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公子遂如齊逆女
注+不譏喪娶者 不待貶責而自明也 卿爲君逆 例在文四年 하다 
                        		
                        		
                        		
	                     		
			                       	
			                       	
	                     		
	                     		
		                        
                        	
                        	
                        	
                        	
                        		
                        			
                        			
			                        
			                        	三月
에 遂以夫人婦姜至自齊
注+稱婦  不書氏 史闕文하다 
                        		
                        		
                        		
	                     		
			                       	
			                       	
	                     		
	                     		
		                        
                        	
                        	
                        	
                        	
                        		
                        			
                        			
			                        
                        		
                        		
                        		
	                     		
			                       	
			                       	
	                     		
	                     		
		                        
                        	
                        	
                        	
                        	
                        		
                        			
                        			
			                        
                        		
                        		
                        		
	                     		
			                       	
			                       	
	                     		
	                     		
		                        
                        	
                        	
                        	
                        	
                        		
                        			
                        			
			                        
                        		
                        		
                        		
	                     		
			                       	
			                       	
	                     		
	                     		
		                        
                        	
                        	
                        	
                        	
                        		
                        			
                        			
			                        
                        		
                        		
                        		
	                     		
			                       	
			                       	
	                     		
	                     		
		                        
                        	
                        	
                        	
                        	
                        		
                        			
                        			
			                        
                        		
                        		
                        		
	                     		
			                       	
			                       	
	                     		
	                     		
		                        
                        	
                        	
                        	
                        	
                        		
                        			
                        			
			                        
                        		
                        		
                        		
	                     		
			                       	
			                       	
	                     		
	                     		
		                        
                        	
                        	
                        	
                        	
                        		
                        			
                        			
			                        
			                        	[經]
注+[附注] 林曰 侵蔡 遂伐楚 以見齊霸 侵陳 遂侵宋 以見楚霸하니 晉趙盾帥師救陳
注+傳言救陳宋 經無宋字 蓋闕 하다 
                        		
                        		
                        		
	                     		
			                       	
			                       	
	                     		
	                     		
		                        
                        	
                        	
                        	
                        	
                        		
                        			
                        			
			                        
			                        	[經]
注+晉師救陳宋 四國君往會之 共伐鄭也 不言會趙盾 取於兵會 非好會也 棐林 鄭地 熒陽宛陵縣東南有林鄕 [附注] 林曰 此趙盾也 大夫而用諸侯之師 於是始 其曰會晉師 則不以大夫用諸侯之辭也 하다 
                        		
                        		
                        		
	                     		
			                       	
			                       	
	                     		
	                     		
		                        
                        	
                        	
                        	
                        	
                        		
                        			
                        			
			                        
			                        	[經]冬
에 晉趙穿帥師侵崇
注+[附注] 林曰 自伐書陽處父 入書郤缺 侵書趙穿 而後凡役 書大夫하다 
                        		
                        		
                        		
	                     		
			                       	
			                       	
	                     		
	                     		
		                        
                        	
                        	
                        	
                        	
                        		
                        			
                        			
			                        
                        		
                        		
                        		
	                     		
			                       	
			                       	
	                     		
	                     		
		                        
                        	
                        	
                        	
                        	
                        		
                        		
                        		
                        			
                        			
		                       		
		                       		
		                       		
		                       			
		                       			
		                       			
		                       				傳
		                       		
		                        
		                        	
		                        		
		                            	[傳]元年春王正月
에 公子遂如齊逆女
라하니 尊君命也
注+ 傳於此發者 與還文不同 故釋之  
									
                        			
                        			
                        		
	                     		
			                       	
			                       	
	                     		
	                     		
		                        
                        	
                        	
                        	
                        	
                        		
                        		
                        		
                        			
                        			
		                       		
		                       		
		                       		
		                       			
		                        			
		                        				
		                        				 
		                        			
		                       			
		                       			
		                       			
		                       				傳
		                       		
		                        
		                        	
		                        		
		                            	[傳]三月
에 遂以夫人婦姜至自齊
라하니 尊夫人也
注+ 公子當時之寵號 非族也 故傳不言舍族 釋例 論之備矣 라 
									
                        			
                        			
                        		
	                     		
			                       	
			                       	
	                     		
	                     		
		                        
                        	
                        	
                        	
                        	
                        		
                        		
                        		
                        			
                        			
		                       		
		                       		
		                       		
		                       			
		                        			
		                        				
		                        				 
		                        			
		                       			
		                       			
		                       			
		                       				傳
		                       		
		                        
		                        	
		                        		
		                            	[傳]夏
에 季文子如齊
하야 注+宣公簒立 未列於會 故以賂請之 하다 
									
                        			
                        			
                        		
	                     		
			                       	
			                       	
	                     		
	                     		
		                        
                        	
                        	
                        	
                        	
                        		
                        		
                        		
                        			
                        			
		                       		
		                       		
		                       		
		                       			
		                        			
		                        				
		                        				 
		                        			
		                       			
		                       			
		                       			
		                       				傳
		                       		
		                        
		                        	
		                        		
		                            	[傳]晉人討不用命者
하야 放胥甲父于衛
注+胥甲 軍佐 文十二年戰河曲 不肯薄秦於險 하고 而立胥克
注+克 甲之子 하니 先辛奔齊
注+辛 甲之屬大夫하다 
									
                        			
                        			
                        		
	                     		
			                       	
			                       	
	                     		
	                     		
		                        
                        	
                        	
                        	
                        	
                        		
                        		
                        		
                        			
                        			
		                       		
		                       		
		                       		
		                       			
		                        			
		                        				
		                        				 
		                        			
		                       			
		                       			
		                       			
		                        			
		                       			
		                       			
		                       			
		                        			
		                       			
		                       			
		                       			
		                       				傳
		                       		
		                        
		                        	
		                        		
		                            	[傳]六月
에 齊人取濟西之田
하니 로 以賂齊也
注+濟西 故曹地 僖三十一年 晉文以分魯라 
									
                        			
                        			
                        		
	                     		
			                       	
			                       	
	                     		
	                     		
		                        
                        	
                        	
                        	
                        	
                        		
                        		
                        		
                        			
                        			
		                       		
		                       		
		                       		
		                       			
		                        			
		                        				
		                        				 
		                        			
		                       			
		                       			
		                       			
		                       				傳
		                       		
		                        
		                        	
		                        		
		                            	[傳]宋人之弑昭公也
注+在文十六年에 晉荀林父以諸侯之師伐宋
하니 宋及晉平
하야 宋文公受盟于晉
하다 
									
                        			
                        			
                        		
	                     		
			                       	
			                       	
	                     		
	                     		
		                        
                        	
                        	
                        	
                        	
                        		
                        		
                        		
                        			
                        			
		                       		
		                       		
		                       		
		                        
		                        	
		                        		
		                            	又會諸侯于扈
하야 將爲魯討齊
라가 皆取賂而還
注+文十五年十七年 二扈之盟  [附注] 朱曰 時齊懿公侵暴魯國하니 鄭穆公曰 晉不足與也
라하고 遂受盟于楚
하다 
									
                        			
                        			
                        		
	                     		
			                       	
			                       	
	                     		
	                     		
		                        
                        	
                        	
                        	
                        	
                        		
                        		
                        		
                        			
                        			
		                       		
		                       		
		                       		
		                        
		                        	
		                        		
		                            	陳共公之卒
에 楚人不禮焉
注+卒在文十三年하니 陳靈公受盟于晉
注+[附注] 林曰 十四年 盟新城 十五十七年 兩盟扈하다 
									
                        			
                        			
                        		
	                     		
			                       	
			                       	
	                     		
	                     		
		                        
                        	
                        	
                        	
                        	
                        		
                        		
                        		
                        			
                        			
		                       		
		                       		
		                       		
		                        
		                        	
		                        		
		                            	秋에 楚子侵陳하고 遂侵宋하니 晉趙盾帥師救陳宋하고 會于棐林하야 以伐鄭也하다
		                            	 
									
                        			
                        			
                        		
	                     		
			                       	
			                       	
	                     		
	                     		
		                        
                        	
                        	
                        	
                        	
                        		
                        		
                        		
                        			
                        			
		                       		
		                       		
		                       		
		                        
		                        	
		                        		
		                            	楚蔿賈救鄭
하야 遇于北林
注+與晉師相遇 熒陽中牟縣西南有林亭 在鄭北하야 囚晉解揚
하니 晉人乃還
注+解揚 晉大夫하다 
									
                        			
                        			
                        		
	                     		
			                       	
			                       	
	                     		
	                     		
		                        
                        	
                        	
                        	
                        	
                        		
                        		
                        		
                        			
                        			
		                       		
		                       		
		                       		
		                       			
		                        			
		                        				
		                        				 
		                        			
		                       			
		                       			
		                       			
		                       				傳
		                       		
		                        
		                        	
		                        		
		                            	[傳]晉欲求成於秦
하니 趙穿曰 我侵崇
이면 秦急崇
하야 必救之
注+崇 秦之與國 [附注] 林曰 秦以崇爲急리니 吾以求成焉
이리라 
									
                        			
                        			
                        		
	                     		
			                       	
			                       	
	                     		
	                     		
		                        
                        	
                        	
                        	
                        	
                        		
                        		
                        		
                        			
                        			
		                       		
		                       		
		                       		
		                        
		                        	
		                        		
									
                        			
                        			
                        		
	                     		
			                       	
			                       	
	                     		
	                     		
		                        
                        	
                        	
                        	
                        	
                        		
                        		
                        		
                        			
                        			
		                       		
		                       		
		                       		
		                       			
		                        			
		                        				
		                        				 
		                        			
		                       			
		                       			
		                       			
		                       				傳
		                       		
		                        
		                        	
		                        		
									
                        			
                        			
                        		
	                     		
			                       	
			                       	
	                     		
	                     		
		                        
                        	
                        	
                        	
                        	
                        		
                        		
                        		
                        			
                        			
		                       		
		                       		
		                       		
		                        
		                        	
		                        		
		                            	於是晉侯侈
注+[附注] 林曰 靈公奢侈하니 趙宣子爲政
注+[附注] 林曰 卽趙盾掌中軍하야 驟諫而不入
이라 
									
                        			
                        			
                        		
	                     		
			                       	
			                       	
	                     		
	                     		
		                        
                        	
                        	
                        	
                        	
                        		
                        		
                        		
                        			
                        			
		                       		
		                       		
		                       		
		                        
		                        	
		                        		
									
                        			
                        			
                        		
	                     		
			                       	
			                       	
	                     		
	                     		
		                        
                        	
                        	
                        	
                        	
                   			
                    			
                    				
                    				 
                    			
                   			
                        	
                        	
                        	
                        	
	                       	
	                       	
	                       	
	                       	
							                       	
	                        
	                        
	                        	
	                        
	                        	
	                        		
	                        	
	                        
	                        	
	                        
	                        	
	                        		
	                        	
	                        
	                        	
	                        
	                        	
	                        		
	                        	
	                        
	                        	
	                        
	                        	
	                        		
	                        	
	                        
	                        	
	                        
	                        	
	                        		
	                        	
	                        
	                        	
	                        
	                        	
	                        		
	                        	
	                        
	                        	
	                        
	                        	
	                        		
	                        	
	                        
	                        	
	                        
	                        	
	                        		
	                        	
	                        
	                        	
	                        
	                        	
	                        		
	                        	
	                        
	                        	
	                        
	                        	
	                        		
	                        	
	                        
	                        	
	                        
	                        	
	                        		
	                        	
	                        
	                        	
	                        
	                        	
	                        		
	                        	
	                        
	                        	
	                        
	                        	
	                        		
	                        	
	                        
	                        	
	                        
	                        	
	                        
	                        	
	                        
	                        	
	                        
	                        	
	                        
	                        	
	                        
	                        	
	                        
	                        	
	                        
	                        	
	                        
	                        	
	                        
	                        	
	                        
	                        	
	                        
	                        	
	                        
	                        	
	                        
	                        	
	                        
	                        	
	                        
	                        	
	                        
	                        	
	                        
	                        	
	                        
	                        	
	                        
	                        	
	                        
	                        	
	                        
	                        	
	                        
	                        	
	                        
	                        	
	                        
	                        	
	                        
	                        	
	                        
	                        	
	                        
	                        	
	                        
	                        	
	                        
	                        	
	                        
	                        	
	                        
	                        	
	                        
	                        	
	                        
	                        
	                        
                        	
		                        
		                        
		                        
		                        
                        		
                        	
		                        
		                        
		                        
		                        	
		                        	
		                        
		                        
                        		
                        		
                        			
			                        
			                        	노선공魯宣公상上원년元年 봄 
주왕周王 정월에 
선공宣公이 
즉위卽位하였다.
注+전傳이 없다. 
			                              
                        			
                        		
                        		
	                     		
			                       	
			                       	
	                     		
		                        
                        	
		                        
		                        
		                        
		                        
                        		
                        	
		                        
		                        
		                        
		                        	
		                        	
		                        
		                        
                        		
                        		
                        			
			                        
			                        	공자公子수遂가 
제齊나라에 가서 
선공宣公의 
부인夫人이 될 
제齊나라 
여자女子를 맞이하였다.
注+상중喪中에 취처娶妻한 것을 나무라지 않은 것은 기폄譏貶해 꾸짖지 않아도 예禮를 범犯한 것이 저절로 밝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경卿이 임금을 위해 부인夫人을 맞이한 것은 그 예例가 문공文公 4년에 있다. 
			                              
                        			
                        		
                        		
	                     		
			                       	
			                       	
	                     		
		                        
                        	
		                        
		                        
		                        
		                        
                        		
                        	
		                        
		                        
		                        
		                        	
		                        	
		                        
		                        
                        		
                        		
                        			
			                        
			                        	3월에 
수遂가 
부인夫人부강婦姜을 모시고 
제齊나라에서 돌아왔다.
注+‘부婦’라고 칭稱한 것은 시어머니가 있다는 것을 드러낸 말이다. ‘씨氏’를 쓰지 않은 것은 사관史官이 빠뜨린 것이다.      
                        			
                        		
                        		
	                     		
			                       	
			                       	
	                     		
		                        
                        	
		                        
		                        
		                        
		                        
                        		
                        	
		                        
		                        
		                        
		                        	
		                        	
		                        
		                        
                        		
                        		
                        			
			                             
                        			
                        		
                        		
	                     		
			                       	
			                       	
	                     		
		                        
                        	
		                        
		                        
		                        
		                        
                        		
                        	
		                        
		                        
		                        
		                        	
		                        	
		                        
		                        
                        		
                        		
                        			
			                        
			                        	진晉나라가 그 
대부大夫서갑보胥甲父를 
위衛나라로 
추방追放하였다.
注+방放은 죄罪를 받아 관직官職에서 파면罷免된 자를 용서하여 멀리 보내는 것이다. 
			                              
                        			
                        		
                        		
	                     		
			                       	
			                       	
	                     		
		                        
                        	
		                        
		                        
		                        
		                        
                        		
                        	
		                        
		                        
		                        
		                        	
		                        	
		                        
		                        
                        		
                        		
                        			
			                        
			                        	선공宣公이 
제후齊侯와 
평주平州에서 
회맹會盟하였다.
注+평주平州는 제齊나라 땅으로 태산泰山모현牟縣 서쪽에 있다. 
			                              
                        			
                        		
                        		
	                     		
			                       	
			                       	
	                     		
		                        
                        	
		                        
		                        
		                        
		                        
                        		
                        	
		                        
		                        
		                        
		                        	
		                        	
		                        
		                        
                        		
                        		
                        			
			                             
                        			
                        		
                        		
	                     		
			                       	
			                       	
	                     		
		                        
                        	
		                        
		                        
		                        
		                        
                        		
                        	
		                        
		                        
		                        
		                        	
		                        	
		                        
		                        
                        		
                        		
                        			
			                        
			                        	6월에 
제인齊人이 
제서濟西의 땅을 
취取하였다.
注+노魯나라가 이 땅을 뇌물로 제齊나라에 주었기 때문에 제인齊人은 군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므로 ‘취取’라고 한 것이다.       
                        			
                        		
                        		
	                     		
			                       	
			                       	
	                     		
		                        
                        	
		                        
		                        
		                        
		                        
                        		
                        	
		                        
		                        
		                        
		                        	
		                        	
		                        
		                        
                        		
                        		
                        			
			                        
			                        	가을에 
주자邾子가 와서 
조현朝見하였다.
注+전傳이 없다.      
                        			
                        		
                        		
	                     		
			                       	
			                       	
	                     		
		                        
                        	
		                        
		                        
		                        
		                        
                        		
                        	
		                        
		                        
		                        
		                        	
		                        	
		                        
		                        
                        		
                        		
                        			
			                        
			                        	초자楚子와 
정인鄭人이 
진陳나라를 
침공侵攻하고, 드디어 
송宋나라를 
침공侵攻하니,
注+[부주]林: 희공僖公 4년에 “채蔡나라를 침공侵攻하고, 드디어 초楚나라를 토벌討伐하였다.”고 기록하여 제환공齊桓公이 패자霸者가 되었음을 드러내고, 이곳에 “진陳나라를 침공侵攻하고, 드디어 송宋나라를 침공侵攻하였다.”고 기록하여 초장왕楚莊王이 패자霸者가 되었음을 드러내었다.진晉나라의 
조돈趙盾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진陳나라를 
구원救援하였다.
注+전傳에는 진陳나라와 송宋나라를 구원救援하였다고 말하였는데, 경經에 ‘송宋’字가 없는 것은 궐문闕文인 듯하다.  
			                              
                        			
                        		
                        		
	                     		
			                       	
			                       	
	                     		
		                        
                        	
		                        
		                        
		                        
		                        
                        		
                        	
		                        
		                        
		                        
		                        	
		                        	
		                        
		                        
                        		
                        		
                        			
			                        
			                        	송공宋公‧
진후陳侯‧
위후衛侯‧
조백曹伯이 
진군晉軍과 
비림棐林에서 
회합會合하여 
정鄭나라를 
토벌討伐하였다.
注+진군晉軍이 진陳나라와 송宋나라를 구원救援하였으므로 네 나라 임금이 가서 회합會合하고서 함께 정鄭나라를 토벌討伐한 것이다. 조돈趙盾과 회합會合하였다고 말하지 않은 것은 병회兵會(戰爭을 위한 회합會合)이고, 호회好會(平和를 위한 회합會合)가 아닌 뜻을 취取한 것이다. 비림棐林은 정鄭나라 땅으로, 형양熒陽완릉현宛陵縣 동남쪽에 임향林鄕이 있다. [부주]林: 이는 조돈趙盾이다. 대부大夫로서 제후諸侯의 군대를 부리는 것이 이때부터 비롯하였다. 그러나 경經에 “진군晉軍과 회합會合하였다.”고 한 것은 대부大夫가 제후諸侯의 군대를 부리지 않은 것으로 말을 만든 것이다.  
			                              
                        			
                        		
                        		
	                     		
			                       	
			                       	
	                     		
		                        
                        	
		                        
		                        
		                        
		                        
                        		
                        	
		                        
		                        
		                        
		                        	
		                        	
		                        
		                        
                        		
                        		
                        			
			                        
			                        	겨울에 
진晉나라 
조천趙穿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숭국崇國을 
침공侵攻하였다.
注+[부주]林: 벌伐에 양처보陽處父를 기록하고(文公 3년 경經), 입入에 극결郤缺을 기록하고(文公 15년 경經), 침侵에 조천趙穿을 기록한 뒤로부터 모든 전쟁戰爭에 대부大夫를 기록하였다.      
                        			
                        		
                        		
	                     		
			                       	
			                       	
	                     		
		                        
                        	
		                        
		                        
		                        
		                        
                        		
                        	
		                        
		                        
		                        
		                        	
		                        	
		                        
		                        
                        		
                        		
                        			
			                        
			                        	진인晉人과 송인宋人이 정鄭나라를 토벌討伐하였다.
			                              
                        			
                        		
                        		
	                     		
			                       	
			                       	
	                     		
		                        
                        	
		                        
		                        
		                        
		                        
                        		
                        	
		                        
		                        
		                        
		                        
                        		
                        		
                        		
                        			
                        			
		                       		
		                       		
		                       		
		                       			
		                       			
		                       			
		                       				傳
		                       		
		                       		
		                        		
			                            	원년元年 봄 
주왕周王정월正月에 
공자公子수遂가 
제齊나라로 가서 
여자女子를 맞이하였다고 하였으니, 이는 
군명君命을 
존중尊重한 것이다.
注+제후諸侯의 경卿에 대해 출국出國과 입국入國에 명名과 씨氏를 기록하는 것은 군명君命을 존중尊重하기 위함이다. 전傳을 여기에 낸 것은 돌아온 것을 기록한 글과 그 표현表現이 다르기 때문에 여기에 해석解釋한 것이다.  
			                             
									
                        			
                        			
                        		
	                     		
			                       	
			                       	
	                     		
		                        
                        	
		                        
		                        
		                        
		                        
                        		
                        	
		                        
		                        
		                        
		                        
                        		
                        		
                        		
                        			
                        			
		                       		
		                       		
		                       		
		                       			
		                        			
		                        				
		                        				 
		                        			
		                       			
		                       			
		                       			
		                       				傳
		                       		
		                       		
		                        		
			                            	3월에 
수遂가 
부인夫人부강婦姜을 모시고 
제齊나라에서 돌아왔다고 하였으니, 이는 
부인夫人을 
존중尊重한 것이다.
注+수遂를 공자公子라고 말하지 않아 그 존칭尊稱을 폐기廢棄한 것은 소군小君(君夫人)의 존귀尊貴를 세워주기 위함이다. 공자公子는 당시의 총호寵號이고 족族이 아니기 때문에 전傳에 족族을 기록하지 않은[舍族] 이유를 말하지 않은 것이다. 《춘추석례春秋釋例》에 이를 자세히 논하였다.  
									
                        			
                        			
                        		
	                     		
			                       	
			                       	
	                     		
		                        
                        	
		                        
		                        
		                        
		                        
                        		
                        	
		                        
		                        
		                        
		                        
                        		
                        		
                        		
                        			
                        			
		                       		
		                       		
		                       		
		                       			
		                        			
		                        				
		                        				 
		                        			
		                       			
		                       			
		                       			
		                       				傳
		                       		
		                       		
		                        		
			                            	여름에 
계문자季文子가 
제齊나라에 가서 
뇌물賂物을 바치고 
회맹會盟하기를 
요청要請하였다.
注+선공宣公이 찬립簒立하고서 제후諸侯의 회맹會盟에 열석列席(參與)하지 못하였으므로 뇌물賂物을 주고서 회맹會盟하기를 요청要請한 것이다. 
									
                        			
                        			
                        		
	                     		
			                       	
			                       	
	                     		
		                        
                        	
		                        
		                        
		                        
		                        
                        		
                        	
		                        
		                        
		                        
		                        
                        		
                        		
                        		
                        			
                        			
		                       		
		                       		
		                       		
		                       			
		                        			
		                        				
		                        				 
		                        			
		                       			
		                       			
		                       			
		                       				傳
		                       		
		                       		
		                        		
			                            	진인晉人이 
명령命令을 따르지 않은 자를 
토벌討伐하여 
서갑보胥甲父를 
위衛나라로 
추방追放하고서
注+서갑胥甲은 하군좌下軍佐로 문공文公 12년 하곡河曲의 전쟁戰爭 때 진군秦軍을 험한 곳으로 몰아붙이는 것을 반대反對[不肯]하였다.서극胥克을 
하군좌下軍佐로 세우니,
注+극克은 서갑胥甲의 아들이다. 선신先辛이 
제齊나라로 달아났다.
注+선신先辛은 서갑胥甲의 속대부屬大夫이다.  
			                             
									
                        			
                        			
                        		
	                     		
			                       	
			                       	
	                     		
		                        
                        	
		                        
		                        
		                        
		                        
                        		
                        	
		                        
		                        
		                        
		                        
                        		
                        		
                        		
                        			
                        			
		                       		
		                       		
		                       		
		                       			
		                        			
		                        				
		                        				 
		                        			
		                       			
		                       			
		                       			
		                       				傳
		                       		
		                       		
		                        		
			                            	평주平州에서 
회맹會盟하여 
선공宣公의 
군위君位를 
안정安定시켰다.
注+남의 자리를 찬탈簒奪해 임금이 된 자라 하더라도 제후諸侯가 이미 그와 회맹會盟하였으면 다시 그를 토벌討伐할 수 없고, 신자臣子가 그를 죽이면 임금을 시해弑害한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선공宣公이 제후齊侯와 회맹會盟하자, 군위君位가 안정安定되었다.  
			                             
									
                        			
                        			
                        		
	                     		
			                       	
			                       	
	                     		
		                        
                        	
		                        
		                        
		                        
		                        
                        		
                        	
		                        
		                        
		                        
		                        
                        		
                        		
                        		
                        			
                        			
		                       		
		                       		
		                       		
		                       			
		                        			
		                        				
		                        				 
		                        			
		                       			
		                       			
		                       			
		                       				傳
		                       		
		                       		
		                        		
			                            	동문양중東門襄仲이 
제齊나라에 가서 
회맹會盟해 준 것에 대해 
배사拜謝하였다.
注+회맹會盟해 준 데 대해 사례謝禮한 것이다. 
			                             
									
                        			
                        			
                        		
	                     		
			                       	
			                       	
	                     		
		                        
                        	
		                        
		                        
		                        
		                        
                        		
                        	
		                        
		                        
		                        
		                        
                        		
                        		
                        		
                        			
                        			
		                       		
		                       		
		                       		
		                       			
		                        			
		                        				
		                        				 
		                        			
		                       			
		                       			
		                       			
		                       				傳
		                       		
		                       		
		                        		
			                            	6월에 
제인齊人이 
제서濟西의 땅을 
취取하였으니, 이는 
제후齊侯가 
선공宣公을 세워주었기 때문에 이 땅을 
제齊나라에 
뇌물賂物로 준 것이다.
注+제서濟西는 원래 조曹나라 땅이었는데, 희공僖公 31년에 진문공晉文公이 노魯나라에 나누어준 것이다. 
									
                        			
                        			
                        		
	                     		
			                       	
			                       	
	                     		
		                        
                        	
		                        
		                        
		                        
		                        
                        		
                        	
		                        
		                        
		                        
		                        
                        		
                        		
                        		
                        			
                        			
		                       		
		                       		
		                       		
		                       			
		                        			
		                        				
		                        				 
		                        			
		                       			
		                       			
		                       			
		                       				傳
		                       		
		                       		
		                        		
			                            	송인宋人이 
송소공宋昭公을 
시해弑害했을 때
注+문공文公 16년에 있었다.진晉나라의 
순임보荀林父가 
제후諸侯의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송宋나라를 
토벌討伐하니, 
송宋나라가 
진晉나라와 
화평和平하고서 
송문공宋文公이 
진晉나라의 
맹약盟約을 
접수接受하였다.
 
			                             
									
                        			
                        			
                        		
	                     		
			                       	
			                       	
	                     		
		                        
                        	
		                        
		                        
		                        
		                        
                        		
                        	
		                        
		                        
		                        
		                        
                        		
                        		
                        		
                        			
                        			
		                       		
		                       		
		                       		
		                       		
		                        		
			                            	또 
진晉나라가 
제후諸侯와 
호扈에서 
회합會合하여 
노魯나라를 위해 
제齊나라를 
토벌討伐하려 하다가 모두 
뇌물賂物을 받고 돌아가니,
注+문공文公 15년과 17년에 있었던 호扈에서의 두 차례 회합會合에 모두 뇌물을 받고 환군還軍하였다. [부주]朱: 이때 제의공齊懿公이 노魯나라에 침입侵入해 약탈掠奪하였다. 정목공鄭穆公은 “
진晉나라는 
국교國交를 맺을 만한 나라가 못 된다.”고 하고서, 
초楚나라의 
맹약盟約을 
접수接受하였다. 
 
									
                        			
                        			
                        		
	                     		
			                       	
			                       	
	                     		
		                        
                        	
		                        
		                        
		                        
		                        
                        		
                        	
		                        
		                        
		                        
		                        
                        		
                        		
                        		
                        			
                        			
		                       		
		                       		
		                       		
		                       		
		                        		
			                            	진공공陳共公이 
졸卒하였을 때 
초인楚人이 
조상弔喪의 
예禮를 행하지 않으니,
注+진공공陳共公의 졸卒은 문공文公 13년에 있었다. 진영공陳靈公이 
초楚나라를 버리고 
진晉나라의 
맹약盟約을 
접수接受하였다.
注+[부주]林: 문공文公 14년에 신성新城의 회맹會盟과 15년과 17년에 호扈에서 있었던 두 차례의 회맹會盟에 뇌물賂物을 받고 철군撤軍한 것을 이른다.  
			                             
									
                        			
                        			
                        		
	                     		
			                       	
			                       	
	                     		
		                        
                        	
		                        
		                        
		                        
		                        
                        		
                        	
		                        
		                        
		                        
		                        
                        		
                        		
                        		
                        			
                        			
		                       		
		                       		
		                       		
		                       		
		                        		
			                            	가을에 초자楚子가 진陳나라를 침공侵攻하고 드디어 송宋나라를 침공侵攻하니, 진晉나라 조돈趙盾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진陳나라와 송宋나라를 구원救援하고서, 비림棐林에서 회합會合하여 정鄭나라를 토벌하였다. 
			                             
									
                        			
                        			
                        		
	                     		
			                       	
			                       	
	                     		
		                        
                        	
		                        
		                        
		                        
		                        
                        		
                        	
		                        
		                        
		                        
		                        
                        		
                        		
                        		
                        			
                        			
		                       		
		                       		
		                       		
		                       		
		                        		
			                            	초楚나라 
위가蔿賈가 
정鄭나라를 
구원救援하러 와서 
북림北林에서 
진군晉軍을 만나
注+초군楚軍이 진군晉軍과 서로 만난 것이다. 형양熒陽중모현中牟縣 서남에 임정林亭이 있으니, 정鄭나라 북쪽에 있었다. 진晉나라의 
해양解揚을 
생포生捕하니, 
진인晉人이 
환군還軍하였다.
注+해양解揚은 진晉나라 대부大夫이다.  
			                             
									
                        			
                        			
                        		
	                     		
			                       	
			                       	
	                     		
		                        
                        	
		                        
		                        
		                        
		                        
                        		
                        	
		                        
		                        
		                        
		                        
                        		
                        		
                        		
                        			
                        			
		                       		
		                       		
		                       		
		                       			
		                        			
		                        				
		                        				 
		                        			
		                       			
		                       			
		                       			
		                       				傳
		                       		
		                       		
		                        		
			                            	진晉나라가 
진秦나라와 
화친和親을 
구求하고자 하니, 
조천趙穿이 “우리가 
숭국崇國을 
침공侵攻하면 
진秦나라는 
숭국崇國을 
위급危急하게 여겨 반드시 
구원救援할 것이니,
注+숭국崇國은 진秦나라의 맹방盟邦이다. [부주]林: 진秦나라가 숭국崇國을 위급危急하게 여긴다는 말이다.  우리는 이 기회를 이용해 
진秦나라에 
화친和親을 
요구要求할 수 있을 것이다.”고 하였다.
 
			                             
									
                        			
                        			
                        		
	                     		
			                       	
			                       	
	                     		
		                        
                        	
		                        
		                        
		                        
		                        
                        		
                        	
		                        
		                        
		                        
		                        
                        		
                        		
                        		
                        			
                        			
		                       		
		                       		
		                       		
		                       		
		                        		
			                            	겨울에 조천趙穿이 숭국崇國을 침공侵攻하였으나, 진秦나라는 진晉나라와 화친和親하지 않았다.
			                             
									
                        			
                        			
                        		
	                     		
			                       	
			                       	
	                     		
		                        
                        	
		                        
		                        
		                        
		                        
                        		
                        	
		                        
		                        
		                        
		                        
                        		
                        		
                        		
                        			
                        			
		                       		
		                       		
		                       		
		                       			
		                        			
		                        				
		                        				 
		                        			
		                       			
		                       			
		                       			
		                       				傳
		                       		
		                       		
		                        		
			                            	진인晉人이 
정鄭나라를 토벌하여 
북림北林의 
전쟁戰爭을 
보복報復하였다.
注+해양解揚이 포로捕虜로 잡힌 원한怨恨을 보복報復한 것이다. 
			                             
									
                        			
                        			
                        		
	                     		
			                       	
			                       	
	                     		
		                        
                        	
		                        
		                        
		                        
		                        
                        		
                        	
		                        
		                        
		                        
		                        
                        		
                        		
                        		
                        			
                        			
		                       		
		                       		
		                       		
		                       		
		                        		
			                            	이때 
진후晉侯의 
사치奢侈가 심하니,
注+[부주]林: 진영공晉靈公의 사치奢侈가 심한 것이다. 조선자趙宣子가 
집정執政으로
注+[부주]林: 바로 조돈趙盾이 중군中軍을 맡은 것을 이른다. 누차 
간諫하였으나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국력國力이 
쇠약衰弱하여 
초楚나라와 
경쟁競爭하지 못한 것이다.
注+경競은 강强함이다. 명년明年에 정鄭나라가 송宋나라를 토벌하는 장본張本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