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2)

장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之敎 하야 有問而應之호대 盡其所懷하야 하나니라
覩無者 니라


대인의 가르침은 마치 형체와 그림자, 소리와 메아리의 관계와 같아서 남이 물으면 대답하되 자기가 생각하는 것을 극진히 하여 천하의 모든 사람과 짝이 된다.
메아리 없는 곳에 머물며 일정한 장소를 가리지 않고 움직여서 그대들을 데리고 어지럽고 혼돈한 카오스[道]의 세계로 〈몇 번이고〉 왕복하면서 〈끝없는 경지에〉 한없이 노닐며 출입함에 일정한 장소가 없으며 해와 함께 시간의 흐름을 초월하여 그 말과 몸이 커다란 만물제동萬物齊同의 세계와 부합된다.
커다란 만물제동萬物齊同의 도를 이루어 자기가 없으니 자기가 없는데 어떻게 있는 것을 있다 할 수 있겠는가.
있는 것만 보는 사람들은 옛날의 군자들이고, 없는 것을 보는 이는 천지의 벗이다.


역주
역주1 大人 : 《莊子》에서는 〈秋水〉, 〈知北遊〉, 〈徐无鬼〉, 〈則陽〉편 등에 보이며 《論語》 《孟子》는 물론이고 《墨子》를 비롯한 제자서에도 빈번히 나오지만 池田知久의 지적처럼 본래 유가의 용어로 보는 것이 옳다. 丁若鏞에 의하면 大人은 “덕이 훌륭한 사람, 지위가 높은 사람, 아버지, 몸집이 큰 사람[德大者 位大者 嚴父 體大者].” 등 네 경우에 쓰인다고 한다. 여기서는 물론 덕이 훌륭한 사람에 해당하는 의미로 쓰였을 것이며 《莊子》에 빈번히 나오는 방식으로 표현하면 神人, 至人, 聖人 등에 가깝다. 福永光司는 大人을 아예 至人과의 同義語로 간주하고 앞 章의 ‘独有之人’을 답습한 것이라고 하고 있다.
역주2 若形之於影 聲之於響 : 형체와 그림자, 소리와 메아리의 관계와 같음. 響 아래에 也자가 있는 인용문도 있다(王叔岷). 池田知久는 “馬叙倫은 그림자와 형체, 메아리와 소리[影之於形 響之於聲]가 도치된 문장이라 했지만 赤塚忠이 於를 與로 본 주석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는데 두 說이 다 참고가 된다.
역주3 爲天下配 : 천하의 모든 사람과 짝이 됨. 대인은 남의 질문에 자기가 생각하는 것을 극진히 하여(다 내보여 주어) 천하의 누구와도 대담 상대가 된다(伴侶가 된다)는 뜻. 配는 成玄英이 “짝이다[匹也].”라고 풀이한 것이 적절하다. 대의는 郭象이 “질문하는 사람이 주인인데 그에게 대답하기 때문에 짝이 된다[問者爲主 應故爲配].”라고 풀이한 것이 좋다. 《老子》 제28장에 ‘爲天下谿’, ‘爲天下谷’ 등 이와 유사한 표현이 있다.
역주4 處乎無響 行乎無方 : 메아리 없는 곳에 머물며 일정한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자유자재로 움직임. 郭象은 “고요히 사물을 기다리고 사물에 따라 변화한다[寂以待物 隨物轉化].”라고 풀이했다. 褚伯秀는 響을 方으로 풀이했는데 池田知久의 지적처럼 無方이 중복되므로 택하지 않는다. 赤塚忠은 鄕의 假借로 보고 無鄕을 〈逍遙遊〉편의 ‘無何有之鄕’이라 했는데 이 역시 池田知久의 지적처럼 다소 무리한 해석이다.
역주5 挈汝適復之撓撓 : 그대들을 데리고 어지럽고 혼돈한 카오스[道]의 세계로 〈몇 번이고〉 왕복함. 《經典釋文》에서는 《廣雅》를 인용하여 挈을 ‘데리고 감[持]’으로 풀이했다. 汝는 郭象의 ‘萬物’, 成玄英의 ‘너희들 여러 품[汝等羣品]’, 呂惠卿의 ‘天下’, 林希逸의 ‘온 세상 사람들을 지칭함[指擧世之人]’ 등 여러 견해가 있으나 내용상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赤塚忠은 이 편 제3장의 “내가 당신을 위하여 해나 달 같은 커다란 광명이 있는 하늘 위에 올라갈 것[我爲女遂於大明之上矣].”이라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했지만 池田知久의 지적처럼 여기에는 질문자와 대답하는 자가 따로 등장하지 않으므로 작자가 독자에게 한 말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適과 復은 朱得之가 각각 往과 來로 풀이한 것이 적절하다. 之는 於와 같다(朱得之). 撓撓는 郭象과 成玄英이 “스스로 움직임이다[自動也].”라고 풀이했지만 兪樾이 어지러운 모습으로 풀이한 것이 무난하다. 다만 世俗人들에 대한 형용은 아니고 아래 문장의 無端‧無旁‧無始와 나란히 혼돈한 카오스의 道의 한 측면을 말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池田知久).
역주6 以遊無端 : 〈끝없는 경지에〉 한없이 노닒. 無端은 〈達生〉편, 〈田子方〉편에도 보인다. 成玄英은 “조짐이나 자취의 끝이 없다[無朕迹之端崖].”라고 풀이했다.
역주7 出入無旁 : 출입함에 일정한 장소가 없음. 旁은 章炳麟의 견해를 따라 方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대의는 呂惠卿이 “장소를 한정할 수 없음이다[方之所不能閡也].”라고 풀이한 것이 좋다.
역주8 與日無始 : 해와 함께 시작이 없음. 시간의 흐름을 초월한 영원한 존재라는 뜻. 呂惠卿은 “때를 한정할 수 없음이다[時之所不能拘也].”라고 풀이했다. 〈大宗師〉편 제1장에 “해와 달이 그것을 얻어서 영원토록 쉬지 않는다[日月得之 終古不息].”라고 한 내용과 유사한 표현이다.
역주9 頌論形軀 : 말과 몸. 대의는 郭象이 “그 모습이 천지와 다름이 없다[其形容 與天地無異].”라고 풀이한 것이 무난하나, 成玄英이 “頌은 찬송함이고 論은 말이다[頌 贊 論 語].”라고 풀이한 것을 근거로 말과 몸으로 번역함. 林希逸, 褚伯秀, 朱得之, 林雲銘, 宣穎 등 대다수의 학자들이 頌論을 동사로 形軀를 명사로 읽었다고 지적한 池田知久도 그렇고, 章炳麟의 說을 끌어서 해석하고 있는 福永光司도 모두 頌論과 形軀를 명사와 명사로 보았다. 池田知久는 精神과 肉體(또는 문장‧議論과 肉體)로, 福永光司는 容貌와 體軀로 풀이하고 있다.
역주10 合乎大同 : 커다란 만물제동의 세계와 부합됨. 大同은 이 편 제4장의 “혼돈한 도와 완전히 같아질 것[大同乎涬溟].”이라고 한 부분, 그리고 〈齊物論〉편 제1장의 “天地도 나와 나란히 生하고 萬物도 나와 하나이다[天地與我竝生 而萬物與我爲一].”라고 한 내용과 거의 같은 思想의 표현이다(池田知久).
역주11 大同而無己 無己 惡乎得有有 : 커다란 만물제동의 도를 이루어 자기가 없으니, 자기가 없는데 어떻게 있는 것을 있다 할 수 있겠는가. 郭象은 “내가 있게 되면 만물제동의 세계를 이룰 수 없다[有己則不能大同也].”라고 풀이했고, 林希逸은 “내 몸이 이미 만물과 같아지면 스스로 사심을 부릴 수 없어서 자기가 없게 될 것이다. 이미 자기가 없으니 무엇을 있는 것으로 여기겠는가[我身旣與萬物皆同 則不得而自私無己矣 旣已無己 則何者爲有].”라고 풀이했다. ‘惡乎得有有’에서 위의 有는 ‘있는 것으로 간주하다’, ‘존재한다고 인정하다’는 뜻이고 아래의 有는 池田知久도 지적하였듯이 萬物‧世界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福永光司는 아래의 有를 物‧存在‧現象의 뜻으로 보아 ‘有有’를 현상 세계의 차별과 대립의 相에 집착함을 말한다고 하고 있다.
역주12 覩有者 : 있는 것만 보는 사람들. 잡다한 有의 세계에 눈을 빼앗기는 사람들을 말함.
역주13 昔之君子 : 옛날의 군자들. 堯‧舜 등 儒家의 聖人을 지칭하는 것. 天地之友에 비해 貶下한 표현.
역주14 天地之友 : 천지의 벗. 〈大宗師〉편, 〈應帝王〉편에 “조물자와 벗이 된다[與造物者爲人].”는 유사한 표현이 있다.

장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