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3)

장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列禦寇 爲하야하더니 하니 이러라
發之하니 이어늘 하더니 當是時하야 猶象人也러라
伯昏無人
嘗與汝 登高山하야 履危石하야 臨百仞之淵이면 能射乎
於是 無人 遂登高山하야 履危石하야 臨百仞之淵하고도
禦寇 伏地하야 汗流至踵이어늘
伯昏無人
夫至人者 上闚靑天하며 下潛黃泉하며 하야도 神氣不變하나니 今汝 인저


열어구列禦寇백혼무인伯昏無人을 위하여 활쏘기의 기술을 보였는데, 그가 활을 끝까지 잡아당겼더니 〈그 자세가 반듯하여〉 물을 담은 잔을 왼쪽 팔꿈치 위에 올려놓을 수 있었다.
그런 자세로 화살을 쏘았는데 화살을 쏜 뒤 이어지는 화살을 계속 쏘자, 나란히 날아가는 화살이 다시 앞의 화살에 바짝 다가가 몸을 붙이는 것 같았는데 이때에 그는 마치 본떠 만든 인형人形 같았다.
그러나 옆에서 보고 있던 백혼무인伯昏無人이 말했다.
“이것은 활쏘기를 의식한 활쏘기이지 활쏘기를 초월한 활쏘기는 아니다.
시험 삼아 너와 함께 높은 산에 올라가 위태로운 바위를 밟고 서서 백 길이나 되는 깊은 못을 내려다보면서도 너는 활을 잘 쏠 수 있을 것인가.”
이에 백혼무인伯昏無人이 〈열어구列禦寇를 데리고〉 마침내 높은 산에 올라 위태로운 바위를 밟고 서서 백 길의 깊은 못을 내려다보았다.
못을 등지고 뒷걸음질 쳐서 발의 3분의 2가 바위 밖 공중으로 내민 채 열어구列禦寇에게 읍하고서 그를 앞으로 나오게 하였다.
그랬더니 열어구列禦寇는 땅에 엎드린 채 식은 땀을 흘려 발꿈치에까지 이르렀다.
백혼무인伯昏無人이 말했다.
“무릇 지인至人은 위로는 푸른 하늘을 엿보고 아래로는 황천黃泉 속에 잠기며 우주의 팔방 끝까지를 자유로이 날아다니면서도 신기神氣가 조금도 변하지 않는데 지금 너는 벌벌 떨면서 눈이 두려워하는 정도의 심지를 가지고 있으니 너는 화살을 명중시키기가 어려울 것이다.”


역주
역주1 伯昏無人 : 人名. 열자의 스승. 〈德充符〉편에 申徒嘉와 子産이 伯昏無人에게 함께 배웠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또 〈列禦寇〉편에도 伯昏無人에 대한 이야기가 전한다.
역주2 引之盈貫 : 활을 끝까지 잡아당김. 盈貫은 화살촉이 있는 곳까지 활을 끝까지 잡아당겼다는 뜻이다. 貫은 화살촉[鏑]이다(司馬彪, 林雲銘 등).
역주3 措杯水其肘上 : 물을 담은 잔을 왼쪽 팔꿈치 위에 올려놓을 수 있음. 자세가 반듯함을 비유한 표현이다.
역주4 適矢復沓 : 이어지는 화살이 다시 겹쳐짐. 화살을 쏜 뒤 이어지는 화살을 계속 쏜다는 뜻. 첫 번째 화살을 쏜 뒤에 다시 두 번째 화살이 활에 걸렸다는 뜻이다. 陸西星은 “앞의 화살이 막 떠나고 나서 뒤의 화살이 다시 활에 올려짐을 말함이다[言前矢適去 而後矢復搭].”고 풀이했다.
역주5 方矢復寓 : 나란히 날아가는 화살이 다시 앞의 화살에 바짝 다가가 몸을 붙이는 것 같음. 화살과 화살이 꼬리를 문 것처럼 이어짐을 표현한 대목이다.
역주6 是 射之射 非不射之射也 : 이것은 활쏘기를 의식한 활쏘기이지 활쏘기를 초월한 활쏘기는 아님. 바로 앞 제8장의 ‘낚시질 하지 않는 낚시질[其釣莫釣]’과 통하는 비유이다.
역주7 背逡巡 足二分垂在外 : 못을 등지고 뒷걸음질 쳐서 발의 3분의 2가 바위 밖 공중으로 내민 채로. 背逡巡은 못을 등지고 뒤로 물러난다는 뜻이다. 成玄英은 “연못을 등지고 뒤로 물러남이다[背淵卻行].”고 풀이했다. 足二分垂在外는 발의 3분의 2가 바위 밖으로 나가 있다는 뜻으로 垂자의 정확한 의미는 〈天地〉편 제14장을 참조할 것.
역주8 揖禦寇而進之 : 열어구에게 읍하여 그를 앞으로 나오게 함. 進之는 그를 앞으로 나오게 했다는 뜻이다.
역주9 揮斥八極 : 팔방 끝까지를 자유로이 날아다님. 郭象은 揮斥을 “자유롭게 돌아다님이다[猶放縱].”고 풀이했다.
역주10 怵然有恂目之志 爾於中也 殆矣夫 : 벌벌 떨면서 눈이 두려워하는 정도의 심지를 가지고 있으니 너는 화살을 명중시키기가 어려울 것임. 恂은 두려워하는 모양. 〈齊物論〉 제3장의 ‘木處則惴慄恂懼’의 경우처럼 ‘惴․慄․恂․懼’는 모두 두려워하는 모양이다. 殆矣는 위태로움. 여기서는 어렵다는 뜻.

장자(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