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1)

장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蘧伯玉曰
善哉 問乎
戒之愼之하야 어다
雖然이나 하니 이오 호리니
戒之愼之하라
不知夫養虎者乎


안합顔闔위영공衛靈公의 태자를 가르치는 스승이 되었을 때 거백옥蘧伯玉에게 물었다.
“여기에 어떤 사람이 있는데 그 이 나면서부터 잔인합니다.
만약 제가 그와 함께 무도한 짓을 저지른다면 우리나라를 위태롭게 할 것이고 그와 더불어 법도에 맞는 일을 실천하려고 한다면 제 몸을 위태롭게 할 것입니다.
그 사람의 지혜는 다만 다른 사람의 과실을 아는 데 충분할 뿐이고 자신의 과실을 알지는 못하니 제가 그 같은 사람을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거백옥이 이렇게 말했다.
“좋구나, 질문이여!
경계하고 삼가서 네 몸을 바르게 해야 할 것이다.
겉모습은 그를 따르는 것보다 좋은 방법이 없고, 마음은 그와 화합하면서 그를 감화시키는 것보다 좋은 방법이 없다.
비록 그러하나 이 두 가지 입장을 취한다 하더라도 재앙이 있을 것이니 겉으로 그를 따르더라도 자신이 빠져 들어가지 않게 하고 마음으로 그와 화합하더라도 그를 감화시키려는 속마음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해야 할 것이다.
겉으로 따르다가 빠져 들어가게 되면 자신이 전도顚倒되고 멸식滅息되며 붕괴되고 넘어질 것이고, 마음으로 화합하려고 하다가 그를 감화하려는 속마음이 겉으로 드러나면 명성이 널리 알려져서 재앙을 초래할 것이다.
그가 어린아이처럼 행동하면 그대도 그와 함께 어린아이처럼 행동하고, 그가 절도 없이 멋대로 행동하면 그대도 그와 함께 절도 없이 멋대로 행동하고, 그가 터무니없는 행동을 하면 그대도 그와 함께 터무니없는 행동을 해야 할 것이니, 이런 식의 행동에 통달하게 되면 마침내 허물이 없는 처지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
“그대도 당랑螳蜋의 일을 알고 있을 것이다.
당랑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에 맞서 자신이 감당할 수 없음을 알지 못하니 이것은 자신의 재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경계하고 삼가라.
자신의 능력을 자랑하여 남을 업신여기는 자는 그것으로 태자를 거슬리는 것이니 위태롭다.
그대는 또 범을 사육하는 사람에 대해 알고 있을 것이다.
감히 산 채로 음식을 주지 않는 것은 범이 그것을 죽이려는 성냄을 일으킬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또 감히 〈죽은 동물이라 하더라도〉 한 마리를 통째로 주지 않는 것은 범이 그것을 찢어발기려는 성냄을 일으킬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범의 배고픔과 배부름에 꼭 맞추어 음식을 주어서 성내는 마음이 〈다른 곳으로〉 발산되게 하면 범과 사람은 종류를 달리하지만 범이 자신을 사육하는 사람을 잘 따르는 것은 〈사육하는 사람이〉 범의 자연스런 본성을 따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간혹 범이 자신을 사육하는 사람을 죽이는 것은 〈사육하는 사람이〉 범의 자연스런 본성을 거슬렀기 때문이다.
말을 아끼는 사람이 네모난 대광주리에 말똥을 담고 커다란 조개껍질에 말오줌을 담〈을 정도로 말을 극진히 보살피〉다가 마침 모기나 등에가 말등에 붙어 있는 것을 보고 〈그것을 잡기 위해〉 갑자기 말등을 때리면 〈말은 깜짝 놀라〉 재갈을 물어뜯고 사육하는 사람의 머리를 들이받아 훼손하고 가슴을 걷어차 박살낼 것이니 이처럼 뜻이 〈모기를 쫓아 주어야겠다는〉 한 가지 목적에만 사로잡히면 사랑하는 방법을 잃어버리니 삼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역주
역주1 顔闔 : 姓은 顔, 이름은 闔, 노나라의 賢人으로 전해진다. 뒤의 〈讓王〉편과 〈列御寇〉편에도 나온다.
역주2 將傅衛靈公大(태)子 : 위령공의 태자를 가르치는 스승이 되려 했을 때. 곧 衛靈公의 太子傅가 되려 했다는 뜻. 위령공의 太子는 훗날의 위나라 莊公이 된 蒯聵로 폭정을 저지른 인물로 알려져 있다. 大는 太로 되어 있는 텍스트가 있다.
역주3 蘧伯玉 : 성은 蘧, 이름은 瑗, 伯玉은 字. 衛나라의 賢人. 〈則陽〉편에도 나온다. 《論語》(〈憲問〉‧〈衛靈公〉편)에도 보인다.
역주4 有人於此 : 여기에 어떤 사람이 있음. 태자 蒯聵를 두고 가정해서 하는 말이다.
역주5 其德天殺 : 그 덕이 나면서부터 잔인합니다. 劉辰翁은 “天殺은 각박한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말한 것과 같다[天殺 猶言生成刻薄人也].”고 풀이했다. 成玄英은 “蒯聵가 天然의 凶德을 받고 태어나 殺戮을 흡족하게 여긴다[蒯聵稟天然之凶德 持殺戮以快心].”는 뜻으로 풀이했다.
역주6 與之爲無方 則危吾國 : 만약 그와 함께 무도한 짓을 저지른다면 우리나라를 위태롭게 할 것임. 方은 道와 통용한다.
역주7 與之爲有方 則危吾身 : 그와 더불어 법도에 맞는 일을 실천하려고 한다면 내 몸을 위태롭게 할 것임. 법도에 맞는 일을 실천하게 하려면 상대가 無道한 일을 저지르지 않도록 諫해야 할 터인데, 그렇게 하면 자신이 위태롭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역주8 其知適足以知人之過 而不知其所以過 : 그 사람의 지혜는 다만 다른 사람의 과실을 아는 데 충분할 뿐이고 자신의 과실을 알지는 못함. 適은 다만. 人之過는 다른 사람의 과실. 其所以過는 자기가 저지른 과실. 남(백성들)의 잘못의 원인이 자기에게 있음을 알지 못한다는 뜻.
역주9 若然者吾奈之何 : 그 같은 사람을 내가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奈…何’는 ‘如…何’와 같다.
역주10 正女身也哉 : 네 몸을 바르게 해야 할 것이다. 女는 汝와 같이 2인칭. 哉는 감탄형 종결사.
역주11 形莫若就 : 겉모습은 그를 따르는 것보다 좋은 방법이 없음. 形은 겉으로 행동하는 모습. 就는 상대를 공경하고 상대의 의견에 순응하는 태도. 林希逸은 “從也 隨順之也”라고 하였다.
역주12 心莫若和 : 마음은 그와 화합하면서 그를 감화시키는 것보다 좋은 방법이 없음. 心은 內心. 곧 내심으로는 그를 감화시켜 善으로 인도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는 뜻.
역주13 之二者有患 : 이 두 가지 입장을 취한다 하더라도 재앙이 있을 것임. 之는 〈逍遙遊〉편의 ‘之二蟲’과 마찬가지로 此 또는 彼 등과 같이 지시대명사로 쓰였다. 두 가지[二者]는 就와 和를 지칭한다.
역주14 就不欲入 : 겉으로 그를 따르더라도 자신이 빠져 들어가지 않게 함. 그를 따르는 태도를 지니더라도 그와 同化되어 자신을 잃어버리는 지경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는 뜻.
역주15 和不欲出 : 마음으로 그와 화합하더라도 그를 감화시키려는 속마음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함. 郭象은 出을 ‘스스로 드러내고 자랑하는 것[自顯伐也]’이라고 풀이했다.
역주16 形就而入 : 겉으로 따르다가 빠져 들어감.
역주17 爲顚爲滅 爲崩爲蹶 : 전도되고 멸식되며 붕괴되고 넘어짐. 顚‧滅‧崩‧蹶은 모두 부정적인 의미로 상대와 동화되어 惡을 저지름으로써 자신이 상실됨을 비유한 표현이다.
역주18 心和而出 且爲聲爲名 爲妖爲孼 : 마음으로 화합하려고 하다가 그를 감화하려는 속마음이 겉으로 드러나면 명성이 널리 알려져서 재앙을 초래할 것이다. 郭象은 “蒯聵가 顔闔이 자신을 이기려고 하는 것을 미워하여 재앙을 일으킬 것이다[彼將惡其勝己 妄生妖孽].”라고 풀이했다.
역주19 彼且爲嬰兒 亦與之爲嬰兒 : 그가 어린아이처럼 행동하면 그대 또한 그와 함께 어린아이처럼 행동함. 嬰兒에 대해서 李頤는 無意로 풀이했고, 崔譔은 ‘교만하게 행동한다[驕遊]’는 뜻으로 풀이했는데 뒤의 ‘無町畦’와 ‘無崖’의 뜻과 비교해 볼 때 崔譔의 주장이 옳은 듯하다.
역주20 彼且爲無町畦 亦與之爲無町畦 : 그가 절도 없이 멋대로 행동하면 그대 또한 그와 함께 절도 없이 멋대로 행동함. 町畦는 밭두둑. 곧 토지의 경계를 표시하는데 여기서는 행위의 한계, 行爲規範을 나타내는 뜻으로 쓰였다.
역주21 彼且爲無崖 亦與之爲無崖 : 그가 터무니없는 행동을 하면 그대 또한 터무니없는 행동을 함. 無崖는 끝없는 행동, 곧 규범을 따르지 않는 터무니없이 방탕한 행위를 뜻한다.
역주22 達之 : 이런 식의 행동에 통달함. 之는 위에서 말한 嬰兒, 無町畦, 無崖 같은 행동을 지칭하는데 모두 形就와 心和의 방법이다.
역주23 入於無疵 : 허물이 없는 처지에 들어가게 됨. 자신을 위태롭게 하거나 자신을 상실하게 되는 지경에 빠지지 않는다는 뜻. 郭象은 “조금도 모난 구석을 가지고 그의 기분을 거스르지 않는다[不小立圭角以逆其鱗也].”는 뜻으로 풀이했다.
역주24 汝不知夫螳蜋乎 : 그대는 당랑을 알지 못하는가. 곧 알고 있으리라는 가정하에 하는 말. 螳蜋은 곤충의 일종으로 버마재비. 成玄英은 斧蟲이라 했다.
역주25 怒其臂 以當車轍 :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에 맞섬. 怒는 사나운 기세로 휘두른다는 뜻. 臂는 당랑의 앞발. 當은 감당하다는 뜻. 轍은 본래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이지만 여기서는 수레바퀴를 의미한다.
역주26 不知其不勝任也 : 자신이 감당할 수 없음을 알지 못함.
역주27 是其才之美者也 : 이것은 자신의 재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기 때문임. 林雲銘은 是를 지시대명사로 보지 않고 自是의 뜻으로 보아 스스로 자신의 재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는데 참고할 만하다. 曹礎基가 是를 作動詞로 보고 “有恃的意思”라고 풀이하는 것도 같은 해석이다.
역주28 積伐而美者以犯之 : 자신의 능력을 자랑하여 남을 업신여기는 자는 그것으로 태자를 거슬리는 것이라는 뜻. 현토본의 토에 충실하게 번역한 것인데 讀法에 약간의 異說이 있으나 뜻은 대동소이하므로 略한다. 자신의 능력을 믿고 군주의 안색이 변할 때까지 강직하게 諫한다는 뜻이다. 伐은 자랑한다는 뜻. 而는 2인칭(成玄英). 犯之는 《論語》 〈憲問〉편의 ‘勿欺也而犯之’의 犯之와 같은 뜻으로 ‘犯顔諫爭’(朱熹)의 뜻.
역주29 幾矣 : 위태로움. 幾는 殆와 통용한다. 馬敍倫은 《爾雅》에서 “幾 危也”라고 풀이했음을 지적하고 있다.
역주30 不敢以生物與之 : 감히 산 채로 음식을 주지 않음. 살아 있는 동물을 범에게 먹이로 주지 않는다는 뜻.
역주31 爲其殺之之怒也 : 그것을 죽이려는 성냄을 일으킬까 두려워하기 때문임. 爲는 때문. 殺之의 之는 살아 있는 동물. ‘죽이려는 성냄’이란 산 채로 준 먹이를 먹기위해 죽일 때의 狂暴함을 말한다.
역주32 不敢以全物與之 : 감히 한 마리를 통째로 주지 않음. 全物은 통째. 한 마리 전체를 뜻한다.
역주33 爲其決之之怒也 : 그것을 찢어발기려는 성냄을 일으킬까 두려워하기 때문임. 決은 찢어발긴다는 뜻. ‘찢어발기려는 성냄’도 역시 물어뜯어 찢을 때의 狂暴함을 말한다.
역주34 時其飢飽 達其怒心 : 범의 배고픔과 배부름에 꼭 맞추어 음식을 주어서 성내는 마음이 〈다른 곳으로〉 발산되게 함. 時는 때에 꼭 맞춘다는 뜻. 〈齊物論〉편 제4장에 보이는 ‘見卵而求時夜’의 時가 伺의 뜻인 것처럼 엿보다, 헤아리다의 뜻으로 보는 주석도 있다. 達은 發散의 뜻으로 성냄을 소멸시킨다는 뜻.
역주35 虎之與人異類 而媚養己者順也 : 범과 사람은 종류를 달리하지만 범이 자신을 사육하는 사람을 잘 따르는 것은 〈사육하는 사람이〉 범의 자연스런 본성을 따르기 때문임.
역주36 其殺者逆也 : 범이 자신을 사육하는 사람을 죽이는 것은 범의 자연스런 본성을 거슬렀기 때문임.
역주37 夫愛馬者 : 말을 아끼는 사람. 곧 말을 사육하는 사람.
역주38 以筐盛矢 以蜄盛溺 : 네모난 대광주리에 말똥을 담고 커다란 조개껍질에 말오줌을 담음. 말을 아껴서 극진히 보살핌을 비유한 표현. 矢는 屎와 통용. 溺는 尿溺, 곧 오줌. 蜄은 커다란 조개껍질. 羅勉道와 王敔 등은 조개껍질로 장식한 그릇이라고 풀이했는데 참고할 만하다.
역주39 適有蚊虻僕緣 而拊之不時 : 마침 모기나 등에가 말등에 붙어 있는 것을 보고 不時에 말등을 때림. 僕緣은 말 위에 붙어 있다는 뜻. 王念孫은 僕을 붙어 있다[附]는 뜻으로 풀이했다. 拊는 친다[拍]는 뜻(성현영). 拊之不時는 不覺之時, 곧 말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갑자기 때린다는 뜻.
역주40 缺銜毁首碎胸 : 재갈을 물어뜯고 사육하는 사람의 머리를 들이받아 훼손하고 가슴을 걷어차 박살냄. 銜은 재갈[勒]. 缺銜은 재갈을 물어뜯는다는 뜻. 陳壽昌은 “재갈을 찢어발긴다[決裂口銜].”고 풀이했다. 毁首는 사람의 머리를 들이받아 다치게 한다는 뜻. 碎胸은 사람을 발로 차 가슴을 부순다는 뜻. 宣穎은 “말의 머리와 가슴의 장식을 부순다[毁碎胸首之飾].”는 뜻으로 풀이했지만 무리한 해석이다.
역주41 意有所至 而愛有所亡 : 뜻이 한 가지 목적에 사로잡히면 사랑하는 방법을 잃어버림. 뜻은 말을 사랑하는 데 있었지만 사랑하는 방법을 잃어버렸다는 뜻.
동영상 재생
1 제3장(1) 500
동영상 재생
2 제3장(2) 437

장자(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