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4)

장자(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라가 遇仲尼하고하야 以告曰
老萊子曰
是丘也로다
召而來하라
仲尼至커늘
去汝 躬矜 與汝 容知하면
仲尼 揖而退하야
老萊子曰
하나니 與其譽堯而非桀 不如兩忘而閉其所譽니라
聖人 躊躇以興事하야
以每成功하나니


노래자老萊子의 제자가 들판에 나가서 땔나무를 하다가 중니仲尼를 만나고, 돌아와 노래자老萊子에게 고하여 말했다.
“땔나무 하러 간 그곳에 어떤 사람이 있었는데 상반신이 길고 하반신이 짧으며 등줄기가 굽은 데다 머리 뒤쪽에 귀가 붙어 있고, 눈초리는 온 세계를 경영하는 것처럼 날카로워 보였습니다.
이 사람은 누구의 자식인지요?”
노래자老萊子가 말했다.
“그 사람은 공구孔丘이다.
불러오너라.”
중니仲尼가 이르자 노래자老萊子가 말했다.
야.
그대의 스스로 뽐내는 태도와 그대의 아는 체하는 얼굴을 버려라.
그러면 군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중니가 깜짝 놀라 두려워하면서 읍을 하고 뒤로 물러나 안색을 바꾸고 용모를 가다듬어 고치고 물었다.
“저의 학업을 더 나아가게 할 수 있겠습니까?”
노래자老萊子가 말했다.
“〈그대는〉 한 시대 백성들의 고통을 차마 보지 못하여 만세萬世의 근심거리를 아무렇지 않게 여기고 있으니, 도대체 본디 마음이 협소하여서인가, 아니면 지략知略이 미치지 못하여서인가?
타인에게 작은 은혜를 베푼다고 하여 기뻐하고 평생의 수치를 아무렇지 않게 여기니 평범한 사람들의 행동도 이보다는 더 나을 것이다.
〈또 그대는〉 명성을 가지고 서로 끌어대고 사사로운 으로 서로 패거리를 결성하니 를 칭찬하고 을 비난하는 것보다는 양쪽을 다 잊고 훼예포폄毁譽褒貶하는 자의적 평가를 막아버리는 것이 낫다.
이를 어기면 남을 해치는 것이 아님이 없으며 인위적인 행동을 일삼아 움직이면 사악하지 않음이 없게 된다.
성인은 주저하면서 일을 시작해서 항상 성공한다.
그러니 어찌하여 일을 잘하고서 〈마지막에〉 뽐내고 자랑하는 것으로 마치겠는가.”


역주
역주1 老萊子之弟子出薪 : 老萊子의 제자가 땔나무 하러 나감. 老萊子는 司馬遷의 《史記》 〈老莊申韓列傳〉에 “노래자는 또한 초나라 사람으로 저서 15편이 있는데 도가의 쓰임을 말했고 공자와 동시대라고 한다[老萊子亦楚人也 著書十五篇 言道家之用 與孔子同時云].”라고 하여 李耳, 老聃과 함께 세 명의 노자 중 한 사람으로 소개되어 있다. 出薪은 《莊子闕誤》에서 인용한 張君房본에는 ‘出拾薪’으로 표기되어 있고, 이 밖에 ‘出拾薪’, ‘出採薪’으로 표기되어 있는 판본도 있고(陳景元), ‘出取薪’으로 표기되어 있는 판본도 있다(狩野直喜). 굳이 글자를 고칠 것까지는 없고 陸德明이 “나가서 땔나무 함이다[出採薪也].”라고 한 풀이를 따른다. 한편 成玄英은 “노래자는 초나라의 현인으로 은자였다. 일찍이 몽산에 은거한 적이 있었는데 초나라 왕이 그가 현인인 줄 알고 사신을 보내 그를 불러 재상으로 삼으려 했다. 그 아내가 땔나무 하러 갔다가 밖에서 돌아오는데 문 앞에 수레바퀴 자국이 나 있는 것을 보고 아내가 그 까닭을 물었다. 노래가 말하기를 ‘초나라 왕이 나를 불러 재상으로 삼으려 한다.’고 하자, 아내가 ‘다른 사람의 재물을 받으면 다른 사람의 제재를 받게 된다.’고 하고 아내는 마침내 버리고 떠났다. 노래도 그 아내를 따라갔는데 지아비는 짐을 등에 지고 아내는 짐을 머리에 이고 강남으로 도망갔는데 아무도 간 곳을 알지 못한다고 했다. 여기에 나가서 땔나무 했다는 것은 바로 채초, 땔나무 하러 갔던 것이다. 이미 공자를 만나 보고 나서 돌아가 그 스승에게 말한 것이다[老萊子 楚之賢人隱者也 常隱蒙山 楚王知其賢 遣使召爲相 其妻采樵歸 見門前有車馬跡 妻問其故 老萊曰 楚王召我爲相 妻曰 受人有者 必爲人所制 妻遂捨而去 老萊隨之 夫負妻戴 逃於江南 莫知所之 出取薪者 采樵也 旣見孔子 歸告其師].”라고 풀이했는데 어디에 근거한 이야기인지는 모르나 참고할 만한 사항으로 소개해 둔다.
역주2 有人於彼하니 脩上而趨下 : 땔나무 하러 간 그곳에 어떤 사람이 있었는데 상반신이 길고 하반신이 짧았음. 脩上而趨下는 상체는 길고 하체는 짧다는 뜻. 郭象은 “상체가 길고 하체는 짧음이다[長上而促下也].”라고 풀이했다. 趨은 ‘빠를 촉’, ‘재촉할 촉’, ‘부추길 촉’ 등의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짧을 촉’으로 쓰였다. 李頤는 趨下를 “하체가 짧음이다[下短也].”라고 풀이했다.
역주3 末僂而後耳 : 등줄기가 굽은 데다 머리 뒤쪽에 귀가 붙어 있음. 末은 어깨와 등. 成玄英은 “末은 어깨와 등이다[末 肩背也].”라고 풀이했다. 僂는 ‘곱사등이 루’, ‘굽을 루’. 따라서 末僂는 등줄기가 굽었다는 뜻으로 孔子 꼽추설이 제기된 근거의 하나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역주4 視若營四海 : 눈초리는 온 세계를 경영하는 것처럼 날카로워 보였음. 視若은 눈초리. 곧 중니의 눈초리를 말한다. 郭象은 視를 老萊子의 제자가 보는 것으로 간주하였으나 적절치 않다. 한편 福永光司와 金谷治 등은 ‘눈초리[視稱]는 안정감이 없이 四海 안에 무엇인가를 구하고 있는 것과 같았다.’고 풀이하기도 했다. 營은 求와 같다(馬叙倫).
역주5 不知其誰氏之子 : 이 사람은 누구의 자식인지 알지 못함. 阮毓崧은 《老子》 제4장에서 “나는 그것이 누구의 자식인지 알 수 없다. 생각해보면 아마도 상제보다 앞설 것이다[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라고 한 대목을 차용한 표현이라고 했는데 참고할 만하다.
역주6 去汝躬矜 與汝容知 斯爲君子矣 : 그대의 스스로 뽐내는 태도와 그대의 아는 체하는 얼굴을 버려라. 그러면 군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躬矜은 ‘자긍심’. 容知는 ‘아는 체하는 표정’, ‘용모의 飾知’. 王敔, 宣穎은 ‘용모에까지 드러나는 知性’이라고 풀이함. 《史記》 〈老莊申韓列傳〉에서 노자가 공자를 보고 “군자는 덕이 성대한지라 용모가 마치 어리석은 이와 같다. 그대의 교만한 기색과 많은 욕심, 태만한 기색과 지나친 뜻을 없애라[君子盛德 容貌若愚 去子之驕氣與多欲 態色與淫志].”라고 한 표현과 유사하다.
역주7 蹙然改容而問 : 깜짝 놀라 안색을 바꾸고 용모를 가다듬어 고치고 물음. 〈德充符〉편 제2장의 申徒嘉와 子産의 대화 중에서도 ‘蹙然改容更貌’라고 하여 거의 같은 표현이 나온다. 蹙然은 깜짝 놀라는 모양. 成玄英은 “蹙然은 놀라고 두려워하는 모양이다[蹙然 驚恐貌].”라고 풀이했다.
역주8 業可得進乎 : 학업을 더 나아가게 할 수 있겠습니까? 학업에 대해 좀 더 가르침을 받고자 한다는 뜻.
역주9 夫不忍一世之傷하야 而驁萬世之患 : 한 시대 백성들의 고통을 차마 보지 못하여 萬世의 근심거리를 아무렇지 않게 여기고 있음. 백성들을 구제한답시고 인의도덕이니 하는 덕목을 만들어내서 근심거리를 함부로 만들어내고 있다는 뜻이다. 驁는 ‘경시할 오’. 陸德明은 “敖로 된 판본도 있다[本亦作敖].”라고 풀이했고, 成玄英은 “騖자로 된 경우도 있는데 만세토록 말이 치달리듯 쉬지 않음을 말함이니 이 또한 분주히 움직인다는 뜻이다[亦有作騖者 云使萬代驅騖不息 亦是奔馳之義也].”라고 풀이했다. 福永光司는 ‘멋대로 함’이라고 풀이했는데 의미는 통한다. ‘萬世之患’은 〈庚桑楚〉편과 〈徐无鬼〉편에 나온 것처럼 萬世 뒤에 사람과 사람이 서로 잡아먹는 재앙을 말한다. 그러므로 ‘驁萬世之患’은 만세의 근심거리를 만드는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고 있다는 뜻, 또는 만세의 화근을 만드는 일에 부지런히 奔馳하고 있다는 뜻이다.
역주10 抑固窶邪 : 도대체 본디 마음이 협소하여서인가. 이 부분에 대해 ‘애당초 곤궁함을 바라서였던가.’라고 풀이하는 견해도 있으나 타당하지 않다. 抑은 ‘도대체’.
역주11 亡其略의 弗及邪 : 아니면 知略이 미치지 못하여서인가. 亡其는 ‘아니면’. 成玄英은 亡를 ‘亡失’의 뜻으로 보았는데 池田知久의 지적처럼 옳지 않다. 略은 知略(林希逸).
역주12 惠以歡爲하고 驁終身之醜하니(어늘) 中民之行이 進焉耳 : 작은 은혜를 베푼다고 하여 기뻐하고 평생의 수치를 아무렇지 않게 여기니 평범한 사람들의 행동도 이보다는 더 나을 것임. 郭慶藩의 《莊子集釋》에서는 이 부분을 ‘惠以歡爲驁 終身之醜’로 絶句했지만 취하지 않는다. 惠는 施惠, 곧 은혜를 베푼다는 뜻. 郭慶藩에 의하면, 《莊子闕誤》를 비롯 ‘行’ 다음에 ‘易’字가 붙어 있는 판본도 있다.
역주13 相引以名 相結以隱 : 명성을 가지고 서로 끌어대고 사사로운 情으로 서로 패거리를 결성함. 名은 名譽. 隱은 私의 뜻으로 사사로운 인정을 말한다. 兪樾은 “隱은 마땅히 私의 뜻으로 풀이해야 한다[隱當訓爲私].”고 풀이했다.
역주14 反無非傷也 動無非邪也 : 어기면 남을 해치는 것이 아님이 없으며 인위적인 행동을 일삼아 움직이면 사악하지 않음이 없게 됨. 郭象은 “이 도리를 따르면 온전해지고 고요히 지키면 올바르게 된다[順之則全 靜之則正].”라고 풀이했다. 成玄英은 “사물의 본성을 어기면 손상되지 않음이 없고 마음의 영명함이 동요하게 되면 모두 올바른 법도가 아니다[夫反於物性 無不傷損 擾動心靈 皆非正法].”라고 풀이했다.
역주15 奈何哉 其載焉終矜爾 : 어찌하여 일을 잘하고서 〈마지막에〉 뽐내고 자랑하는 것으로 마치겠는가. 載는 일을 잘해 나간다는 뜻. 羅勉道는 “載는 행함과 같다[載 猶行也].”라고 풀이했다. 載가 일, 또는 일한다는 뜻으로 쓰인 용례는 《詩經》과 《中庸》의 ‘上天之載’를 비롯 여러 곳에 보인다.

장자(4)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