[敗]하고 방종放縱파괴破壞한다.’注+일서逸書이다. 고 하였는데, 이는 바로 나를 이른 것이다.
부자夫子법도法度를 알아 〈나에게 일러 주었는데도〉 내가 실로 사욕私慾방종放縱하여 스스로 억제抑制하지 못하였다.”注+조상弔喪기회期會를 이용해 신군新君경하敬賀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멋대로 행동하여 스스로 억제하지 못하였다는 말이다. 고 하였다.
소자昭子(叔孫婼)가 나라에서 돌아오자 대부大夫들이 모두 가서 알현謁見하였다.
고강高彊(子良)이 알현謁見하고는 즉시 물러가자注+고강高彊자량子良이다. , 소자昭子대부大夫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자식 된 사람은 근신謹愼하지 않아서는 안 됩니다.
전에 경봉慶封이 도망간 뒤에 자미子尾가 많은 을 받았으나 이내[稍] 그 제군齊君에게 바치니注+[부주]林: 경봉慶封망명亡命양공襄公 28년에 있었다. 자미子尾고강高彊부친父親이다. 하사下賜하는 을 많이 받았으나 즉시 그 반환返還제군齊君에게 돌려주었다. 제군齊君은 그를 충성스럽다고 여겨 매우 총애寵愛하였습니다.
그가 죽을 때 공궁公宮에서 을 얻으니注+공궁公宮에 있다가 이 생긴 것이다. 제군齊君은 그를 수레에 태워 돌려보내며 친히 그 수레를 밀기까지 하였습니다.注+그 수레를 밀어 보낸 것이다.
그런데 그 자식 고강高彊은 아비의 녹작祿爵계승繼承해 지키는 일을 감당堪當[任]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로 도망해 와 있는 것입니다.注+[부주]林: 그 아비의 녹작祿爵을 능히 계승繼承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출분出奔하여 여기(魯나라)에 와 있다는 말이다.
충성忠誠영덕令德(美德)이건만 그 자식은 그 미덕美德계승繼承해 지키는 일을 감당하지 못하여 오히려 가 미쳤으니 어찌[難] 삼가지 않아서야 되겠습니까?注+[부주]林: 자식 된 사람은 근신謹愼하지 않아서는 곤난困難하다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
그 아비의 공로功勞[力]를 상실喪失하고 아비의 공덕功德을 버리고 종묘宗廟의 제사를 하여 가 그 몸에 미쳤으니 이것이 (禍)가 아니겠습니까?注+부인夫人자미子尾를 이른다. 이다. [부주]林: 자량子良근신謹愼하지 않아 자미子尾충성忠誠공로功勞상실喪失하였다는 말이다.
시경詩經》에 ‘는 나의 행위에 앞서 이르지도 않고 나의 행위에 뒤처져 생기지도 않는다.’고 하였으니, 아마도 고강高彊의 경우를 이른 듯합니다.”注+는 《시경詩經》 〈소아小雅정월편正月篇〉의 시구詩句이다. 화란禍亂은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에게 있다[當]는 것을 말하여 고강高彊 자신이 이런 자취自取하였다는 것을 비유譬喩한 것이다.
겨울 12월에 송평공宋平公하였다.
당초에 송원공宋元公시인寺人를 미워하여 죽이고자 하였다.注+원공元公평공平公태자太子이다.
을 당함에 미쳐 원공元公이 앉을 상차喪次의 자리에 미리 숯불을 피워 따뜻하게 하였다가注+자리를 따뜻하게 한 것이다. 원공元公이 이를 때쯤이면 그 숯불을 치웠다.注+원공元公을 그곳에 앉게 한 것이다.
장사葬事를 지낸 뒤에 는 또 원공元公총애寵愛를 받았다.注+원공元公호오好惡무상無常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貳[伐] : 저본에는 ‘貳’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左傳杜林合注》本에 의거하여 ‘伐’로 바로잡았다.
역주2 蒲棘[棘蒲] : 저본에는 ‘蒲棘’으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氏傳》 哀公元年傳文에 의거하여 ‘棘蒲’로 순서를 바로잡았다.
역주3 維首 : 維首의 維를 〈正義〉에는 綱維로 풀었고, 〈楊注〉에는 星次로 풀었다.
역주4 告邑姜也 : 古代의 占星家들은 歲星이 머물러 있는 星次의 分野에 있는 나라에는 좋은 일이 있다고 믿었다. 今年에 歲星이 齊나라 分野인 玄枵에 있는데, 妖星이 玄枵의 첫째 별인 婺女에 出現하였으나 齊나라는 歲星이 머문 星次의 分野에 있기 때문에 災禍가 없을 것이고, 婺女는 이미 出嫁한 딸을 象徵하니 齊나라 姜太公의 딸로서 晉나라 始封祖唐叔의 母后가 된 邑姜의 子孫에게 禍가 있을 것임을 豫告한 것이라는 말이다.
역주5 天以七紀 : 하늘은 七로써 數를 기록한다는 말이다. 二十八宿를 七宿씩 四方에 分屬한 것을 이른다.
역주6 吾是以譏之 : 譏는 ‘마’와 같은데 《說文》에서 ‘마는 점을 쳐서 의심나는 것을 묻는 것이다.’ 하였다. 이 말은 별의 형상으로 점을 치고 이어 이로써 晉侯가 죽는 날을 알게 되었다는 말이다. 〈楊注〉
역주7 遭子良醉而騁 : 술에 취해 말을 달리는 子良을 陳桓子가 만난 것이다. 子良이 陳氏와 鮑氏를 攻擊하려 하였다면 술을 취하도록 마시지 않았을 것이다. 그가 술에 취해 말을 달리는 것으로 보아 그가 자기들을 치려 한다는 말이 거짓임을 알았다. 그러나 이미 家兵을 武裝시켰기 때문에 부득이 鮑氏의 집으로 간 것이다.
역주8 寢門 : 古禮에 天子는 五門, 諸侯는 三門, 大夫는 二門인데, 가장 안에 있는 문을 ‘寢門’이라 한다.
역주9 陳錫載周 : 載周는 造周이다. 文王이 賞으로 받은 물건들을 天下에 布施하여 周나라의 王業을 創建[造]하였다는 말이다. 〈毛詩〉에는 ‘載’가 ‘哉’로 되어 있고, 《左傳》과 《國語》에는 ‘載’로 되어 있으니 古字에는 서로 通用이었다. 《爾雅》에 ‘哉는 施이다’고 하였다. 陳桓子는 새로운 나라를 創建하려는 뜻을 가졌다. 《左氏會箋》
역주10 亳社 : 閔公 2년 傳의 譯註參考할 것.
역주11 視民不佻 : 백성에게 보여주어 禮儀에 苟且하지 않게 하였다는 말이다. 〈楊注〉
역주12 幾千人而國不亡 : 幾는 數次이고, 千人은 禮幣를 가지고 간 1천 인의 費用을 이르니, 곧 1천 인이 浪費하는 일을 몇 차례 反覆한다면 나라가 滅亡하지 않겠느냐는 말인 듯하다.
역주13 : 喪中에 있는 諸侯가 自身을 指稱하는 말이다. ‘孤’라고 한 것으로 보아 이 말은 晉君의 말을 叔向이 대신 傳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과 같이 번역하였다.
역주14 難不愼也 : 難은 奈何의 合音이다. 그 例가 〈詞詮〉에 보인다. 〈楊注〉. 《漢語大辭典》에도 難을 奈何로 訓詁하면서 《左傳》의 이 句를 그 例로 提示하였다.
역주15 曠宗 : 宗廟에 祭祀가 끊기는 것이다.
역주16 不自我先 不自我後 : 詩의 原義는 어지러운 세상을 만난 大夫가 하늘이 昏亂과 虐政을 내가 태어나기 이전에 생기게 하거나 내가 죽은 뒤에 생기게 하지 않았다고 원망한 것인데, 여기서는 斷章取義하여 禍는 자신의 행위가 있기 전에 생기거나 자신의 행위가 있은 뒤에 생기는 것이 아니고, 오직 자신의 행위에 따라 즉시 이른다는 뜻으로 인용하였다.

춘추좌씨전(6) 책은 2019.05.2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