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3)

장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莊子送葬할새 過惠子之墓하다가 顧謂從者曰
郢人 이어늘 使匠石으로 斲之한대 匠石 호대 하며 郢人 立不失容하야늘
聞之하고 召匠石曰 嘗試爲寡人하야 爲之하라
匠石曰 臣則嘗能斲之호니 雖然이나 臣之質 死久矣라하니


장자莊子가 장례식에 참석하려고 혜자惠子의 묘 앞을 지나가다가 따르는 제자를 돌아보고 말했다.
땅 사람 중에 자기 코끝에다 백토를 파리날개 만큼 얇게 바르고 장석匠石에게 그것을 깎아 내게 하자 장석이 도끼를 바람소리가 날 정도로 휘둘러 백토를 깎았는데 백토는 다 깎여졌지만 코는 다치지 않았고 영 땅 사람도 똑바로 서서 모습을 잃어버리지 않았다.
나라 원군元君이 그 이야기를 듣고 장석을 불러 ‘어디 시험 삼아 내게도 해 보여 주게.’ 하니까
장석은 ‘제가 이전에는 그렇게 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그 기술의 근원이 되는 상대가 죽은 지 오래되었습니다.’ 하더니만
지금 나도 혜시가 죽은 뒤로 장석처럼 상대가 없어져서 더불어 이야기할 사람이 없어졌다.”


역주
역주1 堊(악)漫其鼻端 若蠅翼 : 자기 코끝에다 백토를 파리날개 만큼 얇게 바름. 堊은 백색의 흙. 漫은 바름. 成玄英은 汚와 같다고 풀이했다. 蠅翼은 파리날개.
역주2 運斤成風 聽而斲之 : 도끼를 바람소리가 날 정도로 휘둘러 백토를 깎음. 運斤은 도끼를 휘두름. 聽而斲之는 영 땅 사람이 도끼 소리만 듣고 있을 뿐 그대로 백토를 깎아 내게 했다는 뜻이다.
역주3 盡堊而鼻不傷 : 백토는 다 깎여졌지만 코는 다치지 않음. 王叔岷은 ‘盡堊’이 ‘堊盡’으로 된 인용문을 소개하고 본래 ‘堊盡’이었는데 잘못 ‘盡堊’으로 도치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는데 그럴 가능성이 있다.
역주4 宋元君 : 송나라 임금. 곧 宋나라 元公이다.
역주5 自夫子之死也 吾無以爲質矣 吾無與言之矣 : 나도 혜시가 죽은 뒤로 상대가 없어져서 더불어 이야기할 사람이 없어짐. 夫子는 혜시를 지칭한다. 장석의 상대가 죽어서 더 이상 묘기를 부리지 못한 것처럼 장자 또한 말 상대였던 혜시가 죽고 난 뒤 함께 이야기할 사람이 없게 되었다는 뜻이다.

장자(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